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자기 (도자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원대자기

자기(磁器 , porcelain)는 자토(瓷土)즉, 카올린으로 만들고 유약(釉藥)을 입힌 그릇이다. 백자(白瓷)와 청자(靑瓷)로 나뉘며, 점토(粘土) 즉, 진흙으로 만드는 도기(陶器)와 함께 도자기(陶瓷器)로 불린다. 도자기를 만드는 흙은 반죽을 빚어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가소성(可塑性)과, 그릇이 자화(磁化)될 수 있는 높은 온도에 견뎌 도자기로 거듭나는 내화성(耐火性)을 지녀야 한다. 동아시아에서 자기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며, 원시청자 단계를 거쳐 2세기부터는 질 좋은 청자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요[편집]

자기는 1,3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내어 태토가 유리질화된 반투명체의 그릇이다. 자기화되기 이전의 도자기는 태토의 굳기에 따라 토기(土器), 도기(陶器), 석기(炻器)로 나뉜다. 토기는 유약을 입히지 않고 700~1,000도에서 구워낸 선사시대의 그릇이다. 도기는 토기보다 단단하며 대개 유약을 입혀서 1,000~1,100도에서 구워낸 것으로 대개 물의 흡수율이 15% 이하이다. 붉은 화분이나 떡시루 및 청동기시대 민무늬 토기가 도기의 예이다. 석기는 1,200도 전후의 고온에서 구워내어 태토 속의 장석(長石)이 녹아서 유리질화되어 단단한 기벽을 만든 것이다. 물이 기벽으로 스며들지 않으나 아직 자기에 이르지는 못하며, 통일신라의 경질(硬質)토기를 들 수 있다.

자기는 태토로서 고령토를 사용하고 고화도에서 구워내어 석기보다 더 유리질화되고 치밀하며 태토의 흡수량이 0.5% 이하인 그릇이다. 자기는 중국에서 제일 먼저 생산하여 전세계에 널리 퍼져 '차이나(china)’라고 불렸다. 중국에서는 본격적인 자기가 대체로 성당(盛唐)시기 이후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에서는 신라 말경으로 추정된다. 중국에서는 주로 '자기(瓷器)'로 표기하는데 반해 한국에서는 조선 이후에 '자기(磁器)'라고 많이 썼다. '자(瓷)'는 '견치(堅緻)한 도기(陶器)'란 뜻이며 한국에서는 '오지그릇'이란 의미로 광범위하게 쓰였다. 유럽에서는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중국의 자기를 모방하여 고령토 대신 석고와 골회(骨灰)를 사용하여 1707년에 독일의 드레스덴에서 베트가 백자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후 독일, 프랑스, 영국 등지로 퍼져갔다.

조선시대의 자기는 주로 자기(磁器)라는 한자로 문헌에 기록되며 자기(甆器)로도 등장한다(『태종실록』 13년 7월 16일), [『세종실록』 오례 흉례 서례 명기], (『세조실록』 14년 8월 28일), (『중종실록』 25년 10월 5일). 자기(瓷器)라는 한자는 1914년(순종 7)에 전국에 남아 있는 고요지(古窯址)를 조사하라는 명령에 도자기라는 용어로 등장한다(『순종실록부록』 7년 9월 15일).

조선초기의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자기는 분청자와 백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보이며, 1467년(세조 13)에 사옹원(司饔院)의 관요(官窯)가 성립한 이후에는 왕실과 관청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백자를 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조[편집]

자기는 그릇의 표면에 유약을 씌워 굽는데, 자기의 태토(胎土)는 규석·장석·석회석 등이 많이 포함된 점토이다. 자기의 태토와 유약을 이루는 흙은 일반적으로 1,200~1,3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자화되어 유리질로 변해 밀착된다. 특히 자기 유약은 고온에서 녹아 유리질로 변하므로 자기는 표면에 광택이 감돌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료를 구해서 그릇을 만들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원료를 물에 섞은 다음, 그 흙물을 따로 받아서 물을 증발시키고 물에 녹은 고운 입자만을 추출하는 수비(水飛)를 통해 원료를 정제한다. 일반적으로 빠르게 도는 물레 위에서 자기의 형태를 만드는데, 틀에 점토를 넣어 찍어내는 방식으로도 만든다. 형태가 갖추어진 자기는 건조 후에 가마에 넣어 초벌로 굽는다. 초벌구이는 유약이 태토에 잘 흡수되도록 한다. 초벌구이된 그릇에 유약을 씌워 자화가 이루어질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다시 구워내면 자기가 완성된다. 자기에 따라서 조각칼로 문양을 새기거나 산화철이나 산화코발트와 같은 안료로 문양을 그려 넣기도 한다. 자기는 일반적으로 등요(登窯) 즉, 오름가마에서 굽는다. 등요는 구릉의 사면에 터널 형태로 마련되어 높은 온도로 많은 양의 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좋은 품질의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질의 원료가 있어야 하고, 높은 온도의 불을 다룰 수 있는 가마 운영 기술이 있어야 하며, 자기를 굽기 위한 다량의 땔감과 장인이 필요하다.

조선초기에는 전국의 자기소에서 분청자가 계속 만들어지는 가운데 백자의 제작과 수요가 점차 증가했다. 1467년 이후에 사옹원의 관요가 성립하면서 왕실과 한양의 관청에서는 백자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조선의 자기문화(瓷器文化) 역시 백자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징[편집]

자기(磁器)는 질적으로 도자기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고 역사적으로도 가장 새로운 재질이다. 일반적으로 소지는 백색으로서 흡수성이 없고 투광성이 있어서 두드리면 금속성 소리를 낸다. 자기도 다시 세분하면 연자기(軟磁器), 경자기(硬磁器), 특수도자기의 3종으로 된다. 연자기는 1250°C 전후에서 투광성이 생길 때까지 맺음구이를 하고 시유(施釉)한 뒤 1000°C 전후에서 재벌구이를 한다. 유약의 정도가 낮은 것이 결점이지만 광택이 좋고 안료의 발생이 아름답다. 고대 중국자기, 본차이나, 프리트 자기 등이 여기에 속한다.

도자기는 소성온도가 높고, 유약의 경도도 높아 실용성에 뛰어나다. 경자기는 다시 저화도자기(1250°C ~ 1350°C 소성), 중화도자기(1350°C -1400°C 소성), 고화도자기(1400°C 이상 소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유럽 자기는 고화 도자기가 많고(영국의 본차이나 등을 제외함), 중국의 자기, 한국의 서양식 자기는 중화도자기에 속하고 삼국시대 통일신라의 도자기에 저화도자기에 속하는 것이 있다.

특수도자기는 기계적인 강도, 내산성, 전기적인 제 성질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원료를 많게 하거나 또는 한 성분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소성온도, 성질은 여러 가지이다. 고주파 절연물, 콘덴서, 고급 점화플러그 고급 도가니 등, 대부분은 자기인데, 개중에는 석기의 성질을 가진 것도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자기 (도자기) 문서는 기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