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load)은 물체나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外力)을 말한다. 이때 외력은 보통 중력이다.
하중은 공학의 한 분야인 재료역학 · 구조역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술어인데, 하중에 수반하는 속도에 따라 정(靜)하중, 동(動)하중으로 대별된다. 물체 위에 정치된 추와 같이 움직이지 않는 하중을 정하중이라 하고, 매우 느리게 움직여 물체에 대해서 정하중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도 정하중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개료시험기에 의한 인장시험과 같은 것이 이에 속한다. 이에 대하여 움직이는 하중을 동하중이라고 하며 그 작동형식에 따라서 여러 명칭이 붙어 있다. 예를 들면, 교량의 보에는 움직이지 않는 자중 외에 그 위를 통과하는 자동차 등의 이동하중이 작용한다. 자동차, 사람 등의 이동하중으로 인하여 교량의 보에는 복잡한 변동하중이 가해진다. 내연기관의 크랭크축 등은 회전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크기가 다른 힘이 반복해서 작용하며 이것을 반복하중이라고 한다. 반복하중도 하중 0에서 어떤 크기까지의 힘을 받는 편진하중, 크기 뿐만 아니라 방향도 플러스, 마이너스로 같게 변화하는 양진하중 등이 있다. 충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충격하중이라고 한다.
하중은 압력이나 자중과 같이 물체의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분포하여 작용하는 경우와 반대로 거의 한 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좁은 범위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를 분포하중, 후자를 집중하중이라고 한다. 또 물체에 가해지는 작용에 따라 축하중, 수평하중, 휨하중, 비틀림하중 등으로도 나눈다. 또 이와 같은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를 복합하중이라고 한다. 구조관련 관련 과목에서 다루는 하중은 설계하중을 말한다.
하중은 크게 작용 방향 분포 상태 작용시간 상태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한다
분포 상태에 따른 분류[편집]
- 집중 하중 : 일정한 점 또는 매우 작은 면적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 분포 하중 : 물체의 여러 부분에 분포하여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작용 방향에 따른 분류[편집]
- 축 하중 : 축의 길이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며 인장 하중 압축 하중등을 발생하는 하중을 말한다.
- 전단 하중 : 축의 반지름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하중을 말한다.
- 굽힘 하중 : 축을 휘게 하는 하중으로 굽힘 응력이 발생하는 하중을 말한다.
- 비틀림 하중 : 축을 비트는 하중으로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는 하중을 말한다.
작용시간 상태에 따른 분류[편집]
- 정하중(static load) : 시간에 따라서 크기가 변화하지 안거나 또는 변화하여도 무시할 수 있는 하중을 정하중이라 한다.
- 동하중(dynamic load) : 하중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서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동하중은 5가지로 분류된다.
- 변동 하중 : 불규칙한 작용을 하는 하중으로서 진폭 및 주기가 모두 변화하는 하중을 말한다.
- 반복 하중 : 계속하여 반복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진폭은 일정 주기는 규칙적인 하중을 말한다
- 교번 하중 : 하중의 크기와 그 방향이 충격 없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을 말한다.
- 이동 하중 : 물체 위를 이동하며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설계 하중[편집]
건축물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하중으로는 고정하중, 활하중, 적설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등이 있다. 그 외에 토압, 수압, 온도변화, 충격, 기계하중 등이 있다. 건물을 시공하기 전에 건물의 안정성과 경제성 시공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설계하여야 한다. 그래서 건물이 세워지고 난 후에 건물이 견디어 내어야 할 각각의 외력을 시공 전에 예측하여 건물이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구조물을 설계한다. 이때에 예측한 외력을 설계하중이라 한다.
건물하중 전달 경로 : SLAB → 작은 보(Beam) → 큰 보(Girder) → 기둥 → 기초 이 같은 경로를 따라 힘이 전달이 되므로 SUPPORT 역시 힘의 전달흐름과 일치하여야 한다.
- 고정하중 : 구조물 자체의 무게와 구조물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 적재하중 : 구조물 내부에 실리게 되는 점유물의 무게로서 정의되며 고정하중과는 달리 가변성이 크고 반영구적이거나 일시적 하중들로 구성된다.
- 풍하중 : 건축물에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하중으로 정확한 풍속은 지리적인 위치와 고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 설계 쥬정에 주어진 풍속대 지도로부터 구한다.
- 지진하중 :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진에 의해 건물에 작용되어지는 하중.
- 설하중 : 구조물에 쌓이게 되는 눈의 수직 최심 적설량과 구조물의 형상 및 적설의 단위 중량의 곱의 형태로 표현되는 하중.
-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토압 및 수압하중이 일반적인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기타 하중 : 온도하중, 설비하중(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크레인) 등
교량의 하중[편집]
도로교의 하중[편집]
- 주하중(P): 고정하중, 활하중, 충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 토압, 수압, 부력 또는 양압력
- 부하중(S): 풍하중, 온도변화의 영향, 지진의영향
-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P): 설하중, 지반변동의 영향, 지점이동의 영향, 파압, 원심하중
-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A): 제동하중, 가설시하중, 충돌하중, 기타..
철도교의 하중[편집]
- 주하중(P): 고정하중, 활하중, 충격, 원심하중, 장대레일 종하중,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 토압, 수압, 부력 또는 양압력
- 부하중(S) : 차량횡하중, 시동하중, 또는 제동하중, 풍하중
-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P) : 설하중, 지반변동의영향, 지점이동의 영향, 파압
-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A): 온도변화의영향, 지진의 영향, 가설시하중, 충돌하중, 탈선하중, 기타하중
교량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하중의 종류를 모두 열거한 것인데, 가교지점의 여러 조건과 구조에 따라 적절한 하중 및 하중의 조합을 선정하여야 하며 반드시 모든 하중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도로의 DB설계하중[편집]
DB하중은 일종의 사하중(고정하중)으로 보면 되는데 D는 도로의 이니셜이고 B는 반트럭이라는 뜻이다. DL은 D는 같고 L은 lane, 즉 차선(지금은 차로)에서 따 왔다. 그래서 차선 하중이라 힌다.
DB하중은 차량하중이라 하는데 앞바퀴는 총하중의 0.1씩 담당하고(하중이 실리고) 뒷바퀴는 0.4씩 실리는 것으로 보면 된다. 반트럭은 세미트레일러를 말한다. 풀트레일러를 설계기준차량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세미트레일러를 설계기준차량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리는 하중을 계산하면 앞바퀴 두개, 뒷바퀴 네 개 해서 모두1.8W를 받는다. DB-24라 하면 24×1.8하면 43.2ton이 되는 것이고 DB-18하면 18×1.8하면 32.4ton이 되는 것이다. 일등교는 DB-24로 설계반영되어 있다. 차선하중은 등분포하중으로 본다. DL-24는 미터당 1,270㎏적용된다.
참고자료[편집]
- 〈하중〉,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 〈하중〉, 《사이언스올》
- Z국대Z, 〈하중의 종류〉, 《티스토리》, 2020-07-26
- 〈도로하중과 철도하중의 차이비교〉, 《레포트월드》
- 〈도로공학(하중의 종류에 관한 레포트)〉, 《해피캠퍼스》, 2010-10-19
- cham, 〈도로의 DB설계하중 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4-05-19
같이 보기[편집]
 이 하중 문서는 건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건설
|
건설 • 건설업 • 건설업계 • 건축 • 건축법 • 건축업 • 노후시설 • 노후화 • 시설관리 • 시설물 • 신탁 • 신탁사 • 영선 • 영선업무 • 철탑 • 토목 • 토목업
|
|
설계와 감리
|
CG • 감리 • 감리원 • 감리자 • 건축도면 • 건축선 • 건축선 후퇴 • 건축설계 • 건축주 • 건축허가 • 건폐율 • 계획설계 • 공사감리 • 공사비 • 구조도면 • 높이제한 • 단면계획 • 도면 • 도시계획 • 독취 • 모형 • 배치계획 • 보수설계 • 설계 • 설계도 • 설계도면 • 설계도서 • 설계비 • 시방서 • 실시도면 • 실시설계 • 용적률 • 입면계획 • 접도 • 지질조사 • 청사진 • 측량 • 층수제한 • 토목설계 • 특검자 • 평면계획 • 표준도면 • 허가 • 허가방
|
|
건설공사
|
PF • 가설공사 • 개축 • 건립 • 건설공법 • 건설공사 • 건축공사 • 건축공학 • 건축면적 • 골조공사 • 공구리 • 공기 • 공기단축 • 공기조정 • 공기지연 • 공법 • 공사 • 공사비 • 공사장 • 공사판 • 공정 • 공정표 • 구체공사 • 기계공사 • 기계설비 • 기공 • 기공식 • 기둥 • 기초공사 • 난공사 • 내부마감 • 누수 • 단열공사 • 덧방 • 도급 • 도로공사 • 도장공사 • 라멘구조 • 마감공사(마무리공사) • 마구리(옆면) • 마구리공사(측면마감공사) • 마모 • 먹매김 • 먼지 • 목공 • 무량판구조 • 미장 • 바닥공사 • 발파 • 방수 • 방수공사 • 배관 • 배관공사 • 배근 • 배수 • 배수공사 • 배수로 • 배수층 • 벽식구조 • 벽체공사 • 보 • 보강 • 보강공사 • 보수 • 보수공사 • 부실공사 • 부착 • 붕괴 • 비산먼지 • 사다리 • 사용승인 • 사용승인일 • 산업설비 • 산업설비공사 • 상량식 • 설비 • 설치 • 성토 • 소방 • 소방공사 • 손상 • 수로 • 수장공사 • 수축 • 슬래브 • 시공 • 시행 • 신고 • 신공법 • 신설 • 신축공사 • 싱크홀(땅꺼짐) • 안전 • 안전모 • 안전사고 • 안전용품 • 안전제일 • 압착 • 양생 • 엔지니어링 • 옹벽 • 완공 • 외부마감 • 유리공사 • 유지 • 유지관리 • 유지보수 • 인가 • 인허가 • 일조권 • 입주청소 • 작업 • 작업량 • 작업복 • 작업안전수칙 • 잡일 • 재공사 • 재축 • 재해 • 재해방지 • 전기공사 • 절토 • 정초 • 조경 • 조경공사 • 조적 • 조적공사 • 준공 • 준공식(낙성식) • 준공일 • 중장비(건설기계) • 증축 • 지내력 • 지내력 테스트 • 지면 • 지반 • 지반침하 • 지붕공사 • 지중화 • 지중화공사 • 지하매설물 • 착공 • 착공식 • 착공신고 • 착공일 • 창호공사 • 천장공사 • 철거 • 철근배근 • 철근배근검사 • 청소 • 축대 • 축조 • 층간소음 • 타설 • 타일공사 • 터파기 • 토공 • 토목건축(토건) • 토목공사 • 토목공학 • 통신공사 • 파괴 • 파손 • 팽창 • 평지 • 포설 • 프로젝트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 하도급 • 하자 • 하자보수 • 하중 • 해체 • 해체공사 • 홈통공사 • 환경시설 • 환경시설공사 • 확장 • 흙막이공사
|
|
건축자재
|
H빔 • H파일 • MDF • PVC • 각재 • 강마루 • 강화마루 • 건축자재 • 고무타일 • 골재 • 구조목 • 내장재 • 내화피복재 • 단열재 • 대리석 • 대리석타일 • 데코타일 • 도기 • 도기질 타일 • 도자기 • 돌 • 디럭스타일 • 루바 • 루베 • 리놀륨타일 • 마감재 • 말뚝 • 모래 • 모르타르 • 모자이크타일 • 목재 • 바닥재 • 바닥타일 • 바위 • 반생(반생이, 구운철사) • 방부목 • 방음재 • 버림콘크리트 • 벽돌 • 벽체타일 • 보수재 • 복합자재 • 본드 • 부자재 • 비닐 • 비닐타일 • 사각타일 • 석기질 타일 • 석분(돌가루) • 석재 • 석재타일 • 세라믹타일 • 소프트우드 • 쇄석(파쇄석) • 쇄석층 • 시멘트 • 아스팔트 타일 • 암반 • 암석 • 에폭시 • 열팽창 • 열팽창계수 • 외장재 • 우드타일 • 원목 • 원목마루 • 원부자재 • 원자재 • 원형철근 • 유리 • 육각타일 • 이형철근 • 자갈 • 자기 • 자기질 타일 • 자재 • 장판 • 점토(찰흙) • 접착제 • 제재목 • 줄눈 • 진흙 • 집성목 • 창호재 • 천장재 • 철 • 철골 • 철근 • 철근콘크리트 • 철재 • 코르크판 • 콘크리트 • 타일 • 토사 • 파이프 • 파일 • 파티클보드(PB) • 판재 • 포세린타일 • 폴리싱타일 • 플랜지 • 피복재 • 하드우드 • 합판 • 호리병타일 • 회배 • 흙 • 흡음재
|
|
건설장비
|
CIP • 가설계단 • 강관비계 • 거푸집 • 건설장비(건설기계) • 결속기(시노, 시누대) • 골재살포기 • 그물 • 그물망 • 난간 • 난간대 • 덤프트럭 • 도르래 • 동바리(지지대, 서포트) • 롤러 • 망치 • 먹줄 • 모터그레이더 • 믹서 • 버킷로더(로더) • 불도저 • 비계(아시바) • 사리채취기 • 쇠지렛대(빠루) • 쇄석기 • 스크레이퍼 • 시스템 동바리 • 시스템비계 • 쐐기 • 오함마(큰망치) • 장도리 • 중장비 • 지게차 • 지렛대 • 천공기 • 추락방지망 • 크레인(기중기) • 타워크레인 • 토류판 • 포크레인(굴삭기, 굴착기) • 플로피해머 • 항발기 • 항타기 • 해머 • 흙막이 • 흙손
|
|
건설인력
|
OT • 건설노동자 • 건설사 • 건설업자 • 건설인력 • 건축가 • 건축기사 • 건축사 • 건축사법 • 건축사보 • 건축사사무소 • 근로자 • 기능공 • 기사 • 노가다 • 노동자 • 도배공 • 도장공 • 마루공 • 막노동자 • 막일 • 목수 • 미장공 • 방수공 • 배관공 • 비계공 • 비기능공 • 석공 • 시공사 • 시다바리 • 시행사 • 십장 • 용접공 • 월례비 • 인건비 • 인력 • 인력관리 • 인부 • 일당 • 일용직 • 작업자 • 잡부 • 전기공 • 조공 • 조적공 • 창호설치공 • 초과근무수당 • 타일공 • 토건족 • 토목기사
|
|
건설사
|
DL이앤씨 • GS건설 • HDC현대산업개발 • HXD화성개발 • KCC건설 • SGC이테크건설 • SK에코플랜트 • 계룡건설 • 금강주택 • 금호건설 • 대방건설 • ㈜대우건설 • 동문건설 • 동부건설 • 동우개발 • 동원개발 • 두산건설 • 롯데건설㈜ • 반도건설 • 벽산건설 • 부영그룹 • 삼성물산㈜ • 서희건설 • 신동아건설 • 신세계건설 • 쌍용건설 • 아이에스동서 •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 우미건설 • 제일건설㈜ • 중앙건설 • 중흥건설 • 코오롱글로벌 • 태영건설 • ㈜포스코건설 • 한국토지신탁 • 한국토지주택공사 • 한신공영㈜ • 한일건설 • ㈜한화건설 • 현대건설㈜ • 호반건설 • 화성산업 • 효성중공업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