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82.213.0.50(토론)의 편집을 Asadal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터넷'''(internet)이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망이다. [[TCP/IP]] 통신 규약을 이용해 각종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 '''인터넷'''(internet)이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망이다. [[TCP/IP]] 통신 규약을 이용해 각종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 ||
+ | |||
+ | == 개요 == | ||
+ | 인터넷은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되고, TCP/IP라는 기본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여러 컴퓨터가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망을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라고 한다.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수없이 많이 모여서 이루어진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이란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인 것이다.<ref name="인"> 〈[https://tcpschool.com/webbasic/intro 인터넷이란?]〉, 《티씨피스쿨닷컴》 </ref> | ||
== 역사 == | == 역사 == | ||
12번째 줄: | 15번째 줄: | ||
* 1998년 중국의 [[마화텅]](马化腾)은 [[텐센트]]를 창업하고 이듬해 [[QQ]]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후 모바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위챗]](微信)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 * 1998년 중국의 [[마화텅]](马化腾)은 [[텐센트]]를 창업하고 이듬해 [[QQ]]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후 모바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위챗]](微信)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 ||
* 2003년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인터넷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을 오픈했다. | * 2003년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인터넷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을 오픈했다. | ||
+ | |||
+ | == 특징 == | ||
+ |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서로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컴퓨터는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초기 인터넷에서는 텍스트로만 통신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ㄴ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그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 망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Backbone)이라고 한다. 이넡넷은 직업이나 지위, 직책, 나이, 인종 등 서로 알 수 없는 익명성을 제공한다.<ref name="인"></ref><ref name="터">코딩팩토리,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44 (Web)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19-04-15 </ref> | ||
+ | |||
+ | == TCP/IP == | ||
+ |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으로, IP 기반에 TCP가 사용돼서 TCP/IP로 불린다. TCP가 데이터의 추적을, IP가 배달을 처리한다고 보면 된다. 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다. 두 호스트가 교환하는 데이터와 승인 메시지의 형식을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약이다. 데이터 패킷의 일련의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찾아내서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주소가 필요하다. IP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소이고, TCP와 달리 데이터의 재조합이나 손실여부 확인이 불가능해 단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만 담당한다.<ref name="넷">rosewwross, 〈[https://velog.io/@rosewwross/TCPIP TCP/IP란]〉, 《velog》, 2020-03-29 </ref> | ||
+ | |||
+ |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 ||
+ |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이다.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맥(MAC)주소를 다루는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해준다. 기본적으로 에러 검출과 패킷의 프레임화를 담당하고, 구성요소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다. 맥(MAC) 주소는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르고, 일반적으로 서로 상호호환되지 않는다. 흔히 사용되는 이더넷(Ethernet)에서는 48비트의 물리 주소를 사용한다. 예시로는 맥(MAC), 랜(LAN), 패킷 망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더넷(Ethernet),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토큰 링(Token Ring) 등이 있다.<ref name="넷"></ref><ref name="위">jehjong, 〈[https://velog.io/@jehjong/%EA%B0%9C%EB%B0%9C%EC%9E%90-%EC%9D%B8%ED%84%B0%EB%B7%B0-TCPIP-4%EA%B3%84%EC%B8%B5 (개발자 인터뷰) TCP/IP 4계층]〉, 《velog》, 2020-10-15 </ref><ref name="해"> 〈[https://dongwook8467.tistory.com/65 TCP/IP 프로토콜 구조]〉, 《티스토리》, 2015-07-10 </ref> | ||
+ | |||
+ | === 인터넷 계층 === | ||
+ | 네트워크 액세스의 도움을 받아서 전송 계층이 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다. 네트워크 액세스와 마찬가지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인터넷 계층에서는 물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사용한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에서 사용하는 물리 주소와 상관없이 정의되고, 전 세계적인 유일성이 보장된다. 또한, 통신에 참여하는 종단 시스템을 유일하게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경로를 알아야 한다. 이 전송 경로를 알아내기 위한 작업이 라우팅이다. 예시로는 IP, ARP, ICMP, RARP, OFPS 등이 있다.IP(Internet Protocol)는 비신뢰성, 비연결지향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주소 변환 프로토콜로, IP주소를 맥(MAC)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RARP(Reverse ARP)는 ARP와 반대로 맥(MAC) 주소로 IP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이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상태 진단 메시지 프로토콜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ping 이다. IGMP(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는 멀티캐스트용 프로토콜이다.<ref name="위"></ref><ref name="해"></ref><ref name="키"> 〈[https://reakwon.tistory.com/68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츠, 응용계층)]〉, 《티스토리》, 2019-03-16</ref> | ||
+ | |||
+ | === 전송 계층 === | ||
+ | 최종적인 통신 목적지를 지정하고,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이다. 통신의 최종 목적지는 컴퓨터가 아닌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전송 계층에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일종의 주소를 사용하는데, 이 주소는 포트번호(port number)라고 한다. 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와 자료 송수신을 담당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세션과 데이터그램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시로는 TCP, UDP, RTP, RTCP 등이 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이 성공해야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일대일 통신(unicast)을 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고, 비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일대일 통신(unicast)과 일대다 통신(broadcast), 다대다 통신(multicast)을 한다.<ref name="위"></ref><ref name="해"></ref> | ||
+ | |||
+ | === 응용 계층 === | ||
+ | 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서비스, 메일 서비스, 웹 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ref>RRRRR는세 〈[https://ryusae.tistory.com/4 (OSI 7계층, TCP/IP 4계층) 네트워크의 기본 계층 구조]〉, 《티스토리》, 2018-12-17</ref> 데이터 단위는 데이터(Data) 또는 메시지(Message)이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예시로는 파일 전송, 이메일, FTP, HTTP, SSH, Telnet, DNS, SMTP 등이 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은 TCP 기반의 프로토콜로, 포트번호 80번을 사용한다. Telnet은 TCP 포트번호 23번을 사용하고, 원격 터미널을 접속할 때 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SSH(Secure Shell)는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지 않아 그대로 노출되는 텔넷 같은 서비스는 보안에 취약한데, 이 취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포트번호는 22번을 사용한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파일을 받거나 올릴 때 신뢰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TCP에서 동작하고, 2개의 포트를 사용한다. 포트 20번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용도로, 포트 21번은 제어용으로 사용한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TCP 상에서 동작한다. 포트는 25번을 사용한다.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3)는 메일 수신용 프로토콜로, 아웃룩 같은 프로그램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포트 110번을 사용한다.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명에 대한 호스트 정보를 제공해준다. 기본적으로 UDP상에서 동작하고, 실패하면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요청하면 작동한다. 하지만 신뢰성을 요할 경우 TCP 상에서도 동작한다. 데이터의 길이가 길 경우, TCP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UDP, TCP 포트 53번을 사용한다.<ref name="위"></ref><ref name="키"></ref> | ||
+ | |||
+ | {{각주}} | ||
+ | |||
+ | == 참고자료 == | ||
+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2021년 1월 26일 (화) 17:04 판
인터넷(internet)이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망이다. TCP/IP 통신 규약을 이용해 각종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개요
인터넷은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되고, TCP/IP라는 기본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여러 컴퓨터가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써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망을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라고 한다.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수없이 많이 모여서 이루어진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인터넷이란 수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체인 것이다.[1]
역사
- 1969년 10월 29일 미국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ARPA, 현재 DARPA)이 세계 최초의 인터넷인 아르파넷(ARPANET)을 개발했다.
- 1982년 5월 15일 한국의 전길남 박사가 주도하여 서울대학교(SNU)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 현 ETRI) 사이에 한국 최초의 인터넷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 1989년 스위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근무하던 영국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는 세계 최초의 HTML 문서, HTTP, URL, 웹브라우저, 웹 서버 등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약칭 Web)을 개발했다.
- 1993년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은 세계 최초의 그래픽 웹브라우저인 모자이크(Mosaic)와 넷스케이프(Netscape)를 개발함으로써 인터넷의 대중화에 결정적 공헌을 하였다.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Bill Gates)는 넷스케이프에 대항하고자 모자이크를 활용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웹브라우저를 개발했다.
- 1994년 인터넷 웹사이트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검색포털 사이트인 야후(Yahoo) 사이트를 오픈했다. 1996년 일본의 손정의가 이끄는 소프트뱅크는 미국 야후와 제휴하여 야후 재팬 사이트를 오픈했다.
- 1994년 미국의 제프 베조스(Jeff Bezos)는 인터넷 쇼핑몰인 아마존(Amazon)을 오픈했다. 1995년 이베이(eBay)가 오픈되었다. 1996년 한국 최초의 인터넷 쇼핑몰인 인터파크(Interpark)가 오픈되었다. 1999년 중국의 마윈(马云)은 손정의의 투자를 받아 세계 최대의 B2B 쇼핑몰인 알리바바를 오픈했다.
- 1998년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은 구글(Google) 검색포털 사이트를 오픈했다. 1999년 이해진은 한국의 검색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를 오픈했다. 2000년 리옌훙(李彦宏)은 중국 최대의 인터넷 검색포털 사이트인 바이두(Baidu)를 오픈했다.
- 1998년 중국의 마화텅(马化腾)은 텐센트를 창업하고 이듬해 QQ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후 모바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위챗(微信) 메신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 2003년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인터넷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을 오픈했다.
특징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서로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컴퓨터는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초기 인터넷에서는 텍스트로만 통신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를 가지고 있다.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ㄴ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그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 망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Backbone)이라고 한다. 이넡넷은 직업이나 지위, 직책, 나이, 인종 등 서로 알 수 없는 익명성을 제공한다.[1][2]
TCP/IP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으로, IP 기반에 TCP가 사용돼서 TCP/IP로 불린다. TCP가 데이터의 추적을, IP가 배달을 처리한다고 보면 된다. 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다. 두 호스트가 교환하는 데이터와 승인 메시지의 형식을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약이다. 데이터 패킷의 일련의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찾아내서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주소가 필요하다. IP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컴퓨터 주소이고, TCP와 달리 데이터의 재조합이나 손실여부 확인이 불가능해 단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만 담당한다.[3]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이다. 하드웨어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맥(MAC)주소를 다루는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준비해준다. 기본적으로 에러 검출과 패킷의 프레임화를 담당하고, 구성요소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다. 맥(MAC) 주소는 네트워크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르고, 일반적으로 서로 상호호환되지 않는다. 흔히 사용되는 이더넷(Ethernet)에서는 48비트의 물리 주소를 사용한다. 예시로는 맥(MAC), 랜(LAN), 패킷 망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더넷(Ethernet),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토큰 링(Token Ring) 등이 있다.[3][4][5]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액세스의 도움을 받아서 전송 계층이 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다. 네트워크 액세스와 마찬가지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인터넷 계층에서는 물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사용한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에서 사용하는 물리 주소와 상관없이 정의되고, 전 세계적인 유일성이 보장된다. 또한, 통신에 참여하는 종단 시스템을 유일하게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경로를 알아야 한다. 이 전송 경로를 알아내기 위한 작업이 라우팅이다. 예시로는 IP, ARP, ICMP, RARP, OFPS 등이 있다.IP(Internet Protocol)는 비신뢰성, 비연결지향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주소 변환 프로토콜로, IP주소를 맥(MAC)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RARP(Reverse ARP)는 ARP와 반대로 맥(MAC) 주소로 IP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이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상태 진단 메시지 프로토콜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ping 이다. IGMP(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는 멀티캐스트용 프로토콜이다.[4][5][6]
전송 계층
최종적인 통신 목적지를 지정하고,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이다. 통신의 최종 목적지는 컴퓨터가 아닌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전송 계층에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일종의 주소를 사용하는데, 이 주소는 포트번호(port number)라고 한다. 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와 자료 송수신을 담당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세션과 데이터그램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시로는 TCP, UDP, RTP, RTCP 등이 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이 성공해야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일대일 통신(unicast)을 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연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고, 비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일대일 통신(unicast)과 일대다 통신(broadcast), 다대다 통신(multicast)을 한다.[4][5]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서비스, 메일 서비스, 웹 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7] 데이터 단위는 데이터(Data) 또는 메시지(Message)이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예시로는 파일 전송, 이메일, FTP, HTTP, SSH, Telnet, DNS, SMTP 등이 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은 TCP 기반의 프로토콜로, 포트번호 80번을 사용한다. Telnet은 TCP 포트번호 23번을 사용하고, 원격 터미널을 접속할 때 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SSH(Secure Shell)는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지 않아 그대로 노출되는 텔넷 같은 서비스는 보안에 취약한데, 이 취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포트번호는 22번을 사용한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파일을 받거나 올릴 때 신뢰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TCP에서 동작하고, 2개의 포트를 사용한다. 포트 20번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용도로, 포트 21번은 제어용으로 사용한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TCP 상에서 동작한다. 포트는 25번을 사용한다.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3)는 메일 수신용 프로토콜로, 아웃룩 같은 프로그램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포트 110번을 사용한다.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명에 대한 호스트 정보를 제공해준다. 기본적으로 UDP상에서 동작하고, 실패하면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요청하면 작동한다. 하지만 신뢰성을 요할 경우 TCP 상에서도 동작한다. 데이터의 길이가 길 경우, TCP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UDP, TCP 포트 53번을 사용한다.[4][6]
각주
- ↑ 1.0 1.1 〈인터넷이란?〉, 《티씨피스쿨닷컴》
- ↑ 코딩팩토리, 〈(Web)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19-04-15
- ↑ 3.0 3.1 rosewwross, 〈TCP/IP란〉, 《velog》, 2020-03-29
- ↑ 4.0 4.1 4.2 4.3 jehjong, 〈(개발자 인터뷰) TCP/IP 4계층〉, 《velog》, 2020-10-15
- ↑ 5.0 5.1 5.2 〈TCP/IP 프로토콜 구조〉, 《티스토리》, 2015-07-10
- ↑ 6.0 6.1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츠, 응용계층)〉, 《티스토리》, 2019-03-16
- ↑ RRRRR는세 〈(OSI 7계층, TCP/IP 4계층) 네트워크의 기본 계층 구조〉, 《티스토리》, 2018-12-17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