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라슨빙붕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라슨빙붕 위성 이미지
라슨빙붕 위치
라르센 빙붕 A, B, C, D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라슨빙붕 또는 라르센 빙붕(Larsen Ice Shelf)은 웨들해(Weddell Sea) 북서쪽 남극반도 동해안의 캐이프 로깅(Cape Longing)부터 스미스 반도까지 쭉 이어져 있는 빙붕이다. 2005년 기준 면적이 약 78500km²이며 바다 위를 덮고 있다. 이 빙붕은 노르웨이 포경선 요손의 선장인 카를 안톤 라르센(Carl Anton Larsen)이 1983년 12월 남위 68도 10분 지역까지 해빙을 따라 항해하던 도중 발견했다.[1]

개요

라슨빙붕은 남극반도 해안의 만 지역을 덮고 있는 빙붕들의 모임이다. 북쪽에서부터 남쪽을 따라 각각의 빙붕을 라르센 A 빙붕(가장 작음), 라르센 B 빙붕, 라르센 C 빙붕(가장 큼)으로 지어 부른다. 그보다 더 남쪽에는 라르센 D 빙붕과 매우 작은 라르센 E, F, G 빙붕까지 이름이 붙여져 있다. 1990년 중반부터 이 빙붕이 급속히 녹아내려 파괴되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2002년부터는 라르센 B 빙붕이 급속도로 붕괴되었다. 2017년 7월에는 라르센 C 빙붕의 일부가 큰 조각으로 떨어져 나가 A-68로 알려진 빙산이 되버린 것이 확인되었다.[2]

빙붕

라르센 B의 붕괴로 바다 아래 800m(0.5마일)에서 번성하는 화학영양 생태계가 드러났다. 그 발견은 우연이었다. 미국 남극 프로그램 과학자들은 웨들해 북서부 지역에서 약 100만 km²의 깊은 빙하 기압골의 퇴적물 기록을 조사하고 있었다. 차가운 침출수와 관련된 메탄과 황화수소가 생태계에 동력을 공급하는 화학 에너지의 원천으로 의심된다. 이 지역은 빙붕이 붕괴된 후 흰색 미생물 매트에 쌓이는 것으로 보이는 파편과 퇴적물로부터 빙붕 위에 덮여 보호되어 있었다. 조개가 통풍구 주위에 모여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남극권 바로 바깥에 있는 가장 북쪽에 위치한 이전의 라르센 A 지역은 이전에 현재의 간빙기 중간에 갈라져 약 4,000년 전에야 다시 형성되었다. 반면, 이전의 라르센 B는 적어도 10,000년 동안 안정되어 있었다. 대륙붕의 얼음은 훨씬 더 짧은 시간 척도로 재생성되며 현재 대륙붕에서 가장 오래된 얼음은 불과 200년 전의 것이다. 라르센 B가 붕괴된 후 크레인 빙하의 속도가 3배 증가했는데 이는 빙붕의 버팀목이 제거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위성 기반 레이더 측정을 통해 국제 조사팀이 2007년에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남극의 전체 빙상 질량 균형이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괴

2013년 3월의 라르센 B 빙붕
2016년 떨어져 나간 라르센 C 빙붕 조각 사진

라슨빙붕의 붕괴 사건은 과거 기준으로 볼 때 이례적이었다. 일반적으로 빙붕은 빙산이 떨어지고 윗면과 아랫면이 녹아서 질량을 잃는다. 인디펜던트지(Independent) 신문은 2005년에 붕괴 사건을 1940년대 후반부터 10년에 약 0.5˚C씩 증가하는 남극반도의 지속적인 기후 온난화 와 연관시켰다. 2006년 기후 저널(Journal of Climate)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패러데이(Faraday) 기지의 반도는 1951년부터 2004년까지 2.94°C(5.3°F) 따뜻해졌으며 이는 남극 대륙 전체보다 훨씬 빠르고 지구 온난화 현상도 남극을 도는 바람의 강화를 통해 국지적인 온난화를 야기했다.

라르센 A

라르센 A 빙붕은 1995년 1월에 붕괴되었다.

라르센 B

2002년 1월 31일부터 2002년 3월까지 라르센 B 구역은 부분적으로 붕괴되었고, 두께가 220m인 3,250km²의 얼음 일부가 부서져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와 맞먹는 면적이 되었다. 2015년에는 이 지역의 빠른 흐름과 빠른 빙하 얇아지는 관측을 바탕으로 나머지 라르센 B 빙붕이 2020년까지 붕괴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라르센 B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홀로세 시대 전체에 걸쳐 본질적으로 최소한 10,000년 동안 안정적이었다. 반면 라르센 A는 그 기간의 상당 부분 동안 존재하지 않다가 약 4,000년 전에 재형성되었다.

라르센 B는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붕괴 당시에는 분명히 위기에 처해 있었다. 따뜻한 해류가 대륙붕 아랫부분을 갉아먹으면서 지구 온난화의 온상이 되었다. 그것은 3주 이내에 붕괴되었으며, 이 빠른 붕괴의 한 요인은 물의 강력한 영향이었다. 여름철 낮이 거의 24시간 동안 표면에 녹은 물이 웅덩이를 이루었고, 균열로 흘러들어 여러 개의 쐐기처럼 작용하여 대륙붕을 갈라놓았다. 붕괴의 다른 가능성 있는 요인으로는 해수 온도 상승과 반도 얼음의 감소가 있었다.

2011년 남극 겨울에 한때 라르센 B의 담수 빙하 얼음으로 된 육지 대륙붕으로 덮여 있던 만 위에 광대한 해빙이 형성되었다. 이 엄청난 규모의 빙하는 2022년 1월까지 지속되다가 며칠에 걸쳐 갑자기 붕괴되어 없어졌다.

라르센 C

2017년 7월 라르센 C는 약 44,200km²의 면적을 가진 남극 대륙에서 네 번째로 큰 빙붕이었다. 위성 레이더 고도계에 따르면 1992년과 2001년 사이에 라르센 빙붕은 연간 0.27±0.11m씩 얇아졌다. 2004년, 보고서는 라르센 C의 나머지 지역이 비교적 안정된 것으로 보였지만, 계속되는 온난화로 인해 향후 10년 이내에 붕괴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빙산의 분리 과정은 2016년 중반에 시작되었다. 2016년 11월 10일 과학자들은 라르센 C 빙붕을 따라 뻗어나가는 균열을 사진으로 찍어 폭 91m 이상, 깊이 500m로 약 110km를 달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016년 12월까지 균열은 깨지지 않은 얼음이 20km만 남아 있는 지점까지 21km 더 확장되었고 2017년에는 분리가 확실시되었다. 이로 인해 빙붕의 9-12%인 6,000km²가 분리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미국 델라웨어주보다 크거나 룩셈부르크의 두 배 크기이다. 떨어진 조각은 두께가 350m이고 면적은 약 5,000km²로 예측되었다. 그 결과 생긴 빙산은 여러 조각으로 쪼개지지 않는 한 지금까지 기록된 것 중 가장 큰 빙산에 속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017년 5월 1일 MIDAS 회원들은 위성 사진에 약 15km 길이의 새로운 균열이 이전 끝부분에서 약 10km 뒤에서 얼음 전선으로 향하는 주 균열을 분기하는 것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영국 스완지 대학의 과학자들은 이 균열이 5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18km 연장되었고, 13km 미만의 얼음이 거대한 빙산의 탄생을 막는 모든 것이라고 말한다. 에이드리언 러크먼(Adrian Luckman)과 마틴 오리어리(Martin O'Leary)는 수요일 해빙선반 역학 및 안정성 프로젝트(MIDAS)라는 블로그 투고에서 리프트 끝부분이 빙상 전선을 향해 크게 회전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분리의 시기가 매우 임박했음을 나타낸다. 라르센 C 빙붕의 더 큰 덩어리는 "균열 이전보다 덜 안정적일 것"이며 2002년 라르센 B 빙붕과 같은 방식으로 빠르게 분해될 수 있다.

2017년 6월, 라르센 C 빙산의 속도가 빨라졌고, 동쪽 끝이 주빙봉에서 하루 10m 떨어진 곳으로 이동했다. 프로젝트 MIDAS 연구원들이 그들의 사이트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빙산 분리가 임박했다는 또 다른 신호로, 라르센 C 빙붕의 곧 빙붕이 될 부분은 2017년 6월 24일부터 27일까지 속도가 하루에 10m 이상으로 3배 이상 빨라졌다. 빙산은 빙붕에 붙어 있지만 빙붕의 바깥쪽 끝은 빙붕에서 기록된 것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었다.

7월 7일, 프로젝트 MIDAS 블로그 리포트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7월 6일의 최신 데이터는, 축적된 스트레스의 릴리스로, 균열이 몇번이나 분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ESA의 Sentinel-1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얼음 가장자리에서 5km 이내에 여러 개의 리프트 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가 여러 개의 작은 빙산의 형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2017년 7월 12일 프로젝트 MIDAS는 라르센 C의 5,800km²의 큰 부분이 7월 10일에서 12일 사이에 주요 빙붕에서 깨졌다고 발표했다. A-68로 명명된 이 빙산은 무게가 1조 톤이 넘고 두께가 200m가 넘는다.

프로젝트 MIDAS는 2017년 7월 19일 라르센 C에 관한 블로그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7월 중순에 A-68이 분리된 지점에서 북쪽으로 새로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프로젝트 연구진은 라르센 C 빙붕을 안정시키는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지는 바우덴 빙붕이 계속 상승할 위험을 가중시키면서, 이 의문스러운 새로운 균열이 선반 가장자리를 향할 것이라고 느꼈다.

모든 떠다니는 빙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A68이 남극대륙을 떠난 것은 지구 해수면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빙하가 그 뒤의 육지에서 빙붕으로 흘러내리고 있으며, 빙붕의 지지력이 감소하여 이제는 더 빨리 흐를 수 있다. 만약 현재 라르센 C붕이 막고 있는 모든 얼음이 바다로 들어간다면, 지구상의 물은 약 10cm 상승할 것이다.

라르센 D

라르센 D 빙붕은 남쪽의 스미스 반도와 젭스 빙붕 사이에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생각됩된다. 대략 지난 50년 동안 그것은 발전(확장)한 반면, 그에 필적하는 조지 6세, 바흐, 스탕지, 라르센 C 빙붕은 후퇴했다. 라르센 D의 가장 최근의 조사는 그것을 22,600km²로 측정했다. 전체 전선을 따라 빠른 얼음이 있다. 반영구적인 해빙은 두께가 다르고 빙붕 얼음과 거의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얼음 전선을 해석하는 것이 어렵다.[3]

지도

동영상

각주

  1. 라르센 빙붕〉, 《위키백과》
  2. 라르센 빙붕〉, 《요다위키》
  3. "Larsen Ice Shelf", Wikipedia

참고자료

같이 보기

남극 같이 보기

남극대륙
남극 지역
남극의 빙하와 빙붕
남극의 바다
남극의 섬과 기지
남극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라슨빙붕 문서는 세계의 바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