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그린하우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변천사)
잔글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그린하우스.jpg|300픽셀|썸네일|'''그린하우스'''(Green house)]]
 
[[파일:그린하우스.jpg|300픽셀|썸네일|'''그린하우스'''(Green house)]]
  
'''그린하우스'''(Green house)는 차의 외관을 창문 하부 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나누었을 때, 상부 유리 부분과 [[루프]](Roof) 및 [[필러]](pillar)를 포함한 부분이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238&cid=50322&categoryId=50322 그린 하우스]〉,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ref>
+
'''그린하우스'''<!--그린 하우스-->(green house)는 차의 외관을 창문 하부 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나누었을 때, 상부 유리 부분과 [[루프]](Roof) 및 [[필러]](pillar)를 포함한 부분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238&cid=50322&categoryId=50322 그린 하우스]〉,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ref>
 +
{{:자동차 배너|부품}}
 +
 
 
==개요==
 
==개요==
그린하우스는 본래 온실을 의미하는 명사이지만, 자동차 디자인 용어로는 [[벨트라인]](Belt line), 즉 차체의 측면에서 유리창과 도어 패널의 경계선 위쪽의 차체 부분을 이르는 용어로 쓰인다.<ref name="구상"> 구상,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22&wr_id=567&page=8 그린하우스의 디자인과 유리창]〉, 《글로벌 오토뉴스》, 2019-0117</ref> 혹은 차체에서 앞 유리와 옆 유리창, 뒷 유리창, 필러, 루프까지 통틀어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벨트라인 상부를 지칭한다. 그린하우스의 모양에 따라 사람이 탑승하는 캐빈룸 위쪽의 공간이 결정되기도 한다.<ref> 현대자동차그룹, 〈[https://news.hmgjournal.com/TALK/%EC%95%8C%EC%95%84%EB%91%90%EB%A9%B4-%EC%93%B8%EB%8D%B0%EC%9E%88%EB%8A%94-%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C%82%AC%EC%A0%84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HMG 저널》, 2020-02-27</ref> 차체의 유리창은 단지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적 목적 이외에 차량 성격을 좌우하는 이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그린하우스가 출시되고 있다. 보통 그린하우스의 면적이 좁고 날렵할수록 역동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현재에 출시되는 차량의 그린하우스는 디자인이 다소 고착된 면모를 보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그린하우스의 파격적인 시도도 잇따랐다.<ref name="구상"></ref>
+
그린하우스는 본래 '[[온실]]'을 의미하는 명사이지만, 자동차 디자인 용어로는 [[벨트라인]](Belt line), 즉 차체의 측면에서 유리창과 도어 패널의 경계선 위쪽의 차체 부분을 이르는 용어로 쓰인다.<ref name="구상"> 구상,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22&wr_id=567&page=8 그린하우스의 디자인과 유리창]〉, 《글로벌오토뉴스》, 2019-01-17</ref> 혹은 [[차체]]에서 앞 유리와 옆 유리창, 뒷 유리창, [[필러]], [[루프]]까지 통틀어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벨트라인 상부를 지칭한다. 그린하우스의 모양에 따라 사람이 탑승하는 [[캐빈룸]](Cabin room) 위쪽의 공간이 결정되기도 한다.<ref> 현대자동차그룹, 〈[https://news.hmgjournal.com/TALK/%EC%95%8C%EC%95%84%EB%91%90%EB%A9%B4-%EC%93%B8%EB%8D%B0%EC%9E%88%EB%8A%94-%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C%82%AC%EC%A0%84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HMG 저널》, 2020-02-27</ref> 차체의 유리창은 단지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적 목적 이외에 차량 성격을 좌우하는 이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그린하우스가 출시되고 있다. 보통 그린하우스의 면적이 좁고 날렵할수록 역동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현재에 출시되는 차량의 그린하우스는 디자인이 다소 고착된 면모를 보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그린하우스의 파격적인 시도도 잇따랐다.<ref name="구상"></ref>
 +
 
 +
==특징==
 +
그린하우스는 차체에서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벨트라인 상부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디자인적으로는 그린하우스가 좁게 설정되면 날렵하고 감각적인 이미지를 드러내는데 대부분의 [[레이싱카]] 모델이 여기에 속한다. 반대로 그린하우스가 넓게 설정되면 귀엽거나 웅장한 이미지가 강조된다. 대부분의 [[SUV]]나 [[기아자동차㈜]](KIA Motors) [[레이]](Ray)가 이에 해당한다. 기능적으로는 유리창의 설계가 차체 공기저항 계수 및 풍절음 감소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를 위해서 유리면과 차대의 간격을 축소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단차를 무조건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측면 유리가 상하로 움직이는 작동 구간, 차체 부품의 배치까지 변화되어야 한다. 즉, 유리창의 설계는 차체의 다양한 구조물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린하우스의 변경은 1,300mm 정도의 곡률 반경을 지닌 측면 유리를 기준으로 [[도어]](door) 내부의 임팩트 빔(Impact beam)을 비롯해 실내용 [[스피커]](speaker), 또는 파워 윈도(Power window) 모터 등을 배치하는 작업에서 대규모의 설계 변경이 따라야 한다. 예컨대 차대와 도어 차대와 유리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유리를 차체 바깥쪽으로 10mm 정도 밀어낸다면, 스피커와 임팩트 빔 같은 도어 내부 배치 구조 또한 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ref name="구상"></ref>
  
==변천==
+
==역사 및 변천==
1971년에 출시된 [[시트로엥]](Citroën)의 SM 모델은 벨트라인이 차체 뒤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오각형 쿼터 글래스 그린하우스 디자인이 마무리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뒤쪽 테일 게이트의 유리는 디귿 형태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2001년형 시트로엥 피카소(Picasso)는 유리온실 같은 이미지로 제작되었다. 측면과 정면, 후면, 심지어 지붕까지 모두 유리로 뒤덮은 디자인이다. 대체로 일사량이 적은 고위도 유럽 지역의 자동차들은 벨트라인이 낮고 지붕까지 유리창으로 덮는 디자인을 고수하는데, 피카소는 이를 반영한 디자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에 2005년에 출시된 [[닷지]](Dodge)의 매그넘(Magnum)은 벨트라인이 높게 설정되어 좁은 유리창의 차량을 선보였다. 유리창이 좁으면 실내공간을 폐쇄적으로 보이게 하는 동시에 차체 디자인이 성숙해보이는 효과를 낳는다. 두 차량을 비교해보면 피카소와 같이 벨트라인을 낮게 두어 측면 유리창을 넓게 낸 경우에는 차체에 귀여운 이미지를 부여하고, 매그넘처럼 벨트라인을 높이고 측면 유리창이 좁게 디자인된 경우에는 성숙하고 클래식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이 측면 유리창의 넓이는 자동차 디자인에서 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시대에 따라 유행을 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대체로 1980년대까지는 벨트라인이 낮게 설정하여 측면 유리창을 넓게 터주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유행은 시간이 흐르며 점차 반대 방향으로 변해갔다. 시간이 흐르며 유리창의 면적은 감소하고 유리면과 도어 [[차대]](chassis)간의 단차가 줄어들었다. 이는 일종의 유행 같은 흐름도 있지만, 기술적으로 공기저항계수를 낮추기 위한 설계상의 목적이었다. [[아우디]](Audi, AG)의 1970년형 모델과 1986년형 모델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벨트라인의 높이는 앞·뒤 [[펜더]](Fender)의 선 윤곽과 연결되는 높이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측면 유리와 도어 차대 간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시도는 계속 이어졌다. 이러한 측면에서 [[포르쉐]](Porsche)의 파나메라(Panamera)는 도어 차대와 유리면의 단차가 거의 없도록 설계하여 두 요소가 같은 면처럼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실상 창문과 도어 차대를 바꾸면서 차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변형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도전과제를 성취한 셈이다.<ref name="구상"></ref>
+
1971년에 출시된 [[시트로엥]](Citroën)의 SM 모델은 벨트라인이 차체 뒤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오각형 쿼터 글래스로 그린하우스 디자인이 마무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뒤쪽 [[테일게이트]]의 유리는 디귿(ㄷ) 형태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2001년형 시트로엥 피카소(Picasso)는 유리온실 같은 이미지로 제작되었다. 측면과 정면, 후면, 심지어 지붕까지 모두 유리로 뒤덮은 디자인이다. 대체로 일사량이 적은 고위도 유럽 지역의 자동차들은 벨트라인이 낮고 지붕까지 유리창으로 덮는 디자인을 고수하는데, 피카소는 이를 반영한 디자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에 2005년에 출시된 [[닷지]](Dodge)의 매그넘(Magnum)은 벨트라인이 높게 설정되어 좁은 유리창의 차량을 선보였다. 유리창이 좁으면 실내공간을 폐쇄적으로 보이게 하는 동시에 차체 디자인이 성숙해 보이는 효과를 낳는다. 두 차량을 비교해보면 피카소와 같이 벨트라인을 낮게 두어 측면 유리창을 넓게 낸 경우에는 차체에 귀여운 이미지를 부여하고, 매그넘처럼 벨트라인을 높이고 측면 유리창이 좁게 디자인된 경우에는 성숙하고 클래식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이 측면 유리창의 넓이는 자동차 디자인에서 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기에 시대에 따라 유행을 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대체로 1980년대까지는 벨트라인이 낮게 설정하여 측면 유리창을 넓게 터주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유행은 시간이 흐르며 점차 반대 방향으로 변해갔다. 시간이 흐르며 유리창의 면적은 감소하고 유리면과 도어 [[차대]](chassis) 간의 단차가 줄어들었다. 이는 일종의 유행 같은 흐름도 있지만, 기술적으로 공기저항 계수를 낮추기 위한 설계상의 목적이었다. [[아우디]](Audi) 80의 1세대 모델과 2세대 모델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벨트라인의 높이는 앞·뒤 [[펜더]](Fender)의 선 윤곽과 연결되는 높이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측면 유리와 도어 차대 간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시도는 계속 이어졌다. 이러한 측면에서 [[포르쉐]](Porsche)의 파나메라(Panamera)는 도어 차대와 유리면의 단차가 거의 없도록 설계하여 두 요소가 같은 면처럼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실상 창문과 도어 차대를 바꾸면서 차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변형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볼 수 있다.<ref name="구상"></ref>
 +
:{|class=wikitable width=1000
 +
!align=center|시트로엥 SM
 +
!align=center|시트로엥 피카소
 +
!align=center|닷지 매그넘
 +
|-
 +
|align=center|[[파일:시트로엥 SM.jpg|300픽셀]]
 +
|align=center|[[파일:시트로엥 피카.jpg|300픽셀]]
 +
|align=center|[[파일:그린하우스 닷지 매그넘.jpg|300픽셀]]
 +
|-
 +
!align=center|아우디 80 1세대
 +
!align=center|아우디 80 2세대
 +
!align=center|포르쉐 파나메라
 +
|-
 +
|align=center|[[파일:아우디 80 1세대.jpg|300픽셀]]
 +
|align=center|[[파일:아우디 80 2세대.jpg|300픽셀]]
 +
|align=center|[[파일:포르쉐 파나메라 그린하우스.jpg|300픽셀]]
 +
|}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238&cid=50322&categoryId=50322 그린 하우스]〉,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
* 구상,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22&wr_id=567&page=8 그린하우스의 디자인과 유리창]〉, 《글로벌오토뉴스》, 2019-01-17
 +
* 현대자동차그룹, 〈[https://news.hmgjournal.com/TALK/%EC%95%8C%EC%95%84%EB%91%90%EB%A9%B4-%EC%93%B8%EB%8D%B0%EC%9E%88%EB%8A%94-%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C%82%AC%EC%A0%84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HMG 저널》, 2020-02-27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벨트라인]]
 +
* [[유리]]
 +
* [[윈도우 (자동차)|윈도우]]
 +
* [[필러]]
 +
* [[루프]]
 +
* [[온실]]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2022년 9월 20일 (화) 12:11 기준 최신판

그린하우스(Green house)

그린하우스(green house)는 차의 외관을 창문 하부 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나누었을 때, 상부 유리 부분과 루프(Roof) 및 필러(pillar)를 포함한 부분이다.[1]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그린하우스는 본래 '온실'을 의미하는 명사이지만, 자동차 디자인 용어로는 벨트라인(Belt line), 즉 차체의 측면에서 유리창과 도어 패널의 경계선 위쪽의 차체 부분을 이르는 용어로 쓰인다.[2] 혹은 차체에서 앞 유리와 옆 유리창, 뒷 유리창, 필러, 루프까지 통틀어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벨트라인 상부를 지칭한다. 그린하우스의 모양에 따라 사람이 탑승하는 캐빈룸(Cabin room) 위쪽의 공간이 결정되기도 한다.[3] 차체의 유리창은 단지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적 목적 이외에 차량 성격을 좌우하는 이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그린하우스가 출시되고 있다. 보통 그린하우스의 면적이 좁고 날렵할수록 역동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현재에 출시되는 차량의 그린하우스는 디자인이 다소 고착된 면모를 보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그린하우스의 파격적인 시도도 잇따랐다.[2]

특징[편집]

그린하우스는 차체에서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벨트라인 상부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디자인적으로는 그린하우스가 좁게 설정되면 날렵하고 감각적인 이미지를 드러내는데 대부분의 레이싱카 모델이 여기에 속한다. 반대로 그린하우스가 넓게 설정되면 귀엽거나 웅장한 이미지가 강조된다. 대부분의 SUV기아자동차㈜(KIA Motors) 레이(Ray)가 이에 해당한다. 기능적으로는 유리창의 설계가 차체 공기저항 계수 및 풍절음 감소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를 위해서 유리면과 차대의 간격을 축소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단차를 무조건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측면 유리가 상하로 움직이는 작동 구간, 차체 부품의 배치까지 변화되어야 한다. 즉, 유리창의 설계는 차체의 다양한 구조물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린하우스의 변경은 1,300mm 정도의 곡률 반경을 지닌 측면 유리를 기준으로 도어(door) 내부의 임팩트 빔(Impact beam)을 비롯해 실내용 스피커(speaker), 또는 파워 윈도(Power window) 모터 등을 배치하는 작업에서 대규모의 설계 변경이 따라야 한다. 예컨대 차대와 도어 차대와 유리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유리를 차체 바깥쪽으로 10mm 정도 밀어낸다면, 스피커와 임팩트 빔 같은 도어 내부 배치 구조 또한 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2]

역사 및 변천[편집]

1971년에 출시된 시트로엥(Citroën)의 SM 모델은 벨트라인이 차체 뒤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오각형 쿼터 글래스로 그린하우스 디자인이 마무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뒤쪽 테일게이트의 유리는 디귿(ㄷ) 형태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2001년형 시트로엥 피카소(Picasso)는 유리온실 같은 이미지로 제작되었다. 측면과 정면, 후면, 심지어 지붕까지 모두 유리로 뒤덮은 디자인이다. 대체로 일사량이 적은 고위도 유럽 지역의 자동차들은 벨트라인이 낮고 지붕까지 유리창으로 덮는 디자인을 고수하는데, 피카소는 이를 반영한 디자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에 2005년에 출시된 닷지(Dodge)의 매그넘(Magnum)은 벨트라인이 높게 설정되어 좁은 유리창의 차량을 선보였다. 유리창이 좁으면 실내공간을 폐쇄적으로 보이게 하는 동시에 차체 디자인이 성숙해 보이는 효과를 낳는다. 두 차량을 비교해보면 피카소와 같이 벨트라인을 낮게 두어 측면 유리창을 넓게 낸 경우에는 차체에 귀여운 이미지를 부여하고, 매그넘처럼 벨트라인을 높이고 측면 유리창이 좁게 디자인된 경우에는 성숙하고 클래식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이 측면 유리창의 넓이는 자동차 디자인에서 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기에 시대에 따라 유행을 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대체로 1980년대까지는 벨트라인이 낮게 설정하여 측면 유리창을 넓게 터주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유행은 시간이 흐르며 점차 반대 방향으로 변해갔다. 시간이 흐르며 유리창의 면적은 감소하고 유리면과 도어 차대(chassis) 간의 단차가 줄어들었다. 이는 일종의 유행 같은 흐름도 있지만, 기술적으로 공기저항 계수를 낮추기 위한 설계상의 목적이었다. 아우디(Audi) 80의 1세대 모델과 2세대 모델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벨트라인의 높이는 앞·뒤 펜더(Fender)의 선 윤곽과 연결되는 높이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측면 유리와 도어 차대 간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시도는 계속 이어졌다. 이러한 측면에서 포르쉐(Porsche)의 파나메라(Panamera)는 도어 차대와 유리면의 단차가 거의 없도록 설계하여 두 요소가 같은 면처럼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실상 창문과 도어 차대를 바꾸면서 차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변형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볼 수 있다.[2]

시트로엥 SM 시트로엥 피카소 닷지 매그넘
시트로엥 SM.jpg 시트로엥 피카.jpg 그린하우스 닷지 매그넘.jpg
아우디 80 1세대 아우디 80 2세대 포르쉐 파나메라
아우디 80 1세대.jpg 아우디 80 2세대.jpg 포르쉐 파나메라 그린하우스.jpg

각주[편집]

  1. 그린 하우스〉,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 2.0 2.1 2.2 2.3 구상, 〈그린하우스의 디자인과 유리창〉, 《글로벌오토뉴스》, 2019-01-17
  3. 현대자동차그룹, 〈알아두면 쓸 데 있는 자동차 용어 사전〉, 《HMG 저널》, 2020-02-2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그린하우스 문서는 자동차 외장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