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메달

위키원
Smhsmh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0일 (화) 17:14 판 (새 문서: 썸네일|400픽셀|'''2024 파리올림픽 메달''' '''금메달'''은 스포츠나 기타 경쟁 분야에서 최고 성과를 기록한 참가자에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4 파리올림픽 메달

금메달스포츠나 기타 경쟁 분야에서 최고 성과를 기록한 참가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금메달은 해당 대회이벤트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나 팀에게 주어지며, 이들의 노력과 성취를 기념하고 격려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개요

금메달은 주로 운동 경기나 각종 대회에서 가장 높은 업적을 달성한 사람에게 주는 메달이다. 제조 과정에서 적은 양의 으로 도금하거나 합금하여 만든다.

18세기 이래로 금메달은 왕립 덴마크 아카데미와 같은 예술 분야에서 주어지는 상이었는데,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에게 상징적으로 수여하였다. 다른 곳에서는 위신만을 상징했다. 유네스코와 다양한 학회를 포함한 오늘날의 많은 기관에서는 매년, 또는 특별하게 금메달을 수여한다.

대부분의 금메달은 금으로 도금하거나 올림픽 경기처럼 은에 금을 입히는데, 이례적으로 고체 금으로만 만드는 메달로는 로렌츠 메달, 미국의 의회 금메달, 노벨상 메달이 유명하다. 노벨상은 녹금 18 캐럿에 24 캐럿의 금을 도금하는데, 1980년 전에는 23 캐럿의 금을 사용하였다.[1]

대회 메달

메달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경쟁 활동, 특히 체육 분야에서 상으로 주어졌다.

전통적으로 메달은 다음의 금속 순으로 만든다.

  • 금 (또는 황동과 같은 노란 금속)
  • 은 (또는 철과 같은 회색 금속)
  • 청동

이 금속들은 그리스 신화에서 헤시오도스가 설명한 세 가지 인간의 시대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 세 가지 시대는 인간이 신과 함께 살았던 금의 시대, 젊음이 천년까지 지속되는 은의 시대, 그리고 영웅의 시대인 청동 시대이다. (현재 시대는 철의 시대) 금에서 청동으로 갈수록 부식하기 쉬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메달의 기준은 1904년 하계올림픽에서 세워졌다. 1896년 경기에서는 승자에게 은메달을 수여하였고, 2위에게는 동메달을 주었다. 1900년에는 메달 대신에 다른 상을 수여하였다.[1]

올림픽

현대 올림픽 경기에서는 승자가 금메달을 받음으로써 자신의 업적을 인정 받는다.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는 메달을 수여하지 않았다. 1896년 하계올림픽에서는 승자에게 은메달, 2위에게는 동메달을 수여하였다. 1900년에는 대부분의 승자에게 메달 대신에 컵이나 트로피를 수여하였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승자에게 금, 은, 동 메달을 연달아 수여하는 관행은 1904년 경기에서부터 시작되었고, 다른 스포츠 경기에서도 이것을 채용하였다. 메달의 주조는 개최 도시에서 담당한다. 1928년부터 1968년까지의 메달 디자인은 모두 동일한데, 앞면은 플로렌스 예술가 주세페 카시올리의 포괄적인 디자인과 함께 개최 도시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뒷면은 올림픽 우승자를 새긴 포괄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2년부터 2000년까지는 카시올리의 디자인 (또는 약간의 변형)을 앞면에 남겨두고 뒷면에 개최 도시가 자유롭게 디자인을 새겼다. 카시올리의 디자인은 로마의 원형 경기장을 담고 있었는데, 아테네에서 개최한 2004년 하계올림픽부터는 그리스가 본래의 올림픽 발상지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엘레나 보스티가 제작한 새로운 앞면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새롭게 디자인된 앞면에는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가 월계관을 건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최초의 근대 올림픽이 개최된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베이징에서 개최한 2008년 하계올림픽에서는 뒷면에 로고와 함께 옥으로 된 반지를 장식하였다.

동계올림픽 메달은 하계 올림픽에 비해 매우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으로 만들어지며, 은메달과 동메달은 항상 동일한 디자인이다. 2006년에는 도넛 형태의 메달을 선보이기도 했다.

1912년 이후부터 수여하는 금메달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 헌장에 따라서 지름 6cm 이상, 두께 3mm 이상으로 1,000분의 925 순도를 지닌 은에 최소 6그램 가량의 금을 도금한 것인데, 금메달이라는 명칭은 금속 재료 대신에 메달의 색상과 지위를 우선한 것이다.

한국인 중 올림픽 금메달을 처음으로 획득한 사람은 손기정이나, 대한민국 국적으로만 따진다면 양정모가 최초이다.[1]

금메달

우승자인 1위에게 선사한다. 금메달을 딴 사람을 금메달리스트라고 부른다. 올림픽 금메달은 스포츠계에서 가장 영예롭고 권위있는 상 중 하나로 "올림픽 금메달은 하늘이 허락해야 받을 수 있는 상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세계 랭킹 1위도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상이다. 대표적으로 피겨스케이팅선수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배드민턴선수 리총웨이, 테니스선수 노박 조코비치 등만 봐도 알 수 있다. 또, 한국의 태권도선수 이대훈 역시 세계선수권에서 3번이나 금메달을 따고 월드 그랑프리 12연패를 이루어냈지만 유독 올림픽 금메달과는 인연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에게는 그만큼 큰 명예가 주어진다. 사실 한국이 스포츠 강국에 속하는 나라라서 금메달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전종목 통틀어 올림픽 금메달을 단 한 번도 따보지 못한 나라가 수두룩하고 메달 자체를 따본 적이 없는 나라 역시 굉장히 많다.

금메달의 또다른 영예 중 하나로, 시상식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의 소속 국기가 중앙 최상단에 펼쳐지며 동시에 국가가 연주된다. 이때 선수는 환하게 웃거나, 국가를 부르거나, 감정에 복받쳐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전세계가 보는 가장 권위있는 스포츠 대회에서 자국의 국가가 울려펴지고 국기마저 화면에 꽉차게 보여주니 괜히 금메달리스트가 복귀 후 국위선양한 영웅 대접을 받는 게 아니다. 특히 스포츠 약소국이나 국력이 약한 나라에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거의 구국영웅 비슷한 대우을 받는다.

그렇다면 공동 금메달일 때 국가연주 순서는 어떻게 될까? 만약 공동으로 금메달이 나오면 국가 영문등록명 순으로 국가가 연주된다. 국기도 마찬가지로 영문등록명이 빠른 나라의 국기가 왼쪽에 위치한다. 물론 국기의 높이는 같다. 금메달 수상자가 세명일때도 마찬가지. 서울 올림픽 체조 종목에서 소련 선수 두 명이 공동 1위를 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는 소련 국기는 두 개가 같은 높이에 있었으나 소련 국가는 한 번만 연주되었다.

초기에는 1등에게 은메달을 줬으며, 금메달로 변경된 것은 1904 세인트루이스 올림픽부터다. 그때는 순금으로 자그마한 메달을 만들어 줬지만 팔아치우는 선수들이 자꾸 생기고 비싼 재료값 때문에 운영비 문제가 불거져서 1920 안트베르펜 올림픽 때부터는 도금 메달을 수여해 왔다. 현재 규정상으로 금메달은 99.9% 이상의 순은으로 만들고 도금에는 최소 6g 이상의 순금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은메달은 완전히 순은으로 만든다.

초창기 올림픽에서는 특정 종목의 금메달리스트에게 메달 이외의 부상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는 IOC에서 "아마추어 우승자에게 메달 이외의 부상을 수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강경하게 밀고 있어서, 이런 부상을 주는 경우는 없다. 실제로 손기정은 1936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종목에서 금메달과 함께, 나무 묘목과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를 수여받았다. 이후 이 투구는 오랜 시간의 방황 끝에 손기정 선수에게 돌아 왔고, 현재 보물 제904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여러 커뮤니티에서 운동선수의 커리어를 평가할 때 올림픽 금메달을 '올금'이라고 줄여서 이야기하기도 한다.[2]

은메달

준우승한 2위에게 선사한다. 심리학자들이 공인한 가장 불행한 메달이다. 순위는 은메달이 동메달보다 높지만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의 경우 은메달은 결승전을 지고 받는 메달인 반면 동메달은 3위 결정전을 이기고 받는 메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림픽에서 시상식을 보면 결승에서 패하고 은메달을 딴 선수나 팀은 거의 예선탈락을 한 것처럼 아쉬워 하거나 끝내 눈물을 보이는 반면, 3위 결정전을 이기고 동메달을 딴 선수나 팀은 거의 금메달을 딴 것처럼 기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대조 효과(contrast effect)라고 부른다.

물론 언제나 그렇듯이 이것도 케바케로, 몇 가지 예외가 있다.

토너먼트가 아닌, 점수로 채점하는 기록 경기나 한 명씩 한 명씩 차례차례 탈락하는 서바이벌 경기에서는 대부분 은메달이 동메달보다 더 큰 기쁨을 제공한다. 상단에 전술했듯이, 결승에 진출한 단 둘만이 금메달이란 최종 우승을 목전에 두고선 상대방과 겨루는 경우가 아니어서 대조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스피드 스케이팅 또는 봅슬레이와 같은 썰매 종목들과 서바이벌 형식의 사격이 대표적이다. 조영재가 2024 파리 올림픽 권총 속사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은메달을 따내자 대단히 기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때는 조영재의 앞에 있던 중국인 선수가 이미 압도적 성적을 기록하고 있어 금메달을 확정지어놓은 상황이었던지라 조영재로서는 만점을 쏴도 역전이 불가능했기에 또 다른 우승 후보였던 다른 중국인 선수를 3위로 내려앉히고 2위를 사수한 것만으로 대단히 큰 성과였다.

리그전인 경우에는 최종전에서 승리함으로써 2위가 되고 패했으면 순위가 더 처질 수도 있다. 한국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양정모와 최종전 상대 선수가 좋은 예이다. 양정모는 마지막 경기에서 패했지만 1위가 됐다. 상대 선수는 양정모를 근소한 차이로 이겨서 2위가 됐다. 크게 이겼으면 1위, 패했으면 3위가 될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기뻐하는 패자와 아쉬워하는 승자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물론 안 그런 경우도 있다.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의 소련이 그 예시. 마지막 경기를 이기고도 미국에게의 충격패 때문에 화가 나서 메달에 이름을 새기는 관례도 하지 않았다.

상대가 넘사벽의 괴물급으로 센 선수나 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찌감치 단념하고는 결승전에 진출하는 것 자체에 의의를 두고 은메달을 따기 위해 경쟁하며, 은메달 획득으로도 크게 기뻐한다.

동메달이거나 아예 메달을 따지 못한 채 빈손으로 돌아갔음에도 추후에 높은 순위의 선수들이 여러 사유로 실격으로 처리되며 메달을 박탈당하여 은메달로 순위가 상승한 경우.

평소에 주종목이 아니었지만 예상하지 못했던 기량을 발휘하여 은메달을 획득한 경우.

결승전준결승전을 거치고선 금메달을 두고 경합을 벌이는 게 아닌, 여러 명 내지는 팀 단체가 한 번에 각축을 벌이며 금과 은 및 동메달을 바로 단판 승부로 결정짓는 형태 혹은 첫 번째 예시로 전술한, 개인 내지 단체의 기량으로 고득점을 획득하며 순위를 매기는 기록 경기일 경우.

대표적으로 수영, 육상의 트랙 경기들, 쇼트트랙 등과 같은 속도를 겨루는 경주 계열의 종목 및 체조나 피겨 스케이팅과 같은 기록으로 채점하는 경기들.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일 경우 4위는 패자조 준결승 패자가 차지하고 동메달은 패자조 결승 패자, 은메달은 결승전 패자가 받아서 둘 모두 메달이 확정된 상태에서 져서 받는 메달인데, 기성 스포츠에서는 많이 드문 방식이라 심리학 연구를 할 표본이 부족하다. e스포츠나 보드게임 대회에선 꽤 많이 쓰는데, 올림픽에서는 소프트볼을 제외하면 없다고 봐도 된다.

올림픽 메달리스트에게 병역특례 혜택을 주는 대한민국 선수에게는 남성 선수가 메달을 따는 데 실패했을 경우, 좀 다른 은메달 확정이라고 자조하는 드립도 있다. 특히 아시안 게임은 금메달리스트만 병역 혜택을 주므로, 해당 드립이 더욱 성행한다.[2]

동메달

3위 결정전에서 승리한 3위에게 선사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부 종목은 동메달이 2명에게 수여된다. 편의상 동(銅)메달이라고 번역하고 있지만 사실 우리가 동메달이라고 하는 것은 순수한 구리(copper)가 아니라 구리에 주석을 섞은 청동 메달(bronze medal)이다. 영어 bronze medal도 정확한 표현은 아닌 셈이다. 근데 청동 메달이라고 직역할 경우 혼자 쇠 이름이 두 글자가 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편의상 동메달이라고 번역하는 것이다. 어차피 청동 메달과 구리 메달을 구분해서 수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별 문제가 없기도 하다.

또 메달이 금/은/동이라고 해도 다른 성분의 쇠도 얼마 간 섞어 만드는 경우가 많다. 어디까지나 주된 성분이 금 · 은 · (청)동이라는 의미에서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이라고 하는 것이니깐 정확한 성분명을 표기할 필요는 없다. 물론 특이하게 bronze medal과 copper medal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면, 둘을 정확히 구분해서 번역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는 보기 힘들지만 보통은 각각 청동과 동으로 번역된다.

FIFA 월드컵에서도 3, 4위전 승자에게 동메달을 수여했다.[2]

금메달의 상징과 의미

  • 최고의 성취의 상징: 금메달은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1등을 의미하며, 이는 해당 선수의 모든 노력과 훈련이 결실을 맺었음을 나타낸다. 금메달을 획득하는 순간은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실력을 입증하는 순간으로, 이는 대회뿐만 아니라 스포츠 역사에 길이 남는 업적이 된다.
  • 국가적 자부심: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그 국가를 대표하여 우승하게 되므로, 국가스포츠 수준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가적 자부심을 고취시킨다. 많은 국가들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으며, 금메달은 해당 국가의 문화적, 경제적 성취의 상징이기도 하다.
  • 영광의 순간과 개인적인 의미: 금메달은 선수에게 개인적인 영광과 성취감을 제공한다. 수년간의 훈련과 희생을 통해 얻은 금메달은 선수에게 단순히 물질적 가치 이상으로, 인내와 결단력을 통한 최고의 성공을 의미한다. 또한, 금메달은 그 선수의 역사적인 업적으로, 향후 후배들에게 큰 영감을 주게 된다.
  • 글로벌 영향력: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국제적인 스포츠 아이콘이 되며, 그들은 전 세계에서 존경과 찬사를 받는다. 예를 들어, 김연아나 손흥민과 같은 금메달리스트들은 그들의 나라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인물이 되며, 이들이 남긴 업적은 후속 세대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금메달의 상징적 가치

금메달은 단순히 물리적 상징을 넘어서, 그 속에 담긴 가치가 매우 크다. 금메달을 수여받는 선수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자신의 최고를 추구하는 정신을 상징하며, 이는 스포츠가 인간 정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진화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사회적 자아 실현, 국가의 위상 강화, 그리고 글로벌 스포츠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 대회 성별 종목 세부 종목 이름
1 1976 몬트리올 남자 레슬링 자유형 -62kg 양정모
2 1984 로스앤젤레스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2kg 김원기
3 남자 유도 -71kg 안병근
4 남자 유도 -95kg 하형주
5 남자 레슬링 자유형 -68kg 유인탁
6 남자 복싱 -75kg 신준섭
7 여자 양궁 개인 서향순
8 1988 서울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74kg 김영남
9 남자 유도 -60kg 김재엽
10 남자 유도 -65kg 이경근
11 여자 핸드볼 대표팀
12 여자 양궁 개인 김수녕
13 여자 탁구 복식 양영자/현정화
14 남자 레슬링 자유형 -82kg 한명우
15 남자 양궁 단체 박성수, 이한섭, 전인수
16 여자 양궁 단체 김수녕, 왕희경, 윤영숙
17 남자 탁구 단식 유남규
18 남자 복싱 -51kg 김광선
19 남자 복싱 -71kg 박시헌
20 1992 바르셀로나 여자 사격 10m 공기소총 여갑순
21 남자 역도 -56kg 전병관
22 여자 유도 -72kg 김미정
23 남자 사격 50m 소총복사 이은철
24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57kg 안한봉
25 여자 양궁 개인 조윤정
26 여자 양궁 단체 김수녕, 이은경, 조윤정
27 여자 배드민턴 복식 정소영/황혜영
28 남자 배드민턴 복식 김문수/박주봉
29 남자 레슬링 자유형 -74kg 박장순
30 여자 핸드볼 대표팀
31 남자 육상 마라톤 황영조
32 1996 애틀랜타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48kg 심권호
33 여자 유도 -66kg 조민선
34 남자 유도 -86kg 전기영
35 여자 양궁 개인 김경욱
36 여자 배드민턴 단식 방수현
37 혼성 배드민턴 복식 길영아/김동문
38 여자 양궁 단체 김경욱, 김조순, 윤혜영
39 2000 시드니 여자 양궁 개인 윤미진
40 남자 펜싱 플뢰레 개인 김영호
41 여자 양궁 단체 김남순, 김수녕, 윤미진
42 남자 양궁 단체 김청태, 오교문, 장용호
43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54kg 심권호
44 여자 태권도 -57kg 정재은
45 여자 태권도 -67kg 이선희
46 남자 태권도 +80kg 김경훈
47 2004 아테네 남자 유도 -73kg 이원희
48 여자 양궁 개인 박성현
49 여자 양궁 단체 박성현, 윤미진, 이성진
50 남자 배드민턴 복식 김동문/하태권
51 남자 양궁 단체 박경모, 임동현, 장용호
52 남자 탁구 단식 유승민
53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0kg 정지현
54 여자 태권도 -57kg 장지원
55 남자 태권도 +80kg 문대성
56 2008 베이징 남자 유도 -60kg 최민호
57 남자 수영 자유형 400m 박태환
58 여자 양궁 단체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59 남자 양궁 단체 박경모, 이창환, 임동현
60 남자 사격 50m 권총 진종오
61 남자 역도 -77kg 사재혁
62 여자 역도 +75kg 장미란
63 여자 배드민턴 복식 이용대/이효정
64 여자 태권도 -57kg 임수정
65 남자 태권도 -68kg 손태진
66 여자 태권도 -67kg 황경선
67 남자 태권도 +80kg 차동민
68 남자 야구 대표팀
69 2012 런던 남자 사격 10m 공기권총 진종오
70 여자 양궁 단체 기보배, 이성진, 최현주
71 남자 유도 유도 김재범
72 여자 사격 25m 권총 김장미
73 남자 유도 -90kg 송대남
74 여자 펜싱 사브르 개인 김지연
75 여자 양궁 개인 기보배
76 남자 양궁 개인 오진혁
77 남자 펜싱 사브르 단체 구본길, 김정환, 오은석, 원우영
78 남자 사격 50m 권총 진종오
79 남자 체조 도마 양학선
80 남자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6kg 김현우
81 여자 태권도 -67kg 황경선
82 2016 리우데자네이루 남자 양궁 단체 구본찬, 김우진, 이승윤
83 여자 양궁 단체 기보배, 장혜진, 최미선
84 남자 펜싱 에페 개인 박상영
85 남자 사격 50m 권총 진종오
86 여자 양궁 개인 장혜진
87 남자 양궁 개인 구본찬
88 여자 태권도 -49kg 김소희
89 여자 태권도 -67kg 오혜리
90 여자 골프 개인 박인비
91 2020 도쿄 혼성 양궁 단체 김제덕/안산
92 여자 양궁 단체 강채영, 안산, 장민희
93 남자 양궁 단체 김우진, 김제덕, 오진혁
94 남자 펜싱 사브르 단체 구본길, 김정환, 김준호, 오상욱
95 여자 양궁 개인 안산
96 남자 체조 도마 신재환
97 2024 파리 남자 펜싱 사브르 개인 오상욱
98 여자 사격 10m 공기권총 오예진
99 여자 양궁 단체 남수현, 임시현, 전훈영
100 여자 사격 10m 공기소총 반효진
101 남자 양궁 단체 김우진, 김제덕, 이우석
102 남자 펜싱 사브르 단체 구본길, 도경동, 박상원, 오상욱
103 혼성 양궁 단체 김우진/임시현
104 여자 사격 25m 권총 양지인
105 여자 양궁 개인 임시현
106 남자 양궁 개인 김우진
107 여자 배드민턴 단식 안세영
108 남자 태권도 -58kg 박태준
109 여자 태권도 -57kg 김유진[3]

각주

  1. 이동: 1.0 1.1 1.2 금메달〉, 《위키백과》
  2. 이동: 2.0 2.1 2.2 올림픽 메달〉, 《나무위키》
  3. 이동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 《나무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메달 문서는 스포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