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마안산시(중국어: 马鞍山市 mǎ ān shān shì)는 중국 안후이성 동쪽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마안산시의 면적은 4,053㎢이며 인구는 2,159,930명(2020년)이다. 동쪽으로 스주호(石臼湖, 석구호)를 경계로 장쑤성(江苏省) 리수이현(溧水县, 율수현) 및 가오춘현(高淳县, 고순현)과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창강(长江)을 사이로 화현(和县)과 마주하고 있다. 남쪽으로 우후시(芜湖市, 무호시), 우후현(芜湖县, 무호현), 쉬안청현(宣城县, 선성현)과 접하며 우후시(芜湖市, 무호시)내까지 30㎞이다. 북쪽으로 장쑤성(江苏省) 난징시(南京市, 남경시)의 장닝구(江宁区, 강녕구)와 이웃하며 난징시(南京市) 중심까지는 45㎞이다.
마안산시(马鞍山市)은 중국 10대 강철기지(钢铁基地) 중의 하나이며 경내에 안후이공업대학(安徽工业大学)이 있다.
관할 인구 220만명 중 도시 자체에만 130만이 거주하는데, 남쪽의 연담도시화된 당투현까지 포함한 수치이다. 또한 더 남쪽의 우후시와도 점차 도심이 이어지고 있다.
시 인민정부는 화산구(花山区)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위산구(雨山区, 우산구), 화산구(花山区, 화산구), 진자좡구(金家庄区, 금가장구)의 3개 시할구(市辖区)와 당투현(当涂县, 당도현)의 1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낮은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마안산이라는 이름은 "말 안장 산"이라는 뜻이다.) 지역 정부가 "중국의 10대 청정 도시" 중 하나로써 인식을 하고 환경 정책을 수행한 덕분에 중국의 다른 제강 도시들에 비해 오염이 심각하지 않다.
문화유적으로는 차이스지(采石磯)·췌뤄산(翠螺山)·타이바이루(太白樓)·광지사(廣齊寺)·주란묘(朱然墓) 등이 있다.[3][4]
자연환경[편집]
마안산시는 장강 하류의 호적(湖積) 및 충적 평원 지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닝우 단층 함몰 분지의 중남부에 속한다. 이 지역은 좁고 길게 이어진 저평한 구릉과 넓고 평탄한 퇴적 대지, 그리고 평평하고 낮은 하천 및 호수 평원의 지형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마안산시는 대체로 평탄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북쪽이 조금 높고 남쪽이 낮은 형세를 띤다. 이 지역의 구릉과 평원은 불규칙한 톱니 모양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한다. 산체는 주로 중생대의 퇴적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세는 완만하고 일반적으로 해발 150-250미터이다.
대체로 세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북부와 북동부는 구릉 지대이고, 중부는 황토질 점성토로 이루어진 계단 모양의 대지(구릉 지대)이며, 남부는 장강의 여러 지류에 의한 충적 평원과 하천·호수 평원 지대에 해당하며 지형이 평탄하다. 마안산시의 구릉 지대는 주로 서북부와 동북부에 분포하며, 동쪽과 북쪽으로는 장쑤성 경내로 이어진다. 이 지역에서 해발이 가장 높은 곳은 동북부 당투현 보망진과 장쑤성 리수이현 경계에 위치한 헝산으로, 해발 458.8미터이다. 서북부의 강을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이어진 아치형의 작은 구릉들이 분포해 있으며, 차례로 자모산, 마안산, 백벽산, 망부산, 보적산, 취라산이 있다.
마안산시는 아열대 습윤성 계절풍 기후에 속하며, 계절풍이 뚜렷하고 사계절이 분명하며 기후는 따뜻하고 습윤하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지만 약간 적으며, 기온은 정상이고 일조량은 평년보다 적다. 강수량의 시공간적 분포는 고르지 않다. 시내 연간 강수량은 1060.7mm로 평년보다 약 5% 적다. 연간 강수 일수는 129일로 평년보다 7일 많으며, 일 강수량이 50mm 이상인 폭우일수는 3일로 평년과 비슷하다. 연중 일 최대 강수량은 7월 13일에 107mm를 기록했다.
연간 일조 시간은 1838.3시간으로 평년보다 약간 적다. 연평균 풍속은 초속 3.3m이며, 연간 증발량은 1502.8mm이다. 시내 연평균 기온은 16.1℃로 평년보다 0.2℃ 낮다. 연내 계절별 기온 변동은 다르며, 여름철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다른 계절은 평년보다 낮다. 연중 최고 기온은 7월 29일에 38.1℃, 최저 기온은 1월 23일에 –5.9℃를 기록했다.
마안산시에는 200여 종의 야생 동물이 분포해 있다. 그중 포유류는 6목 10과 18종, 양서류는 무미목 4과 9종, 파충류는 2목 7과 14종, 조류는 15목 40과 166종, 어류는 21과 89종이다. 조류 중에는 딱따구리, 백두산, 단정학, 노랑부리저어새, 까치, 화미, 큰두견새, 참새류, 제비류 등이 있다. 또한 오리과와 백로과에 속하는 호수 수조류로는 황부리백로, 논병아리, 백황새 등이 있다.
수생 동물은 70여 종이 있으며, 주요 종으로는 중국 철갑상어, 양쯔강 악어, 백기돌고래, 강돌고래 등이 있다. 어류로는 연지어, 긴코어, 청어, 초어, 렌어, 뱀장어, 쏘가리, 잉어, 붕어, 방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게, 자라, 새우, 조개 등 절지류 갑각동물도 서식하고 있다. 그 외에 외래종으로 담수 백참, 캘리포니아 농어, 반점미꾸리, 잡종잉어, 잡종붕어, 로하스 대하, 남미 흰다리 새우 등이 도입되었다.[5]
한대에 장강 건너편 허현에 구강군 부릉현(阜陵縣)이 설치되었다. 동진 시기 부릉현은 역양현(歷陽縣)으로 개칭되었고, 역양군의 중심이었다. 현 도심 남쪽의 당투현에는 동진 시기 우호현(于湖縣)이 세워졌고, 회남군의 중심이었다.
당나라에는 화주(和州)에 속했고, 대시인 이백이 이곳의 장강에서 익사했다고 전해진다. 송대에는 강남동로 태평주에 속하였고, 우호현에서 현 지명으로 개칭된 당도현이 그 중심이었다.
마안산 시의 장강 남쪽 기슭에서 상류로 240km 거슬러 올라간 곳은 오래된 탄광 지역이었다. 1930년대에 철로가 개통되면서 화이난 탄전은 일본인들이 철강 작업을 하는데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비록 산업 설비는 2차 대전 중에 파괴되었지만 1953년에 복구되었고 마안산은 중국 공산당의 5개년 계획 하에 급속히 발전하였다. 마안산에는 또한 황과 석회석 광산이 있고 화학과 시멘트 공장이 있다. 1954년에 마안산은 현급 행정구역으로 승격되었고 1956년 10월 12일에 마안산 시가 설치되었다.
철광석·인(燐)·황 등 풍부한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는 중국 최대의 철강공업기지로 알려져 있다. 철광석 매장량 16억 5000만t, 유황 매장량 2억 6200만t, 인 매장량은 1500만t이다. 그밖에 기계·화학·방직·건축자재 등의 공업도 활발하며, 중국 10대 제철기지로 꼽힌다.
마안산의 연간 제조업 투자는 안후이 성에서 1위를 달리고 있고 GDP는 허페이, 안칭, 우후에 이어 4위이다. 마안산의 인구는 성에서 16위이고 1인당 GDP는 7,118달러로 안후이 성에서 1위이고 장강 삼각주의 평균과 비슷하다.
시역(市域) 안 및 남쪽의 당투현 일대에 펼쳐지는 대철광상에서 채굴되는 철광석과 화이난[淮南]탄전의 석탄을 바탕으로 대규모 철강콤비나트가 건설되었다. 콤비나트는 제철·제강·화학제품 제조 등을 포함하며, 고건선재공장·마안산강철공사·중국제17야금건축공사·강철설계연구원·광산연구원·화둥야금학원 등이 있다.
교통은 마안산의 경제와 산업을 국가 평균 이상으로 끌어올리는데 기여하고 있다. 마안산의 심수 하항 세관은 동부 해안과 장강 유역의 내륙 도시들 간의 빠르고 저렴한 교통을 보장한다. 난징 루커우 공항이 마안산에서 40km 떨어져 있고 이곳에는 중국의 다른 지역 및 유럽으로 가는 직항 노선이 있다. 도로 교통으로는 마안산은 간선도로에 의해 난징, 상하이, 항저우, 닝보, 허페이, 우후와 연결된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마안산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충칭시 중심지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