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량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c/cb/%EA%B0%84%EC%91%A4%EC%84%B1_%EC%9C%84%EC%B9%98.png/300px-%EA%B0%84%EC%91%A4%EC%84%B1_%EC%9C%84%EC%B9%98.png)
핑량시(중국어: 平凉市 píng liáng shì)는 중국 간쑤성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핑량시의 면적은 11,196.71km²이며 인구는 1,848,607명(2020)이다. 동쪽으로는 산시성(陕西省, 섬서성) 셴양시(咸阳市, 함양시), 서쪽으로는 간쑤성 딩시시(定西市, 정서시), 바이인시(白银市, 백은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산시성(陕西省, 섬서성) 바오지시(宝鸡市, 보계시), 간쑤성 톈수이시(天水市, 천수시)와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닝샤고원(宁夏固原), 간쑤성 칭양시(庆阳市, 경양시)와 접해 있는 간쑤성 동부의 중요한 거점 도시이다. 또한 시안시(西安市, 서안시), 란저우시(兰州市, 란주시), 인촨시(银川市, 은천시)의 3대 성회(省会) 도시의 지리학적 중심지이며 사주지로(丝绸之路) 북선(北线) 동단(东端)의 중요한 지점이다.
시 인민 정부는 쿵퉁구(崆峒区, 공동구) 시대가(西大街, 서대가)에 소재하고 있으며 행정구획은 징닝현(静宁县, 정녕현), 좡랑현(庄浪县, 장랑현), 링타이현(灵台县, 영대현), 충신현(崇信县, 숭신현), 화팅현(华亭县, 화정현), 징촨현(泾川县, 경천현) 및 쿵퉁구(崆峒区, 공동구)의 1개 시할구, 6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이족 무슬림도 다수 거주하여 아랍어 학교가 있었지만 2018년 시진핑의 중국화 정책으로 폐교되었다. 핑량제4초등학교는 2011년 제1회 JS컵 동아시아유소년친선축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특산물로는 양피·바이허산약(百合山葯) 등이 있으며, 문화재로는 류후호(柳湖)·룽인사(龍隱寺) 등이 있다. 현지의 핑량직업기술대와 한국의 우석대학교가 핑량 캠퍼스를 합작 운영하고 있다.
헌원신화의 장소이자 도교 성지인 쿵퉁산(崆峒山)이 위치한다. 도심인 쿵퉁구의 유래이다. 별칭은 서출장안제일성이다.[3][4][5]
자연환경[편집]
핑량시는 치뤼허(祁吕贺) "산(山)"자형 구조의 축인 허란첩대(贺兰褶带) 동쪽, 얼르둬쓰(鄂尔多斯) 지대 서쪽의 남북 축선 남단, 즉 타이통산(太统山)에서 다타이쯔(大台子) 복배사(复背斜) 구간에 위치한다. 평량시는 류판산(六盘山), 룽산(陇山), 화자링(华家岭) 등 산맥의 융기로 인해 동부 황토 고원의 계곡 지형, 중남부의 중산 산맥 지형, 서부의 능선과 구릉 계곡 지형 등 세 가지 주요 지형 단위를 형성하였다.
핑량시는 반건조, 반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전 성(省)의 기후 구역으로 보면 징웨허(泾渭河) 냉온대 아습윤 구역에 속하고, 농업 기후 구역으로는 룽둥(陇东) 온화한 아습윤 농업 기후 구역에 속한다. 기온 기준에 따르면 평균 기온이 22℃ 이상은 여름, 10℃ 이하가 겨울, 10~22℃는 봄과 가을로 구분된다. 봄과 여름은 106일, 가을은 77일, 겨울은 182일이다. 생물 계절과 농사 활동에 따른 기준으로는 0℃ 이상에서 15℃ 미만은 봄, 15℃ 이상은 여름, 15℃ 미만에서 0℃ 이상은 가을, 0℃ 이하는 겨울로 나뉘며, 평량시의 봄은 3, 4, 5월, 여름은 6, 7, 8월, 가을은 9, 10, 11월, 겨울은 12, 1, 2월이다.
핑량시의 기후는 남쪽이 습하고 북쪽이 건조하며, 동쪽이 따뜻하고 서쪽이 시원하다는 특징이 있다. 지형과 해발고도에 따라 기후의 수직적 차이가 뚜렷하다. 일반적으로 해발이 100m 높아질 때마다 생육기가 5일 줄어들고, 10℃ 이상의 적산온도는 107℃ 감소하며, 무상기는 3.1일 짧아진다. 연평균 강수량은 511.2mm이며, 계절별 강수량 분포가 매우 불균등하다. 겨울과 봄에는 강수량이 적고, 6월 하순부터 우기가 시작되어 10월 상순에 끝난다. 주요 강수는 7, 8, 9월에 집중된다. 연도 간 강수량 변화가 커서, 1964년에는 744.5mm로 최대치를 기록했고, 1942년에는 249.9mm로 최소치를 기록했다. 3~10년 주기로 한 번씩 강수량이 400mm 미만인 건조 연도(枯水年)가 나타나며, 건조 연도 이후에는 강수량이 600mm인 풍수 연도(丰水年)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룽산여맥(余脉)의 지형적 영향으로 강수의 지역 분포가 뚜렷하지만, 전반적으로 서남에서 서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서남부 산악 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600mm 이상, 서북부의 안궈(安国), 다친(大秦), 시양(西阳) 일대는 500mm 이상, 징허 천곡 지역과 북부 원지대는 약 550mm에 달한다. 연중 대부분은 고공 서풍 기류의 영향을 받으며 평균 풍속은 2.16m/s(2급)이다. 연평균 최대 풍속 17m/s(8급)는 9회, 연내 최대 25회 기록된다. 가을과 겨울에는 서북풍이, 봄과 여름에는 주로 동남풍 또는 동풍이 불며, 주요 풍향은 동쪽, 동동남, 동남, 서쪽, 서서북, 서북이다. 이는 하천 계곡 방향과 일치하는 지형풍을 형성한다.
징허(泾河)와 주요 지류의 시 경내 구간은 징허 중상류에 속하며, 팔리차오(八里桥) 이상에서 남북 두 갈래로 나뉜다. 남쪽 갈래는 징허의 주요 줄기이며, 먀오디춘(庙底村) 이상에서 다시 첸샤(前峡)와 허우샤(后峡) 두 갈래로 나뉜다. 첸샤 지류는 징위안현(泾源县)과 좡랑현(庄浪县) 경계에 있는 치우터우산(湫头山) 북쪽 산기슭에서 발원하며, 징허의 원류로 다인산(大阴山) 인근에서 시 경내로 흘러든다. 허우샤 지류는 징위안현 와야오거우(瓦窑沟)에서 발원하여 옌촨쯔(严川子)를 거쳐 시 경내로 유입된다. 북쪽 갈래는 예허(颉河)라고도 불리며, 닝샤 후이족 자치구(宁夏回族自治区) 구위안현(固原县) 츠거우먼(刺沟门) 서쪽의 류판산(六盘山) 지역에서 발원하여 하오뎬(蒿店) 동쪽에서 시 경내로 들어와 팔리차오에서 남쪽 갈래와 합류한다.
징허는 전역을 가로지르며, 길이는 75km이다. 먀오촨(庙川) 일대에서는 협곡 구간을 이루며, 하천 계곡이 깊이 패여 있다. 먀오촨 아래로는 계곡이 급격히 넓어지며, 가장 좁은 곳은 1.5km, 가장 넓은 곳은 3.5km에 이른다. 화쏘(花所) 아래로는 다시 좁아진다. 하천의 경사는 팔리차오 서쪽에서 약 9%, 팔리차오 동쪽에서는 약 5~6%이다.
징허는 상시 하천에 속하지만, 강수량의 계절적 영향을 받아 유량 변화가 크다. 팔리차오 수문 관측소의 1974~1979년 자료에 따르면, 남북 두 갈래의 유역을 포함하여 집수 면적은 1,305제곱킬로미터, 연평균 유량은 초당 5.6세제곱미터(연간 유량 1억 7,670만 세제곱미터)였다. 연도별 유량 변화는 크며, 예를 들어 1974년 연간 유량은 8,830만 세제곱미터였고, 1976년은 2억 9,240만 세제곱미터였다. 유량 모수는 4.29리터/초/제곱킬로미터이다.
징허의 연간 유량 분포는 매우 불균형하며, 8월, 9월, 10월의 유량이 연간 유량의 54.7%를 차지한다. 하천의 최대 홍수량은 초당 404세제곱미터(1978년 7월 18일)에 달했으며, 주요 농작물인 밀의 관개가 필요한 4월, 5월, 6월의 유량은 연간의 11.4%에 불과했다. 1979년 가뭄기에는 단기간의 단수 현상도 발생했다.
징허 경내에는 크고 작은 지류가 총 154개 있으며, 그중 북쪽 지류가 80개, 상시 유량이 있는 지류가 40개이다. 남쪽 지류는 74개이며, 상시 유량이 있는 지류는 40개이다. 양쪽 지류의 총 상시 유량은 약 초당 1.05세제곱미터에 달한다.
2023년, 시 전체 연간 수자원 총량은 4억 9,100만 세제곱미터였다. 연말 기준 시 전체 중대형 저수지 저수량은 8,400만 세제곱미터로 전년 말 대비 11.6% 감소하였다. 연간 총 용수량은 2억 5,600만 세제곱미터로 전년 대비 8.8% 감소하였다. 이 중 생활용수량은 6,229만 세제곱미터로 2.6% 감소하였고, 공업용수량은 3,616만 세제곱미터로 9.2% 감소하였으며, 농업용수량은 1억 4,900만 세제곱미터로 12.3% 감소하였다. 반면, 생태용수량은 852만 세제곱미터로 24.6% 증가하였다.
핑량시 경내에는 식물 51과, 84속, 254종이 분포하며, 야생동물은 31종이 있다. 주요 한약재로는 당삼(党参), 황기(黄芪), 감초(甘草), 대황(大黄), 패모(贝母), 동화(冬花) 등 150여 종이 있다.
핑량시 경내에서 확인된 광물 자원으로는 석탄, 철광석, 석회암 외에도 석유, 알루미늄, 인광석, 유혈암, 황철광, 규사, 백운암, 내화 점토 등 11종이 있다.
역사[편집]
핑량시는 중화민족과 화하 문명의 중요한 발상지 중 하나로, 약 8천 년 전 중화의 인문 시조인 복희(伏羲)가 징닝(静宁) 고성기(古成纪)에서 태어났으며, 4700여 년 전 황제(轩辕黄帝)가 세 번이나 콩통산(崆峒山)에서 도를 물었고, 3000여 년 전 주(周) 왕조의 선조가 징허(泾河) 유역에서 비교적 발전된 농경문화를 창조하였다. 건원 12년(376년), 전진(前秦)의 대장군 부견(苻坚)이 전량(前凉)을 공격하여 평량군(平凉郡)을 설치하였고, “량국(凉国)을 평정한다”는 의미에서 평량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역사적으로 황제가 도를 물었던 이야기, 문왕(文王)이 밀(密)을 정벌했던 일, 진시황(秦皇)이 하늘에 제사를 지낸 사건, 한무제(汉武帝)의 서행(西巡) 등 수많은 역사적 사건이 전해져 내려오며, 세계 침구 의학의 창시자인 황보밀(皇甫谧), 남송(南宋) 항금(抗金)의 명장인 오계(吴玠)와 오린(吴璘), 명대(明代) "가정 8재자(嘉靖八才子)" 중 한 명인 조시춘(赵时春) 등을 배출하였다.
중국 신화 속 헌원이 영생을 얻기 위해 관성자를 만났다는 쿵퉁산이 있다. 한대 안정군에 편성되었고, 현 시가지 북서쪽에 경양현(涇陽縣)이 설치되었다. 전진 ~ 북위 시기에 현 지명의 어원이자 량(옹량)을 평정한다는 의미인 평량군(平凉郡)이 신설되어 그에 속했다.
(376년 무렵) 수당대에는 서북쪽 구위안을 중심으로 한 원주(原州)에 속했고, 현 시가지에 평량현(平凉縣)이 설치되었다. 당말인 809년에는 위주(渭州)의 치소가 되었고, 880년에는 토번에게 점령되었다. 10세기 후당에 의해 재차 위주가 설치되었고 송대인 1117년에 평량군절도가 설치되었다.
금나라의 정복 후 1131년 평량부(平凉府)가 설치되었고[1] 1219년 섬서서로의 치소가 되었다. 원대에는 섬서행성에 속하였다.
명대에 평량부는 섬서포정사사에 속하였고 청대인 1699년에는 이웃의 칭양과 함께 감숙평경도에 편성되었다. 청대에는 평경경고도에 속했다가 신해혁명 이후 농동도를 거쳐 경원도로 개편되었다. 1930년대에는 핑량 행정독찰구가 설치되었고 1949년 인민해방군이 점령한 후에는 핑량현이 되었다. 1950년 핑량시로 승격되었다가 1964년 재차 핑량현으로 강등되었다. 1983년 다시 협급시가 되었고, 2002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산업[편집]
간쑤성 최대의 전력 사업기지, 농림산업기지이며 서북의 중요한 목축업 및 약재 산지이다. 2023년 평량시는 지역 생산 총액(GDP) 668억 5700만 위안을 달성하였으며, 전년 대비 5.6% 증가하였다. 이 중 제1산업 부가가치는 163억 9800만 위안으로 6.0% 증가하였고, 제2산업 부가가치는 190억 9800만 위안으로 2.9% 증가, 제3산업 부가가치는 313억 6000만 위안으로 6.6% 증가하였다.
교통[편집]
웨이허강(渭河)의 지류 징허강(涇河)의 남쪽 기슭에 있으며, 동쪽의 시안(西岸)과 서쪽의 란저우(蘭州)를 잇는 자동차 도로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관내에 핑량역(平凉站)과 핑량난역(平凉南站)이 존재하며, 둘 다 바오중철도(宝中铁路)가 지나간다. 공항은 현재 없으나 핑량 쿵둥산 공항(平凉崆峒山机场)이 건설 예정이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핑량시〉, 《위키백과》
- 〈핑량시〉,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핑량시〉,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핑량〉, 《네이버 지식백과》
- 〈平凉市〉, 《百度百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