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카쩌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르카쩌시(중국어: 日喀则市 rì kā zé shì)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르카쩌시의 면적은 182,066.26km²이며 인구는 798,153명(2020)이다. 아리지구과 인접하고, 북쪽으로는 나취시, 동쪽으로는 라싸시와 산난시, 서쪽으로는 아리지구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네팔, 부탄,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르카쩌시에는 1개의 시할구와 17개의 현이 있다.
현행의 정식 호칭은 「뜻한대로 이루어지는 지고한 장원」을 의미하는 「시까쌈된둡빼체모 (གཞིས་ཀ་བསམ་དོན་འགྲུབ་པའི་རྩེ་མོ)」의 약칭이다. 원나라 제정 20년(1360년)부터 일카제는 행정 구역을 갖추기 시작했다. 시내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주무랑마봉이 있는 정리현이 있다. 상주지 종堡와 강자 고성은 과거의 정치 종교 중심지였다. 그 외에도 자시룬부 사원, 백구 사원, 사가 사원 등 유명한 사원들이 있다. 아동 국경, 장목 국경, 지롱 국경, 리즈 국경 등도 위치해 있다. 일카제는 티베트 남부의 작은 강남이라 불리는 히말라야 남쪽의 6대 명계곡을 자랑한다. 이들 계곡은 아동 계곡, 천당 계곡, 가마 계곡, 용하 계곡, 장목 계곡, 지롱 계곡 등이 있다. 또한, 티베트 지역 부차이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중심 도시로, 남아시아로 개방하는 도시로의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타쉴훈포 사원이 있다. 타쉴훈포 사원은 판첸라마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라싸의 포탈라궁 + 드레풍사원 과 비슷한 위치. 즉 사원이기도 하면서 라마의 궁전이기도 하다. 그래서 타쉴훈포 사원 안에 역대 판첸라마의 무덤도 있다.
중국 도시치곤 인구가 많은 곳은 아니다. 중국의 행정체계 특성상 정확하지는 않으나 전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이다. 행정구역 전체 면적이 워낙 넓다 보니 한국 기준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의 규모를 보려면 시의 중심부에 있는 성북가도(城北街道)와 성남가도(城南街道)의 면적과 인구를 보는 것이 좋다.
모직물이 유명했으며, 1950년대 이후 세워진 발전소로 전기가 공급된다. 2025년 1월 7일 규모 6.8~7.1의 지진이 발생했다.[3]
자연환경[편집]
르카쩌시는 전반적으로 히말라야 산맥 중부와 강디스-念青唐古拉 산맥 중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남북으로 고도가 높고, 그 사이에는 티베트 남부 고원과 야루짱부강 유역이 있다. 일카제시의 지형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기본적으로 고산, 넓은 계곡과 호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 해발 고도는 4000미터 이상이다.
전국적으로 중요한 히말라야 산맥은 일카제시 남부를 가로지르며, 이 산맥은 세계에서 가장 젊고 높은 산맥으로 평균 해발 6000미터 이상이다. 이 지역에는 여러 높은 봉우리가 있다. 특히 일카제시에 있는 8000미터 이상의 봉우리 5개는 주무랑마봉(해발 8848.86미터), 로자봉(8516미터), 마카루봉(8463미터), 조오유봉(8201미터), 희샤방마봉(8012미터) 등이다. 이 중 주무랑마봉은 일카제시와 네팔 국경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해발 8848.86미터에 달한다. 티베트 남부의 강변 지역은 야루짱부강과 연추강 유역을 포함하고, 주요 평야는 라자-렌부 넓은 계곡과 강자-일카제 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중요한 평야로는 히말라야 산맥 북쪽과 티베트 남부 고원에 있는 펑추강 계곡 평야도 포함된다. 이 지역들은 기후가 온화하고, 수원이 풍부한 곳으로, 토양이 깊고 경사가 완만하다.
르카쩌시는 대체로 세 가지 주요 기후 유형을 가진다. 히말라야 산맥 북쪽과 강디스-년청탕굴라 산맥 남쪽은 고원 온대 반건조 기후를, 강디스-년청탕굴라 산맥 북쪽 일부 지역은 고원 아한대 기후를, 히말라야 산맥의 주 능선 남쪽은 고원 온대 계절풍 반습윤 기후를 나타낸다. 일카제의 기후 특징은 대기 압력이 낮고 산소가 부족하며, 일조 시간이 길고, 연평균 일조 시간은 3300시간에 달한다. 기온은 상대적으로 낮고, 연교차는 작고, 일교차가 크다. 연평균 기온은 서부 아한대 지역에서 0℃, 동부 온대 지역에서 6.5℃로, 평균 연간 기온은 6.3℃에 달한다. 겨울에는 한파가 없고 여름에는 무더위도 없으며, 가장 추운 달 평균 기온은 2℃에서 12℃ 사이,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은 10℃에서 18℃ 사이이다. 일카제의 일교차는 서북부에서 16℃, 동부에서는 14℃에 이른다.
르카쩌시의 강수량은 뚜렷한 건기와 우기로 나뉜다.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는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온도가 낮고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10%도 되지 않는다. 5월에서 9월까지는 온화한 기후에 습도가 높고, 강수량은 연간 90% 이상을 차지한다. 비는 주로 7월과 8월에 집중되며, 이 기간 동안 야경비와 천둥번개, 우박이 자주 발생한다.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더 많고, 200-430mm 사이로 분포한다. 서북부 지역은 강수량이 적고, 200mm 미만이다. 강수량의 연도별 변동이 크고, 일카제시의 무서리 기간은 120일 이상이며, 눈의 강도는 약하다.
르카쩌시에는 100여 개의 강이 흐르고 있으며, 티베트에서 가장 긴 강인 야루짱부강은 일카제시 중바현의 제마양종 빙하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중바, 사가, 지롱, 앙인, 라자, 사가, 셰통먼, 일카제, 남무린, 렌부 등 10개 현을 거쳐 흐른다. 이 강의 총 길이는 700km, 유역 면적은 10만㎢ 이상이다. 그 외에도 연추강, 펑추강, 다쉬옹짱부, 중추강, 용강, 예루강, 캉부강, 지롱강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은 인도양 수계에 속한다. 강수원은 지하수, 비, 빙하의 녹은 물로 보충되며, 수온은 낮고, 사질이 적고 수질이 좋다. 유량은 계절에 따라 불균형하고, 연중 변동은 적다.
르카쩌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목 품종으로는 고산소나무, 히말라야 가문비나무, 히말라야 전나무, 자작나무, 티베트 낙엽송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장잎 가문비나무, 철쭉나무, 장잎 소나무, 히말라야 홍두송, 설송 등은 특유의 고급 품종이다. 일카제에는 또한 수많은 전형적인 고산 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개는 좌판 형태로 자라며 줄기와 잎이 솜털처럼 발달하고 크고 색상이 선명하여 바람과 눈을 이겨내며 강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수많은 야생 식물 중에서는 많은 것들이 독특한 약용 가치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유명한 것들은 배부(백합), 당삼, 충산, 천마, 설련화, 황기, 후황련, 홍경천, 당귀, 대황, 수우, 마황, 차전자, 초오, 자운 등 300여 종이 있다. 일카제시는 약초 자원이 풍부하며, 흔히 사용되는 약초 품종으로는 충산, 배부, 천마, 설련화, 홍경천, 대황 등이 있다.
르카쩌시의 동물 자원은 매우 풍부하다. 주요 가축으로는 야크, 황소, 멧소, 말, 당나귀, 산양, 양, 돼지, 닭 등이 있다. 야생 동물로는 히말라야 산 남사면의 아열대 및 온대 숲에 서식하는 작은 판다, 긴꼬리잎원숭이, 야생 소, 갈색곰, 흑곰, 표범, 원숭이, 멧돼지, 강자, 야생 고양이 등 수십 종이 있다. 설선 부근에는 눈표범과 바위양이 살고 있으며, 히말라야 산 북쪽의 고원에서는 야크, 당나귀, 바위양, 영양, 황양, 반양, 여우, 야생토끼, 사슴, 야생늑대, 슈크리, 다람쥐 등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새의 자원으로는 마닭, 티베트설계, 대머리독수리, 흑목처, 혈계, 물새, 야생오리, 얼룩눈물, 홍입제비, 갈색머리새, 붉은입새, 태양새, 산참새, 야생비둘기, 바위비둘기, 참새 등 200여 종이 있다. 그 중 야크, 당나귀, 티베트 영양, 바위양, 눈표범, 흑목처는 국가 1급 보호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
르카쩌시에서 발견된 광상, 광물(화학) 지점 및 탐사 지점은 총 234곳에 이르며, 금, 은, 아연, 납, 리튬, 안티몬, 수은, 구리, 철, 망간, 세슘, 크롬, 붕소, 운모, 비소, 식염, 마그네시아, 칼륨, 수정, 황, 인, 명반석, 석탄, 토탄, 석유셰일, 마그네슘석, 자기흙, 석고, 흑연, 석회석, 렌부옥석 등 46종이 있다. 그 중 붕소의 매장량이 상당하다. 주요 채굴 광물로는 금, 구리, 납, 아연, 크롬, 안티몬, 옥, 붕소, 광천수, 화강암 등이 있다.
역사[편집]
1950년대부터 지질학자와 고고학자는 장북 고원에서 많은 타제석기를 발견했다. 그 형상과 제조 공정은 유목 문화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지금부터 15만 년 전의 구석기 시대 중기부터 말기의 것이다.
나취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샹슝 문화이며, 사서에는 양동(羊同)이라고 전해진다. 티베트어의 사료에서 이 지구는 「탁대」(卓岱)라 불르며 「유목 부락」을 의미한다. 이 지역의 주민은 유목민을 의미하는 「탁파」또는 북쪽의 사람을 의미하는 「강파」또는 북쪽의 부락을 의미하는 「강일」이라고 불렸다.
샹슝의 최전성기에 이 땅은 내샹슝, 외샹슝, 중샹슝으로 나뉘었으며, 지금의 나취 지구는 대부분이 중(中)샹슝과 외(外)샹슝에 해당한다. 중샹슝의 중심 「당야경종」(当惹瓊宗)은 현재 나추 지구 서남쪽의 구석에 있는 당야옹착(当惹雍錯)의 호반 일대에 해당한다. 샹슝의 쇠퇴 후, 서쪽 지역은 축소된다. 7세기 전후, 지구의 동부 지역은 소비부족(蘇毘部族)에 귀속되었다. 그 후 티베트족이 힘을 키워, 송첸캄포의 시대에 전 티베트를 통일해 강대한 티베트 왕조를 수립했다. 장북도 그 지배하에 있었다.
1916년 티베트 정부가 티베트 북부를 관할하는 행정구역인 호르 지캽을 설치했고, 1942년 다시 창춥(བྱང་ཆུབ་།) 지캽으로 개칭하였다. 중국이 티베트를 점령한 이후 1959년 티베트의 기존 행정구역을 폐지하면서 창춥 지캽을 헤이허(黑河)로 개칭했다가 헤이룽장성의 동명의 행정구역과의 혼동을 피하고자 1960년 현재의 이름인 나취지구로 다시 개칭하였다. 이후 2006년엔 칭짱철도가 개통되면서 나취에 기차역이 개통되었고, 2018년에는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산업[편집]
1959년의 민주 개혁 이전, 시가체 지구의 공업은 현대적이 아닌 봉건농노 제도 하에 있었고, 직공은 천한 신분으로 차별을 받고 있었다. 개혁 이래, 지구 내에 발전을 이뤄, 화학공업, 기계, 건재, 임업, 자동차 수리, 식품, 교재, 생수 등의 기업이 탄생하였다. 민족 수공업 또한 발전하여 금은 가공, 모피 제품, 깔개, 선물류 등이 국내외에서 유명하다.
교통[편집]
2010년 10월 19일에 개항한 국내선 전용공항인 르카쩌 허핑 공항이 있어서 티베트항공 및 중국동방항공이 청두, 시안, 상하이를 연결하고 있다.
2014년도에 티베트자치구 수도 라싸시에서 르카쩌시를 잇는 라르철도(拉日铁路)가 개통되어 직달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수부 라싸에서 인도 북부 시킴 지방으로 가는 도로와 네팔로 가는 여러 통상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네팔 측의 경우 대표적으로 장무 통상구와 지룽 통상구가 있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