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아리지구(중국어: 阿里地区 ā lǐ dì qū)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서부에 위치해 있는 지구이다. [1][2]
아리지구의 면적은 296,822.62km²이며 인구는 123,281명(2021)이다. 남쪽은 인도의 히마찰프라데시주, 르카쩌시, 동쪽은 나취시, 북쪽은 신장위구르자치구, 서쪽은 인도, 파키스탄 간에 분쟁 중인 카슈미르 지방과 접한다. 2022년 10월 기준, 아리지구는 7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청 소재지는 가얼현(噶尔县) 스취안허진(狮泉河镇)이다.
티베트족, 한족, 몽골족, 회족, 위구르족 등 총 34개 민족이 거주한다. 자치구 내에서 지급시로 승격되지 않은 마지막 지구(地區)이다.
아리지구는 티베트자치구가 남아시아로 개방되는 교두보이자, 국가 안보를 위한 서부 전략 요충지, 중국의 광물 자원 비축 기지, 서부 교통 및 물류 중심지, 고원 특색 목축업 생산 기지이다. 또한, 강디스 국제 관광 협력 구역 및 생태 안전 방패의 핵심 지역으로 자리하고 있다. 평균 해발고도는 4500m로, "천산의 근원, 만수의 발원지"라 불린다. 히말라야산맥, 강디스산맥, 카라코람산맥, 쿤룬산맥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강린포치(冈仁波齐), 구게 왕국 유적, 토린사(托林寺), 짜다 토림(札达土林) 등이 유명한 관광지다.
지구의 남쪽에 카일라스 산이 위치해 있다. 서쪽의 인도 국경은 인도와의 분쟁 지역인 아크사이친으로,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이 이 지역에서 벌어지기도 했다.[3]
자연환경[편집]
아리지구의 지형은 복잡하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북부 고원 호분 지대는 거거현(革吉县), 초친현(措勤县), 가이쯔현(改则县), 리투현(日土县)을 포함하며, 내륙 하천 지역이다. 기후가 건조하여 유수 작용이 약하고, 고원 면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주요 지형은 고원 호분, 넓은 계곡, 산악 지형이다. 중부 고산 넓은 계곡 지대는 푸란현(普兰县), 초친현, 거거현, 리투현, 가얼현이 포함된다. 서부는 외부로 흘러가는 하천 지역으로, 하천이 길고 유량이 많으며 침식이 깊다. 주요 지형은 호분, 하곡, 산악이다. 남부 고산 협곡 지대는 짜다현(札达县)과 푸란현을 포함하며, 외부로 흘러가는 하천 지역으로 침식이 깊어 고산 협곡 형태를 띤다. 주요 지형은 하곡과 산악이다.
아리지구의 평균 해발고도는 4500m로 "천산의 근원, 만산의 조상"으로 불린다. 지구 내에는 히말라야산맥, 강디스산맥, 카라코람산맥, 쿤룬산맥 등 여러 산계가 있으며, 남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고원의 골격을 이룬다.
산맥 사이에는 너비가 다양한 구조적 계곡과 단층 호분이 분포하며, 이들 사이에는 수십 개의 2차 산맥이 파생된다. 가장 유명한 산봉우리로는 히말라야산맥의 나무나니봉(纳木那尼峰, 해발 7694m)과 강디스산맥의 강린포치봉(冈仁波齐峰)이 있다.
남부와 남서부는 깊은 계곡과 일부 충적선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부와 북서부는 지형이 비교적 평탄하고 넓은 계곡과 광활한 초원 및 고비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고원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주요 산맥의 주능선은 점차 낮아진다. 최저점은 짜다현의 셰푸치 인근 랑친짱푸강 계곡(2800m)이며, 최고점은 푸란현의 나무나니봉(7694m)으로, 최대 고도 차이는 4894m이다.
아리지구는 기압이 낮고 공기가 희박하며 산소 농도가 적다. 겨울은 매우 춥고 길며 계절 변화가 거의 없다. 일조 시간이 길고 태양 복사가 강하며 강수량은 적고 불균등하게 분포한다. 강풍과 같은 재해성 날씨가 자주 발생한다.
아리지구는 연평균 풍속이 초속 3.2m 이상인 2등급 풍구역으로, 연간 강풍(8급 이상) 발생 빈도가 높고 강풍 일수는 연간 약 149일이다. 연평균 기온은 0℃이며, 일 평균 기온 변화 폭이 크다. 스취안허진의 겨울 평균 기온은 항상 0℃ 이하이며, 연평균 기온은 영하를 기록한다. 겨울 극저온은 -41℃이며, 여름 극고온은 21℃로,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크지만 연간 온도 변화는 적다. 해발 5000m 이상의 지역에서는 8월 낮 기온이 10℃ 이상이지만, 밤에는 0℃ 이하로 떨어진다.
연간 강수량은 적고 계절적 특성이 뚜렷하다.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10~20%를 차지하는 반면, 5월부터 9월까지는 강수량이 집중되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아리지구는 만수의 발원지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강린포치(冈仁波齐)와 주변의 설산에서 녹은 눈은 강물이 되어 마취안허(马泉河), 공작허(孔雀河), 샹취안허(象泉河), 스취안허(狮泉河) 등을 이루며, 다양한 방향으로 고원에서 흘러내린다. 마취안허는 야루짱푸강(雅鲁藏布江, 브라마푸트라강)의 발원지이다. 공작허는 푸란현(普兰县)을 거쳐 히말라야산맥 남쪽 기슭의 네팔, 인도 등으로 흘러가며, 갠지스강의 발원지 중 하나이다. 샹취안허와 스취안허는 각각 짜다현(札达县)과 가얼현(噶尔县)을 지나며, 인더스강의 두 주요 발원지이다.
아리 지구에는 호수가 곳곳에 분포하며,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 지역 내에는 크고 작은 강이 80여 개, 호수가 60여 개 있다. 총 강 길이는 9,500km이며, 유역 면적은 약 6만km²에 달한다. 수자원의 총량은 167.57억m³, 수력 자원의 잠재량은 75.93만kW이다.
아리 지구에는 샹슝 왕국이라는 나라가 있어, 본교가 융성했었다. 7 세기에 중앙 티베트에서 번창한 토번 왕조를 지배하는 일족도, 이 지구 출신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샹슝 왕국은 7세기 중반에 토번 왕조에 멸망당했다. 10세기에는 토번 왕조로부터 분리된 구게 왕국이 불교국으로 번창하였다.
11세기에는 구게 왕국이 세워졌고, 원나라 지원 2년(1265년)에 구게 왕국은 티베트와 함께 원나라에 귀속되었다.
청나라 강희 22년(1683년), 청나라에 복속된 티베트 지방 정부는 라다크 왕국을 격파하고, 원래 구게 왕국의 영역(현재의 아리 지구)을 청나라 영토로 편입하였다. 이 지역에는 가얼번(噶尔本)을 설치하여 관리하였다. 청대에는 점차 "아리지구"라는 명칭이 나타났으며, 티베트 지방 정부(가샤)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설정되었다. 최고 권력 기관은 "위아리가번(维阿里噶本)"이었다.
1842년 인도 북서부의 센바 부족이 아리 지구를 침범하였고, 티베트 지방 정부(가샤)는 군대를 조직하여 잃었던 땅을 되찾고 센바족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하였다.
1951년 티베트의 평화 해방 이후, 아리 지구의 기존 최고 권력 기관인 "퇴리가번(堆里噶本)"을 유지하였다. 1954년에는 "아리 총관"을 설치하여 중빠러창(仲巴洛强), 푸란쭝(普兰宗), 짜부량쭝(札布让宗), 다바쭝(达巴宗), 리투쭝(日土宗), 가다커(噶大克) 등을 관할하였다.
1956년, 아리 "기챠오(基巧)" 사무처가 설립되었다. 1960년, 아리 전구(专区)를 설치하고, 전구 행정 공서를 설립하였으며, 중빠현(仲巴县), 푸란현(普兰县), 짜다현(札达县), 리투현(日土县), 가얼현(噶尔县), 거거현(革吉县), 가이쩌현(改则县) 등 7개 현을 관할하였다.
1962년, 중빠현은 리카쩌 전구로 편입되었으며, 아리 지구는 6개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1966년, 아리 전구의 행정 중심이 가얼현 쿤사향(昆莎乡)에서 가얼현 스취안허진으로 이전되었다.
1968년, 아리전구 혁명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70년, 아리전구는 아리지구로 개칭되었으며, 아리 지구의 행정 구역은 티베트 자치구에 속했지만, 당(党), 정부, 군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관리하였다.
1979년 2월 5일, 아리지구 행정 공서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3월 7일, 아리 지구 당위원회 및 행정 공서는 티베트 자치구의 관리 하에 복귀하였으며, 군사 관련 업무는 여전히 신장군구(新疆军区)의 관할에 속하였다.
관내에 국내선 전용인 아리 쿤사 공항(阿里昆莎机场)이 존재한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아리지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충칭시 중심지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