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두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창두시(중국어: 昌都市 chāng dōu shì)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동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창두시의 면적은 108,872.3km²이며 인구는 760,966명(2020)이다. 남쪽은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남동쪽은 윈난성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동쪽은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북쪽은 칭하이성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와 접한다. 2023년 6월까지 창도시는 1개의 시할구와 10개의 현을 관할하며, 시 정부는 카르로 구(卡若区)에 위치한다.
창두시는 티베트어로 "물의 합류지점"이라는 의미를 가진 창도시는 티베트 자치구의 동문 역할을 한다. 고대에는 "강" 또는 "커무"라고 불리며, 별칭으로 "캉바", "티베트 동부의 진주"라고도 불린다.
창두시는 고대부터 티베트 동부의 중요한 도시로 여겨졌으며, 현재는 쓰촨성, 칭하이성, 윈난성과의 경계 지역에 위치해 있어, 쓰촨-티베트 고속도로와 윈난-티베트 고속도로의 주요 통로이자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중요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상업과 교역의 중심지로서 "설산의 문"이라는 명성을 자랑한다.[3]
자연환경[편집]
창두시의 지형은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으며, 가장 높은 해발 고도는 5,460미터, 가장 낮은 해발 고도는 약 3,100미터이다. 평균 해발 고도는 3,500미터 이상이다. 많은 산봉우리들이 눈선 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니안칭탕구라산(念青唐古拉山)의 최고봉은 7,111미터에 달한다. 창도시의 서북부 산지는 비교적 온전하며, 분수령 지역은 넓은 고원 면이 잘 보존되어 있다. 동남부의 산지는 별처럼 흩어져 있고, 계곡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능선과 계곡이 교차하여 해발 고도가 1,000~2,000미터 차이를 보인다.
창두시는 고원 아온대 아습윤 기후에 속하며, 북서부와 북부는 춥고 건조하고, 동남부는 온화하고 습윤하다. 연평균 기온은 7.6℃이며, 연강수량은 400~600mm로, 지형이 복잡하여 "한 산에 네 계절, 10리마다 날씨가 다르다"는 고원의 기후 특성을 보인다.
창두시는 외류 수계에 속하며, 주요 강으로는 누강(怒江), 란창강(澜沧江), 진사강(金沙江)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중국 및 아시아 동남부의 주요 강들의 상류 유역에 해당한다. 창도시에는 80여 개의 큰 강과 60여 개의 호수가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태평양과 인도양 두 주요 수계로 흘러간다. 누강은 살윈강의 상류로 인도양 수계에 속하며, 란창강과 진사강은 태평양 수계에 속한다. 그 중 진사강은 장강(양쯔강)의 상류로 최종적으로 동해로 흘러가고, 란창강은 메콩강의 상류로 흐르며, 최종적으로 남해로 흘러간다.
창두시 서남부에 위치한 란우 호수(然乌湖)는 파롱장푸강(帕隆藏布江)의 발원지로, 야루장푸강(雅鲁藏布江) 수계에 속하며 최종적으로 인도양으로 흘러간다. 창도시의 수자원 패턴은 지질 구조와 외부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각 강의 강 흐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창두시는 아시아 남부에서 가장 큰 세 강인 누강, 란창강, 진사강이 함께 흐르는 "삼강병류"의 경이로운 자연 현상이 펼쳐지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이 세 강은 청장고원(青藏高原)에서 발원하여 창도시에 도달하면서 남북 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이 지역의 중요한 자연 특성 중 하나로 꼽힌다.
창두시의 전체 토지 자원의 비율은 대체로 5분의 3이 초지이고 3분의 1이 산림, 나머지는 2분의 1은 이용이 적합하지 않은 땅이다. 전체 면적은 1,630만 1,000에이커로, 그 중 풀밭 면적은 843만 3,000에이커로 전체 토지 자원의 51.74%를 차지한다. 1인당 초지 면적은 156에이커이다. 초지 면적은 많지만 품질이 낮으며, 대부분 자연 초지이다. 좋은 초지와 비교적 좋은 1급, 2급 초지는 초지 면적의 52.5%에 불과하다. 산림 면적은 446만 4,000에이커로, 전체 토지 자원의 27.4%를 차지하며, 1인당 산림 면적은 82.7에이커이다. 이 중 37%는 관목 숲이다. 1인당 경작지 면적은 1.5에이커로, 해발 3,700미터 이하의 강가 지역에 분포한 경작지 면적은 31%에 불과하고, 해발 3,700미터에서 4,300미터 사이 고원에 분포한 경작지는 69%를 차지한다. 2급과 3급 경작지는 25.7%이다. 창도시에는 또한 농업, 축산업, 산림업이 적합하지 않은 땅이 전체 토지 자원의 19.7%를 차지한다. 이 땅은 바위, 모래, 자갈이 많은 땅이며, 일부는 해발이 너무 높아 개발이 어렵고, 개량 이용이 불가능하다.
창두시는 다양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창도시는 변형된 지질구조로 인해 색금속과 비금속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광물로는 금, 은, 구리, 철, 크롬, 몰리브덴, 우라늄, 주석, 비소, 석탄, 수정석, 빙하석, 보석, 대리석, 석회석 등이 있으며, 색금속 광물이 우세하다. 현재 확인된 광물 자원은 37종으로, 96개의 광산지가 있으며, 그 중 대형 광산 23곳, 중형 광산 24곳이 있다. 창도의 윈다현에 위치한 유룡 구리 광산은 국가에서 두 번째로 큰 구리 광산 중 하나로, 매장량은 650만 톤에 달한다. 이 구리 광산은 매장량이 크고 품위가 높으며, 금, 은, 몰리브덴, 철, 납 등의 색금속이 동반하여 출토되며, 노천 채굴이 용이해 개발 전망이 밝다.
창두시는 산림 자원이 풍부하며, 이는 티베트에서 두 번째로 큰 산림 지역이다. 2023년 기준으로 창도시의 산림 면적은 501.8만 헥타르, 그중 숲 면적은 382만 헥타르, 숲의 자원량은 2.61억 입방미터로, 숲 덮개율은 34.78%이다.
창두시는 약재 자원이 풍부하며, 1,200종 이상의 약초가 자생하고, 그 중 750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창도시는 "티베트 의약의 고향"이라고 불린다. 이 지역에서 자생하는 약초에는 동충하초, 백합, 홍경천, 황련, 티베트 홍화 등이 있다.
창두시의 침엽수림은 주로 가문비나무, 가냘픈 전나무, 고산소나무, 기름소나무, 대과홍송, 비늘잎나무 등이 있다. 침엽수와 활엽수 혼합림의 주요 수종은 청간, 산양, 자작나무, 쓰촨-윈난 고산 참나무, 대과원백, 단풍나무, 호두나무, 가문비나무, 고산소나무 등이 있다. 그 외에도 고산버드나무, 세 가지 침엽수, 금계백합, 진달래, 금리수, 덩굴백합 등의 관목림도 있다. 건축용 자원 외에도 약용 식물 1,20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으며, 주요 약초로는 동충하초, 백합, 대황 등이 있다. 백합은 쓰촨백합, 소사백합, 고산백합, 히말라야 황기백합 등 5종이 있으며, 대황은 장엽대황, 히말라야 대황, 심엽 대황, 탑형 대황, 티베트 대황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그 중 장엽대황은 약전에서 의약용으로 사용되는 정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지모, 황련, 천마, 삼칠, 설란화, 당귀, 당삼, 진교, 설산일지호 등의 약용 식물이 있다.
창두시의 초원과 숲에는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동물학자들에 의해 "치류 왕국"이라고 불린다. 국가 1급 보호 동물 17종, 2급 보호 동물 54종이 존재한다. 주요 포유동물로는 원숭이, 둥금실금강원숭이, 자칼, 영양, 붉은여우, 티베트여우, 불곰, 갈색곰, 말레이곰, 석담, 수달, 작은살쾡이, 금살쾡이, 표범살쾡이, 표범, 흰호랑이, 세움이, 여우, 늑대, 백림사슴, 말사슴, 수사슴, 풀사슴, 티베트영양, 산양 등이 있다. 주요 조류로는 채색황새, 흑황새, 적오리, 금수리, 독수리, 매, 뱀독수리, 초원수리, 수리, 초원독수리, 흰뇌수리, 침엽수수리, 티베트설매, 티베트마매, 혈홍, 치차, 대발목파랑앵무 등이 있다.
역사[편집]
당나라 때는 이 지역에 여성을 숭배해, 여왕을 섬기는 동녀국(東女國)이 있어, 당과 교류했지만, 토번 왕조에 의해 토번에 통합되었다. 티베트 왕조의 붕괴 후, 이 땅에 할거 한 소국의 주인들은 개별적으로 중국 왕조와 통교했지만, 13세기 몽골 제국 때 티베트 전역이 토번으로 묶여 사크야 파의 장이 장관을 맡는 선정원(宣政院)을 통해서 세력의 대소에 따라 만호, 천호 등의 지방관, 군사지휘관의 칭호를 받고 각지에 설치된 「만호부」, 「천호부」등의 기관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토사). 이 시를 포함한 캄 지방, 암도 지방을 다스리는 기관으로는 「토번등처선위사사」(吐蕃等處宣慰使司),「토번등노선위사사」(吐蕃等魯宣慰使司), 「감사선위사도원수부」(朵甘思宣慰司都元帥府)가 있었다.
명나라 대에 이르러 14세기 후반, 티베트 각지의 제후에게 위소(衛所)의 군사지휘관의 칭호를 주어(토사제, 위소제), 티베트를 양분하는 위치에 2위를 설치(서남부에 「오사장위」(烏思蔵衛), 동북부에 「타감사위」(朶甘思衛))하고, 영지의 대소에 따라 지휘사사 2, 선위사 2, 원수부 1, 초토사 1, 만호부 13, 천호부 4 등의 장관직 칭호가 주어졌다. 14세기에는 중심이되는 교단 정권의 장이 명의 칭호를 받아 아울러 「삼대법왕, 오대교왕」이라고 불렸다. 위와 같은 제도 하에서 이 시는 「타감사위」에 속하였고, 이 시기 티베트 불교 사크야 파의 지파인 골파가 융성해, 캄에 침투했다.
16세기에는 이 시에 려강을 본거지로 하는 잔왕의 세력이 유입되었지만, 17세기 중반 오이라트의 구시 칸(Güshi Khan, 固始汗) 왕조가 티베트 정복에 나섰을 때, 그 지배하에 들어갔다. 18세기, 옹정제의 티베트 분할에 의해 캄 지방이 삼분되었을 때, 달라이 라마에게 상으로 주어지고, 이후 「서장」의 일부분으로서 자리 매김되게 되었다.
1905년, 쓰촨 성 총독 조이풍(趙爾豊)은 쓰촨군을 인솔해 티베트를 침공하여, 명목 상 쓰촨성에 속해 있던 캄 지방 동부의 제후들이나, 라싸를 본거지로 하는 간덴포탄 등을 차례차례로 격파하고, 1911년, 라싸에 입성했다. 조는 간덴포탄이나 그 외의 티베트인의 소정권을 모두 점령하였고, 티베트를 중국에 병합하려고 계획하였다. 라싸 동쪽 100 km 정도에 위치한 타이자오(太昭)에 새로운 경계를 설정하고, 이 땅까지 창두 시를 시작으로 하는 캄 지방 서부와 캄 지방 동부를 맞춘 영역에 서강성(西康省)을, 타이자오 서쪽으로 서장성(西蔵省)을 설치할 준비에 착수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신해혁명이 발발하여, 조는 본거지 쓰촨성 성도로 돌아가 혁명파에 살해되었다.
중국 정부는 이 땅을 촨비앤특별구(川辺特別区)에 편입시켰고, 후에 발족되는 서강성의 영역으로 확보하려고 했지만, 티베트의 통합과 독립국가로 국제 승인을 받으려는 간덴포탄은 캄 지방의 전역을 탈환의 목적으로서 자주 출병하여, 1918년, 창두 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확보에 성공했다.
1950년, 창두 전투에서 승리한 중국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다. 2014년 11월 창두 지구를 철폐하여 창두시를 설립하였고, 창두현을 철폐하여 카뤄구를 설립하였다.
교통[편집]
티베트자치구 라싸시에서 쓰촨성 청두시를 잇는 촨짱철도(川藏铁路) 노선 중 쓰촨성 야안(雅安)과 티베트자치구 린즈(林芝) 구간은 매우 험한구간이라 계획중이다. 철도가 개통되어도 창두시 남부지역만 지나갈 예정이라 창두시내에는 철도가 들어오지 않을 예정이다.
국도 214번과 국도 317번이 지나간다.
창두 시내에서 남쪽으로 약 123km 떨어진 곳에 4D급 창두 방다 공항(昌都邦达机场)이 있는데,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공항(해발고도 4,334m)이자, 세계에서 가장 활주로가 긴 공항(5,500m)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청두, 충칭, 라싸 등지에서 정기 운행을 하고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