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윈난성 위치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중국어: 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 hóng hé hā ní zú yí zú zì zhì zhōu)는 중국 윈난성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자치주이다. [1][2]

개요[편집]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면적은 32,929km²이며 인구는 4,478,422명(2020)이다. 남쪽은 베트남, 동쪽은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서쪽은 푸얼시(普洱市), 북쪽은 취징시(曲靖市) 등과 접한다. 2023년 6월 기준,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4개 시, 6개 현, 3개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훙허(红河)는 홍강에서 따온 명칭이다. 훙허의 제1 민족은 한족이지만 42.85%를 차지하여 과반수를 차지하지는 않으며, 이족과 하니족이 각각 23.19%와 17.55%를 차지하여 제2, 제3민족으로 존재한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국가의 "일대일로(一带一路)" 건설에서 중요한 거점이며, 윈난성남아시아동남아시아로 향하는 방사형 중심지로 건설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전초기지다. 중국이 육로로 아세안(ASEAN)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통로이며, 북쪽으로는 디안중(滇中), 남쪽으로는 아세안, 서쪽으로는 쿤만 대통로, 동쪽으로는 대만구(大湾区)와 연결되는 종합 교통 허브로 자리 잡고 있다. 자치주 내에는 풍부한 관광 자원과 다채로운 관광 명소가 있으며, 하니 계단식 논, 젠수이 공묘(孔庙), 거주우(个旧) 노음산(老阴山) 유리 잔도, 진핑(金平) 나비 계곡, 루시(泸西) 아루 고동(阿庐古洞) 등이 대표적이다.

천연 자원이 풍부하며, 하니족과 이족의 전통 문화가 보존되고 있다. 특히 농경 문화가 발달한 하니족의 대규모 계단식 논이 유명하다.[3][4][5]

자연환경[편집]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지형은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은 특징을 지닌다. 홍허강을 경계로 북부와 남부 지역으로 나뉘며, 동쪽은 디안둥(滇东) 고원 지역, 서쪽은 헝돤산(横断山) 종곡 지대인 아이라오산(哀牢山) 지역에 속한다. 아이라오산은 홍허 남안에서 베트남 경내까지 굽이쳐 펼쳐져 있으며, 자치주의 주요 산맥이다. 산악 지대는 전체 면적의 88.5%를 차지한다. 최고 해발 고도는 진핑현(金平县) 시룽산(西隆山)의 3074.3m이며, 최저 해발 고도는 홍허와 난시강(南溪河)의 합류 지점인 76.4m로, 이는 윈난성에서 가장 낮은 해발 고도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디난(滇南) 저위도 고원 몬순 기후 지역에 속하며, 북회귀선이 중부를 가로지른다. 열대 및 아열대 입체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지형이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특징을 지닌다. 여름에는 동남계절풍과 남서계절풍이 주로 불고, 겨울과 봄에는 남풍이 우세하다. 열량은 지역별로 복잡하게 분포하며, 고도에 따른 기후 차이가 뚜렷하다. 자치주의 중부는 해발이 높고 남북은 낮으며,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특성을 보인다. 건조한 열대 계곡은 습한 열대 계곡보다 고온이다. 광(光)과 열 자원이 풍부하지만 계절별로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북회귀선 이남 지역은 햇빛 이용 시간이 길고 광질이 좋다. 봄과 가을에는 기온 변동이 크고, 여름은 고온이 부족하며, 겨울에는 혹한이 없고 여름에는 혹서가 없다. 하루 온도 차이는 크고 연간 온도 차이는 작다. 봄은 맑고 건조하며 기온이 높고, 가을은 급격히 기온이 떨어진다.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나뉘며, 연평균 강수량은 1396.4mm다. 연간 강수량의 75.9%가 5월에서 10월 사이에 집중되고, 홍수기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49%를 차지하며, 건기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20% 미만이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하천은 홍허 수계와 주강(珠江) 수계로 나뉜다. 남부 지역은 홍허 수계에 속하고 북부 지역은 주강 수계에 속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리셴강(李仙江), 텅톄오강(藤条江), 난시강(南溪河), 취강(曲江), 디엔시강(甸溪河) 등이 있으며, 유역 면적이 100㎢ 이상인 하천이 180개 있다(남판강(南盘江)과 홍허 두 주요 하천 포함). 이 중 주강 수계에는 65개, 홍허 수계에는 115개의 하천이 있다. 유역 면적이 1000㎢ 이상인 하천은 13개로, 주강 수계는 남판강, 취강, 루강(泸江), 사뎬강(沙甸河), 디엔시강, 난동강(南洞河) 등 6개, 홍허 수계는 홍허, 샤오허디강(小河底河), 난시강, 리셴강, 스난강(泗南江, 소명 牛孔河), 샤오헤이강(小黑江), 텅톄오강(勐拉河) 등 7개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의 호수는 모두 담수호이며, 남판강 수계에 분포해 있다. 주요 호수로는 이룽호(异龙湖), 츠루이호(赤瑞湖), 싼자오하이(三角海), 다툰하이(大屯海), 창차오하이(长桥海) 등이 있다.

2018년 말 기준으로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에는 490개의 저수지가 건설되었으며, 총 저수 용량은 11.29억 입방미터, 유용 저수 용량은 8.25억 입방미터에 달한다. 1인당 저수량은 237.9㎥이다. 이 중 중형 저수지는 27개로 총 저수 용량이 8.04억 입방미터이며, 소형(Ⅰ) 저수지는 90개로 총 저수 용량이 2.29억 입방미터, 소형(Ⅱ) 저수지는 373개로 총 저수 용량이 0.96억 입방미터이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광물 자원이 널리 분포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집중된 특징을 보인다. 북부 지역은 석탄과 대리석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및 건축 자재 광물이 집중되어 있으며, 중부 지역은 주석, 구리, 납, 아연, 은, 망간을 중심으로 한 유색 및 흑색 금속 광물이 집중되어 있다. 남부 지역은 금, 구리, 니켈, 석고, 대리석을 중심으로 한 귀금속, 유색 금속, 건축 자재 비금속 광물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주석 광물의 매장량과 생산량은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는 야생 동식물 자원이 풍부하며, 아열대 원시림이 울창하게 펼쳐져 있다. 국가 1급 중점 보호 야생 식물은 31종, 야생 동물은 45종에 달한다. [6]

2025년 1월 6일, 중국과학원 쿤밍 동물연구소로부터 발표된 바에 따르면, 연구진이 윈난성 홍허주에서 중국의 두 번째 무족목 양서류 신종을 발견했다. 이 신종은 중국어로 양씨 어환(杨氏鱼螈) 또는 홍허 어환(红河鱼螈)이라고 불리며, 관련 연구 결과는 최근 《아시아 양서파충류 연구》(Asian Herpetological Research)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역사[편집]

과거 백월의 거주지였던 곳으로, 한나라 대에 중국이 정복하여 강가군(牂牁郡)을 설치하였고, 후한 대로 가면 익주군(益州郡)과 영창군(永昌郡)이 분할하여 통치하게 된다. 그리고 촉한 대에 영녕군(建宁郡), 흥고군(兴古郡)을 설치하고 이 두 지역이 훙허를 관할하였다.

서진은 이 곳을 건녕군(建宁郡)과 흥고군(兴古郡) 외에도 운남군(云南郡)과 영창군(永昌郡)의 4개군에 분할시켰으며 당나라 대에는 교주(交州)와 남녕주(南宁州)가 나누어서 관할하였다.

남조는 이 곳에 척동성(拓东城)을 쌓고 통해도독부(通海都督府)의 중심지로 삼았으며, 대리국은 이 통해도독부를 수산군(秀山郡)으로 개명시켰으며, 그 외에도 석성군(石城郡)과 최녕부(最宁府) 역시 훙허 지역을 관할하고 있었다.

원나라 때인 1276년 이곳에 임안로를 설치했다.

명나라 대에는 임안부(临安府)[2] 광서부(广西府), 원강부(元江府)의 3개부를 현 훙허 지역에 설치하였으며, 청나라 대에는 광서부가 직예주로 변경된다.

중화민국 대에는 이 지역에 8개 현이 설치되어 통치되었으며, 1950년에는 멍쯔전구(蒙自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53년에 훙허 하니족 자치구(红河哈尼族自治区)로 개명, 1957년에 현 자치주로 변경된다.

교통[편집]

멍쯔역(蒙自站)이 관내에 존재하고 멍허철도(蒙河铁路)가 해당 역을 지나간다. 공항은 없으나 현재 훙허 멍쯔 공항(红河蒙自机场)이 건설중에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