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취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나취시(중국어: 那曲市 nà qǔ shì)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나취시의 면적은 391,816.63km²이며 인구는 504,838명(2020)이다. 신장위구르자치구 및 칭하이성과 경계를 맞대고 있다. 동쪽으로는 창두시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라싸시, 르카쩌시, 린즈시와 인접하며, 서쪽으로는 아리지구와 연결된다. 2023년 6월 기준, 나취시는 1개 구와 10개 현을 관할하며, 시 인민 정부는 세니구 저장성로 3번지에 위치해 있다. 중국 최대 면적의 지급시이자 세계에서 가장 면적이 큰 도시이다.
"나취(那曲)"라는 이름은 나취강(노강 상류)에서 유래했으며, 옛 번역으로는 "흑하(黑河)"로 불렸다. 명말청초 시기에는 호슈트 몽골족이 "카라우수(喀喇乌苏)"라고 불렀으며, 청대에는 "하라우수(哈拉乌苏)" 또는 "카라우수(喀喇乌苏)"로 표기되었다. 이는 "나취"라는 티베트 지명을 만주어로 번역한 것이다.
나취시는 지리적 위치가 특수하며, 티베트의 "북쪽 관문"으로 불린다. 시내를 청장철도, 청장도로, 그라 송유관, 란시라 광케이블, 청장 직류 전력망 등 티베트의 "생명선"이 500㎞ 이상 관통하고 있다. 시 경내에는 국가지정 명승지인 나무초(纳木错)-녠칭탕구라산(念青唐古拉山), 사푸빙하(萨普冰川), 국가지정 자연보호구역인 메이디카(麦迪卡) 습지 등이 있다. 또한 장강, 노강, 란창강 등 대하의 발원지로서 "강과 하천의 근원", "중화수탑"이라는 명성을 얻고 있다.[3]
자연환경[편집]
나취시는 티베트 북부의 탕굴라산맥, 녠칭탕구라산맥, 강디스산맥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중부는 고원 구릉 지형으로, 산이 많지만 경사가 완만하며 대부분의 산은 둥글게 이어진 모양이다. 북서부는 해발이 높고 녠칭탕구라산맥의 가지산맥이나 여맥에 위치해 있어 봉우리가 많고 지형이 험준하며, 높낮이 차이가 크다. 해발 고도는 5500m 이상이며, 가장 높은 산은 상딩캉쌍산으로 해발 약 6500m이다.
나취시 북부는 탕굴라산 지역에 속하며 전형적인 고원 산천 지형으로, 불규칙한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탕굴라산맥은 지붕 모양으로 시 경내를 가로지르며, 중부는 높고 남북은 낮으며, 서쪽이 동쪽보다 높다. 중부는 해발 6600m에 달하며 북부는 4700m, 남부는 4500m로 점차 낮아지고, 평균 해발은 5200m 이상이다. 주요 산맥으로는 탕굴라산맥, 토얼주산맥(소탕굴라산맥), 상카강산맥(셴거리고산)이 있다.
나취시 동부는 고원 산지 지역으로 해발 3800~4500m 사이이며, 평균 해발은 약 4100m이다. 지형은 북서에서 동남으로 기울어져 해발이 점차 낮아진다. 서부는 해발 4400m 이상의 저산 구릉이 많으며, 동부는 해발 3800m 이상의 고산 준령이 분포한다. 지형이 복잡하여 일부 고산 초원 외에는 대부분이 험준한 고산으로, 산과 산 사이에는 깊은 협곡이 형성되어 있다. 협곡 바닥과 산 정상 간 고도 차이는 대개 1000m 이상이다.
나취시 남부는 창탕 고원과 창둥 고산 협곡이 만나는 지역으로, 일부 지역의 해발은 5000m 이상에 이르며 고원 구릉에 속한다. 다른 일부 지역은 험준한 고산이 많고, 산과 산 사이에는 길고 깊은 협곡이 형성되어 있다. 린즈 지역과 인접한 곳에서는 해발이 급격히 낮아져 3000m에 이르며, 비교적 넓은 계곡 평야가 분포한다.
나취시는 아한대 기후 지역에 속하며, 해발이 높고 열량이 부족해 기후가 춥고 건조하며 산소 함량은 해수면의 절반 수준이다. 창탕 고원은 티베트에서 기후 조건이 가장 열악한 지역 중 하나로, 전형적인 아한대 기후를 띤다. 고온 저산소, 건조한 날씨, 낮과 밤의 큰 온도차, 잦은 강풍이 특징이며, 연평균 기온은 -0.9℃에서 -3.3℃ 사이이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48~51%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00~200mm로 적다. 연간 일조 시간은 2852.6~2881.7시간에 달하며, 기후는 건조하고 추운 편으로 절대 무상기(서리가 없는 기간)가 없다.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시기로, 눈이 내리면 눈사태가 발생하기 쉽다. 이 시기는 기후가 매우 건조하고 기온이 낮으며, 산소 부족과 강풍이 지속되는 기간이다.
5월에서 9월 사이에는 비교적 따뜻하며, 초원의 황금 계절로 기후가 온화하고 날씨가 맑으며, 연간 강수량의 80%가 이 시기에 집중된다. 녹색 식물의 생장 기간은 연간 약 100일로, 이 시기에 모두 집중되어 있다.
나취시 경내에는 하천이 그물처럼 얽혀 있으며, 장강(양쯔강)과 노강(살윈강)이 이곳에서 발원한다. 이 두 강에 합류하는 지류는 20여 개에 달하며, 내륙 호수와 야루짱부강(브라마푸트라강)에 합류하는 크고 작은 지류는 30여 개에 이른다. 그 외에도 계절성 하천은 셀 수 없이 많다. 또한, 나취시에는 고원의 4대 명호 중 하나인 나무초(纳木错), 티베트의 3대 영호(雍湖) 중 하나인 당러영호(当惹雍湖)가 있으며, 호수는 별처럼 흩어져 약 3000개가 넘는다.
나취시의 수자원은 주로 지표수, 지하수, 빙하수, 대기 강수로부터 공급된다. 지표수 자원 총량은 약 540억㎥, 지하수 자원 총량은 약 251억㎥, 빙하수 자원 총량은 약 88억㎥이다. 나취시는 "강과 하천의 발원지", "중화수탑", "고원의 저수지"로 불린다.
나취시 동부의 비루(比如), 가리(嘉黎), 쏘현(索县) 일부 고산 깊은 계곡에는 울창한 숲이 분포하며, 산림 면적은 22만 헥타르에 달하고, 입목 축적량은 1000만㎥ 이상이다. 주요 수종으로는 전나무, 가문비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활엽수 및 고산 참나무 등이 있다.
나취시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10여 종은 독특하고 귀중한 종으로, 국가급 중점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대표적으로 야생 야크, 야생 당나귀, 티베트 영양, 고원 곰, 노루, 백순록, 설표(스노우 레오파드), 원숭이, 스라소니, 빗소, 바위양, 검은목 두루미, 백조, 백마계 등이 있다. 이외에도 모피가 귀중한 여우, 마멋, 황양, 설계(눈뇌조), 늑대, 야생 오리, 노랑 오리, 줄무늬머리 기러기 등의 동물이 있다. 국가 및 자치구급 중점 보호 야생동물은 총 40여 종에 달한다. 창탕 고원의 가장 독특한 희귀 동물로는 야생 야크(티베트어로 "중"이라 불림)가 손꼽힌다.
나취시에는 주요 광산 지역이 32곳 있으며, 이 중 대형 광산 4곳, 중형 광산 2곳, 소형 광산 26곳이 있다. 주요 광물로는 석탄, 철, 크롬, 구리, 납, 아연, 주석, 비스무트, 몰리브덴, 안티몬, 사금, 은, 마그네사이트, 소금, 붕사, 공예용 수정 등이 포함된다.
역사[편집]
1950년대부터 지질학자와 고고학자는 장북 고원에서 많은 타제석기를 발견했다. 그 형상과 제조 공정은 유목 문화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지금부터 15만 년 전의 구석기 시대 중기부터 말기의 것이다.
나취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샹슝 문화이며, 사서에는 양동(羊同)이라고 전해진다. 티베트어의 사료에서 이 지구는 「탁대」(卓岱)라 불르며 「유목 부락」을 의미한다. 이 지역의 주민은 유목민을 의미하는 「탁파」또는 북쪽의 사람을 의미하는 「강파」또는 북쪽의 부락을 의미하는 「강일」이라고 불렸다.
샹슝의 최전성기에 이 땅은 내샹슝, 외샹슝, 중샹슝으로 나뉘었으며, 지금의 나취 지구는 대부분이 중(中)샹슝과 외(外)샹슝에 해당한다. 중샹슝의 중심 「당야경종」(当惹瓊宗)은 현재 나추 지구 서남쪽의 구석에 있는 당야옹착(当惹雍錯)의 호반 일대에 해당한다. 샹슝의 쇠퇴 후, 서쪽 지역은 축소된다. 7세기 전후, 지구의 동부 지역은 소비부족(蘇毘部族)에 귀속되었다. 그 후 티베트족이 힘을 키워, 송첸캄포의 시대에 전 티베트를 통일해 강대한 티베트 왕조를 수립했다. 장북도 그 지배하에 있었다.
1916년 티베트 정부가 티베트 북부를 관할하는 행정구역인 호르 지캽을 설치했고, 1942년 다시 창춥(བྱང་ཆུབ་།) 지캽으로 개칭하였다. 중국이 티베트를 점령한 이후 1959년 티베트의 기존 행정구역을 폐지하면서 창춥 지캽을 헤이허(黑河)로 개칭했다가 헤이룽장성의 동명의 행정구역과의 혼동을 피하고자 1960년 현재의 이름인 나취지구로 다시 개칭하였다. 이후 2006년엔 칭짱철도가 개통되면서 나취에 기차역이 개통되었고, 2018년에는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산업[편집]
1959년의 민주개혁 이전의 나추 지구에는 소수의 수공업 직공 밖에 있지 않았고, 근대 공업과는 거리가 먼 원시적인 가내 수공업 상태였다. 대부분의 상인은 여름의 경마회의 기간, 가축에 일용 잡화를 실어 초원에서 교역 했다. 교역은 거의 물물교환에 의하는 것으로, 각각의 가축 제품과 약초 등의 특산품을 교환했다.
민주개혁 이후 40년간, 나추는 현대적인 공업 체계로 탈바꿈하여 지구 전체 45개의 국유기업 중 12사가 공업, 16사가 상업, 13사가 식품, 그리고 무역, 운수 판매, 건축, 관광 등에 종사하고 있다. 국유기업은 주로 나추진이 중심으로, 서비스업과 경공업에 중점을 두고 있어 채광, 발전, 기계의 수리 판매, 건축, 제약 등의 생산품이 주된 대상이다. 민족 공예품은 주로 깔개, 민속 의상, 구두, 모자, 가구, 칼, 은제품, 동제품 등 40 종류 이상, 국가급, 자치구급의 우수한 양질의 칭호를 얻고 있다. 융단, 약은 티베트 뿐만이 아니라 국내외의 시장에 소개되어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이다.
교통[편집]
칭짱철도(青藏铁路)가 지나가며, 나취역(那曲站)이 나취시의 중심역으로 작용중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