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비제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비제시(중국어: 毕节市 bì jiē shì)는 중국 구이저우성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비제시의 면적은 26,853km²이며 인구는 6,899,636명(2020)이다. 동쪽으로 쭌이시, 구이양시, 남쪽으로 안순시, 류판수이시, 북쪽으로 쓰촨성 루저우시, 서쪽으로 윈난성 자오퉁시, 윈난성 취징시에 접한다. 2023년 4월 기준으로, 비제시는 1개의 구와 6개의 현을 관할하고, 1개의 현급시를 대리로 관리한다. 시 인민정부 소재지는 칠성관구(七星关区) 비양대로 518번지이다.

지명의 유래는 일대의 소수민족인 이족의 주요 씨족인 비지씨에서 유래하였다. 비제시에 있는 즈진현의 즈진퉁(织金洞) 풍광 지구는 다채롭고 아름다운 석회암 동굴들로 유명한 관광명소다. 구이저우성 최대 규모의 고지(高地) 담수호인 차오하이후(草海湖)는 검은목두루미를 비롯한 각종 새들의 천국으로 알려져 있다.

비제시는 쓰촨, 윈난, 구이저우, 충칭을 연결하는 지역 중심 도시이자 남서부 지역의 종합 교통 허브이다. 또한 주강 삼각주와 장강 삼각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관문이다.

농산물 중에는 감자와 흰 마늘이 유명하며, 다양한 지리적 표시를 보유하고 있다. 비제는 풍부한 수자원을 자랑하며, 수로와 호수가 얽혀 있다. 또한 고대 야랑국(夜郎国)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로, 중국 남방 고대 인류문화의 발상지 중 하나로 꼽힌다.

비제의 자연경관은 아름다우며 "동천호지(洞天湖地), 화해학향(花海鹤乡), 피서천당(避暑天堂)"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비제는 쾌적한 여름 기후로 피서 여행지로도 유명하다.[3][4][5]

자연환경[편집]

비제시의 지질 구조는 복잡하며, 습곡과 단층이 얽혀 발달해 있다. 카르스트 지형이 다양하며, 지역 내 분포는 다음과 같다: 동부는 봉림(峰林), 계곡, 봉총(峰丛), 완구(缓丘), 와지(洼地); 중부는 봉총, 조곡(槽谷), 구릉 와지 서부는 고원, 카르스트, 완구, 분지 등이다. 시 지역에 노출된 암석은 주로 퇴적암이다.

비제시는 지세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산맥이 중첩되고 하천이 종횡으로 흐른다. 고원, 산지, 분지, 계곡, 평야, 봉총, 조곡, 와지, 카르스트 호수 등이 얽혀 있다. 평균 해발은 1600미터이며, 최고점은 허장현(赫章县) 주시장(珠市彝族乡)의 샤오주차이핑(小韭菜坪)으로 해발 2900.6미터다. 최저점은 진사현(金沙县), 런화이현(仁怀县), 쓰촨성 구린현(古蔺县)의 경계에 있는 츠수이허곡(赤水河谷) 위탕허변(鱼塘河边)으로, 해발 457미터다.

서부의 웨이닝현(威宁县)과 허장현 서부, 서북부, 서남부는 평균 해발 2000~2400미터로 고원과 중산지대에 속하며, 이는 지역 내 제1계단에 해당한다. 허장현 동부, 칠성관구(七星关区), 다팡현(大方县), 첸시시(黔西市), 나융현(纳雍县), 직금현(织金县) 서부는 평균 해발 1400~1800미터로 중산지대에 속하며, 이는 지역 내 제2계단에 해당한다. 진사현, 첸시시, 직금현 동부는 평균 해발 1000~1400미터로 저중산 구릉지대에 속하며, 이는 지역 내 제3계단에 해당한다.

비제시 내에서 길이가 10킬로미터 이상인 하천은 193개가 있으며, 우강(乌江), 츠수이허(赤水河), 북반강(北盘江), 금사강(金沙江) 등 4대 수계로 흘러간다. 장강(长江) 유역의 우강 수계 주요 지류로는 편암하(偏岩河), 야제하(野济河), 육충하(六冲河), 삼차하(三岔河)가 있다. 츠수이허 수계에는 츠수이허가 있으며, 금사강 수계에는 니우란강(牛栏江)과 바이수이허(白水河)가 있다. 주강(珠江) 유역에는 북반강 상류의 커두허(可渡河)가 있다.

비제시의 장강 유역 면적은 2.56만 평방킬로미터로, 시 총 면적의 95.39%를 차지하며, 주강 유역 면적은 1239평방킬로미터로 4.61%를 차지한다. 우강 수계의 유역 면적은 1.78만 평방킬로미터로 총 면적의 66.2%, 금사강 수계는 4901평방킬로미터로 18.3%, 츠수이허 수계는 2943평방킬로미터로 10.9%를 차지한다.

비제시는 아열대 계절풍 습윤 기후에 속하며, 여름에는 심한 더위가 없고, 겨울에는 혹한이 없다. 계절풍 기후가 뚜렷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며, 입체적 기후 특성이 두드러진다. 毕节시 각 구와 현의 여러 해(1951~1998년) 평균 기온은 10~15℃이며, 최고 기온은 진사현, 최저 기온은 웨이닝현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1096~1769시간이며, 웨이닝현이 가장 많다. 무상기(霜期)는 245~290일이며, 진사현과 직금현이 가장 길다. 연평균 강수량은 849~1399밀리미터 사이로, 가장 많은 곳은 직금현, 가장 적은 곳은 허장현이다.

비제시 임야 면적은 1,390,713.93헥타르, 초지 면적은 31,286.37헥타르, 습지는 913.51헥타르이다. 도시, 촌락 및 공업·광업 용지는 129,341.24헥타르, 교통운송 용지는 47,218.34헥타르, 수역 및 수리 시설 용지는 31,167.55헥타르이다.

비제시의 연간 강수 총량은 277.96억 입방미터로, 1평방킬로미터당 평균 강수량은 103만 입방미터다. 연간 유출량은 300~1000mm 사이에서 변동하며, 하천 유출량은 연평균 약 130억 입방미터에 달한다. 수력 자원의 이론적 매장량은 221.21만 킬로와트로, 이 중 214.67만 킬로와트는 장강 유역에 속하고, 6.54만 킬로와트는 주강 유역에 속한다. 개발 가능한 설비 용량은 161만 킬로와트로, 이론적 매장량의 70.2%에 해당한다.

비제시에는 약 100종의 이끼류와 34과 130종의 양치식물, 9과 22종의 나자식물, 155과 1809종의 피자식물이 자생한다. 주요 곡물 작물은 21종 950개 품종이며, 이 중 콩류는 7종 277개 품종, 유지 작물은 3종 64개 품종이다. 채소는 57종 395개 품종이며, 약용 식물은 1000여 종으로 반하(半夏), 천마(天麻), 복령(茯苓), 당삼(党参)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비제시는 620만 묘(亩)의 천연 초지가 있으며, 야생 목초는 45과 378종에 달한다. 삼림률은 44.06%로, 동물 자원도 풍부하다. 가축 및 가금류의 종류가 다양하고, 어류는 74종, 척추동물은 387종에 이른다. 흑경학(黑颈鹤)과 백학(白鹤)은 국가 희귀 보호조로 지정되어 있다.

비제시에는 석탄, 철, 납-아연, 황철광, 점토, 고령토, 보크사이트, 인광석, 규석, 중정석, 사암, 석고, 희토류, 백운석, 니켈, 코발트, 망간, 구리, 형석 등 총 40종의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특히, 즈진현(织金县)은 성 내 4대 인광 기지 중 하나로 손꼽힌다. 2009년까지 개발된 광물 자원은 석탄, 철, 황, 납-아연, 인, 망간, 구리 등 40여 종에 이른다.

역사[편집]

상고대에는 촉나라의 남쪽 변경이었고, 진나라 대에는 파군(巴郡)에 속하였다. 한나라 대에는 익주(益州) 산하 장가군과 건위군에 속하였고, 촉한 대에는 주제군(朱提郡)이 더해졌다. 서진 시기에는 영주(宁州) 산하 주제, 장가, 건녕군의 관할이었다. 수나라 대에는 찬씨(爨氏)의 노록부(盧鹿部)가 세워져 중원에서 자립했고, 당나라 초엽 대리국령이 되었다가 검주도독부(黔州都督府)에 편성되었다. 오대십국 시대에는 학주(郝州), 휘주(暉州), 공주(龔州), 보주(寶州), 녹주(禄州)에 속하였다. 송나라 대에 비제 동부는 나씨(羅氏)의 귀국부(鬼國), 오살부(烏撒部), 비나부(毗那部) 등에 속하였다. 원나라 대에는 불설선위사(不薛宣慰司), 오몽선위사(烏蒙宣慰司)가 설치되었고, 후자는 오살부를 치소로 하였다.

명나라 대에는 수서선위사(水西宣慰司), 오살군민부(烏撒軍民府), 영녕선무사(永宁宣抚司) 등에 속하였다. 동시에 오살(烏撒), 필계(畢節), 적수(赤水), 영녕(永宁)의 4위(衛)가 설치되며 현 지명의 기원이 된 비제(필계)가 처음 등장하였다. 1389년(홍무 22) 성벽이 음력 섣달 그믐에 준공되어, 필절(畢節)이라는 현재의 이름이 나타난 것이다.

명말청초 무렵 오살구민부는 오살토부(烏撒土府)로 바뀌었고, 4개의 위는 각각 현이 되었다. 청나라 대인 1666년 일대에는 대정부(大定府), 검서부(黔西府), 평원부(平远府)가 추가되었고 오살토부는 위녕부(威寧府)로 개편되었다. 1683년 검서, 평원부는 주로 격하되어 대정부에 귀속되었다. 하지만 1687년 대정부 역시 주로 격하되어 위녕부에 귀속되었다. 여기에 검서, 필절현(畢節縣)까지 더해져 현 비제시 일대는 위녕부 하에 통합되었다.[2]

1729년 대정주는 부로 복구되었고, 이번에는 위녕부가 주로 격하되어 검서 & 평원부 및 필절현과 함께 그에 귀속되었다. 신해혁명 후 부와 주가 폐지되며 일대는 귀서성(贵西道)으로 편성되었다. 그리고 1935년 귀서성 제4행정독찰구의 전원공서가 필절(비제)현에 설치되며 역사상 처음으로 현 도심이 일대의 중심지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일대는 비제전구(毕节专区)로 개편되었다. 1955년 웨이닝현은 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으로, 1958년 다딩현이 다팡현으로 개칭되었다. 1970년에는 수이청현이 수이청특구로 승격되어 류판수이 지구로 이관되었다. 같은해 비제전구는 비제지구(毕节地区)로 바뀌었고, 1994년 비제현이 현급시로 승격된 데에 이어 2011년 지급시로 편성되었다. 기존 현급시는 치싱관구로 바뀌었다.

산업[편집]

비제는 중국의 주요 인광석 매장지 중 하나이며, 철광, 구리광, 납광, 희토류 광물 매장량은 구이저우성에서 1위를 차지한다. 특산물로는 다팡현의 칠기, 즈진현의 망태버섯, 이족(彝族)의 와인 등이 있다.

교통[편집]

관내에 비제 페이슝 공항(毕节飞雄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의 경우 관내에 비제역(毕节站)이 존재하며, 청구이고속철도(成贵客运专线)가 지나간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비제시〉, 《위키백과》
  2. 비제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비제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비제〉, 《네이버 지식백과》
  5. 毕节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비제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