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랍테프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지도) |
잔글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지도== | ==지도== | ||
− | {{북극해 지도|800}} | + | {{북극해 국가 지도|800}} |
{{지도|랍테프해}} | {{지도|랍테프해}} | ||
2023년 2월 3일 (금) 10:47 판
랍테프해(러시아어: море Лаптевых, 야쿠트어: Лаптевтар муоралара, 영어: Laptev Sea, 문화어: 랍쩨비해)는 시베리아의 북안, 북극해의 일부를 이루는 바다로 타이미르 반도와 세베르나야제믈랴 제도 및 노보시비르스크 제도에 둘러싸인 바다이다. 표면적은 700,000km²(270,000mi²), 평균 깊이 578m(1,896ft), 최대 수심 3,385m(11,106ft)이고 수량은 403,000km³(3.27×10¹¹ acre·ft)이다. 러시아의 탐험가 드미트리 랍테프(Dmitry Laptev)와 하리톤 랍테프(Khariton Laptev)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항구 도시로는 틱시(러시아어: Тикси)가 있다.[1]
개요
랍테프해는 북극해 변두리의 바다로 남쪽은 동시베리아 북안, 동쪽은 노보시비르스크 제도(諸島), 서쪽은 세베르나야젬랴, 북쪽은 대체로 대륙붕의 한계가 되는 북위 약 80°선까지의 범위이다. 동시베리아해 서쪽에 있으며 해역은 대륙붕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얕고 레나강, 하탕가강, 야나강, 아나바르강, 올레뇨크강 등의 강이 흘러들며, 특히 레나강(江)은 하구에 큰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다. 랍테프해 연안에는 수천 년 동안 유카기르족과 에벤스족과 에벤스족과 같은 원주민 부족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어업, 사냥, 순록 사육업에 종사했다.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인의 탐험은 17세기에 시작되었다. 랍테프해는 얼음이 녹는 8월과 9월의 2개월 간은 연안의 항행이 가능하다. 연안에는 10여 곳의 관측소가 설치되어 있고 레나강 하구 가까이에 틱시항, 올레뇨크강(江) 하구에 올레뇨크항이 있다.[2]
지리
랍테프해 해안선은 구불구불하며 다양한 크기의 만을 형성하고 바다와 맞닿은 작은 산들이 곳곳에 있어 해안 경관도 다양하다. 연안에 카탕가 만(Khatanga Gulf), 올레뇨크 만(Olenyok Gulf), 부오르-카야 만(Buor-Khaya Gulf), 야나 만(Yana Bay) 등 주요한 만이 있다. 총 면적이 3,784km²인 수십 개의 섬들이 있으며, 대부분 바다의 서쪽 부분과 강 삼각주에 있다. 얼음 해빙으로 인한 폭풍과 해류가 섬을 크게 잠식해 1815년 발견된 세메노프스키 섬과 바실리에프스키 섬은 이미 사라졌다. 바다의 절반 이상(53%)은 평균 수심이 50m(160ft) 미만인 대륙붕에 있으며 76°N에서 남쪽 지역은 25m보다 낮다. 북부는 해저까지 수심이 1km(0.62mi)정도의 깊이로 해저까지 급격히 떨어진다.
기후
랍테프해의 기후는 북극 대륙성이며 대서양과 태평양 모두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북극해 중에서 가장 혹독한 바다 중 하나이다. 극야 및 백야는 남쪽에서는 1년에 약 3개월, 북쪽에서는 약 5개월 지속된다. 기온은 북쪽은 1년에 11개월, 남쪽은 9개월 동안 0°C 미만을 유지한다. 1월(가장 추운 달)의 평균 수온은 -31°C(-24°F)와 -34°C(-29°F) 사이에서 변화하며, 최소 수온은 –50°C(-58°F)이다. 7월에는 북쪽이 0°C(최대 4°C), 남쪽이 5°C(최대 10°C)까지 온도가 상승하지만 8월에는 해안에서 22~24°C에 이를 수 있다. 틱시(Tiksi)에서는 최대 32.7°C(90.9°F)가 기록되었다. 겨울에는 강한 바람, 눈보라 그리고 눈보라가 흔하다. 눈은 여름에도 내리고 안개와 번갈아 내린다. 겨울에는 남풍, 남서풍이 불고 평균 속도는 8m/s이며 봄에는 가라앉는다. 여름에는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며 속도는 3-4m/s이다. 상대적으로 약한 바람은 지표수에서 5-10m 깊이까지 만 발생하는 낮은 대류를 초래한다.[3]
얼음
랍테프해는 북극 해빙의 주요 원천이다. 1979-1995년 동안 연평균 483,000km²의 유출로 바렌츠해, 카라해, 동시베리아해, 추크치해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해빙을 기여한다. 연간 유출은 1984-85년에 251,000km²에서 1988-89년에 732,000km² 사이에서 변동했다. 바다는 7월, 8월, 9월을 제외한 모든 달에 상당한 양의 해빙을 내보낸다. 보통 얼음 형성은 북쪽에서 9월, 남쪽에서 10월에 시작되지만 기후 변화 때문에 점차적으로 더 늦게 시작된다. 2020년 시베리아에서는 기록적인 더위가 발생했고 10월 하순에야 형성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기록된 가장 늦은 결빙 시작이다. 얼음은 해안 근처뿐만 아니라 남동쪽 바다에서도 두께가 최대 2미터(6피트 7인치)에 이르는 대형 연속 얼음판을 형성한다. 해안 얼음은 해안에서 수백 km 떨어진 수심 20-25m에서 끝나기 때문에 이 해안 얼음은 해역의 약 30%를 차지한다. 빙상은 보통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녹기 시작하여 북서쪽과 남동쪽에서 조각난 얼음 덩어리를 만들고 종종 매머드의 잔해를 드러낸다.
수문학
랍테프해는 북쪽의 -1.8°C(28.8°F)에서 남동쪽의 -0.8°C(30.6°F)까지의 낮은 수온이 특징이다.중간 수층은 따뜻한 대서양 물이 공급하기 때문에 최대 1.5°C까지 더 따뜻하다. 깊은 층은 약 -0.8°C로 더 차가워진다. 여름에 얼음 없는 구역의 표면층은 태양에 의해 만에서는 최대 8-10°C, 외해에서는 2~3°C까지 따뜻해지고 얼음 아래에서는 0°C 가까이 유지된다. 물의 염도는 얼음과 강물의 유출이 녹는 것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강물 유출은 약 730km³에 달하며 전체 바다에 걸쳐 135cm의 담수층을 형성한다. 염도는 겨울에 남동쪽에서 20~25‰에서 북쪽 바다 34‰까지 다양하며 여름에는 각각 5~10‰, 30~32‰로 감소한다. 대부분의 하천 유출(연간 약 70%, 515km³)은 레나강에 의해 발생한다. 다른 주요 기여도는 카탕가(100km³), 올레뇨크(35km³), 야나(30km³), 아나바르(20km³)이며 다른 강들은 약 20km³를 기여한다. 얼음이 녹는 계절로 인해 연간 유출량의 약 90%가 6월부터 9월 사이에 발생하며, 8월에만 35-40%가 발생하는 반면, 1월은 5%에 불과하다.
탐험
러시아인들은 17세기 무렵부터 랍테프해 연안과 인근 섬들을 탐험하기 시작했고 강을 통해 바다로 들어갔다. 공식적인 발견자들에 의해 섬의 일부에서 발견된 무덤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초기 탐험들은 보고되지 않았을 것이다. 1629년 시베리안 코사크(Siberian Cossacks)는 레나강을 지나 삼각주에 도달했다. 그들은 강이 바다로 흘러간다는 메모를 남겼다. 1712년까지 야코프 페르미아코프(Yakov Permyakov)와 메르쿠리 바긴(Merkury Vagin)은 라프테프해의 동쪽을 탐험했고 볼쇼이 랴홉스키 섬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들은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반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1770년 상인 이반 랴호프(Ivan Lyakhov)는 섬을 다시 방문했고 정부에 상아 자원을 상업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허가를 요청했다. 캐서린 2세는 허가를 내주고 그 섬들의 이름을 랴호프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1770년대 이 지역을 탐험하는 동안, 랴호프는 Kotelny를 포함한 몇몇 다른 섬들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또한 그 섬들에 최초의 영구 정착지를 세웠다.
1735년, 러시아의 시베리아 탐험가 바실리 프롱치슈체프(Vasili Pronchishchev)는 그의 슬로프 야쿠츠크를 타고 야쿠츠크에서 레나강을 따라 항해했다. 그는 레나 삼각주의 동쪽 해안을 탐험했고, 올레녹 강 하구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멈췄다. 불행하게도 많은 그의 선원들이 괴혈병으로 인해 병에 걸려 죽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736년 그는 타이미르 반도의 동쪽 해안에 도착하여 북쪽으로 해안선을 조사했다. 프롱치셰프와 그의 아내는 괴혈병에 걸려 돌아오는 길에 죽었다. 랍테프해의 마리아 프롱치슈바 만은 프롱치슈프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739-1742년 북극 탐험가이자 부제독인 드미트리 랍테프(Dmitry Laptev)는 레나강 하구에서 부오르-카야 만과 야나 만을 따라 드미트리 랍테프 해협이라는 이름의 해협에 이르는 해안선을 묘사했다. 같은 탐험의 일환으로 드미트리의 사촌인 카리톤 랍테프는 카탕가강 하구에서 시작되는 타이미르 반도 해안을 탐사하는 팀을 이끌었다. 라프테프 해와 신시베리아 제도의 상세한 지도는 표트르 앙주(Pyotr Anjou)가 1821-1823년 썰매와 소형 보트를 타고 이 지역을 약 14,000km(8700mi)를 여행하면서 산니코프랜드를 찾고 선박 없이도 대규모 해안 관측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앙주 제도(신시베리아 제도 북부)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75년 아돌프 에릭 노르덴스키욜드(Adolf Erik Nordenskiöld)는 증기선 베가를 타고 바다를 횡단한 최초의 사람이다.[4]
틱시
틱시(러시아어: Тикси, 영어: Tiksi)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 북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지명의 유래는 사하어로 선창을 의미한다고 한다. 랍테프해의 유일한 항구이지만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는 바다가 결빙된다. 미 동부와 아시아권을 연결하는 많은 비행기가 북극항로를 이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틱시 근처를 지나치게 된다. 그러다 보니 항공 운항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틱시 역시 사하 공화국의 영토인 만큼 춥다. 여름에도 평균기온이 10도를 넘지 않고 1월에 최저 기온은 영하 30.2도이다. 게다가 바닷가라 바람이 많이 불어 체감온도는 영하 40도 아래로 내려간다. 여름인 6~8월에는 기온이 영상권을 유지하며 해안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시베리아 내륙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간혹 25도를 넘기기도 한다. 위도가 북위 71도로 북극권 이북에 속해있어 5월 중순부터 8월 초순까지 백야 현상이, 11월 하순부터 이듬해 1월 하순까지 극야 현상이 나타난다.[5]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 ↑ 〈랍테프해〉, 《위키백과》
- ↑ 〈랍테프해(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 "Laptev Sea", Wikipedia
- ↑ 〈라프테프 해〉, 《요다위키》
- ↑ 〈틱시〉, 《나무위키》
참고자료
- 〈랍테프해〉, 《위키백과》
- "Laptev Sea", Wikipedia
- 〈틱시〉, 《나무위키》
- 〈라프테프 해〉, 《요다위키》
- 〈랍테프해(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