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세 (부동산)

위키원
Junwoe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4월 23일 (일) 09:37 판 (새 문서: '''연세'''(年貰)는 1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방식이다. 정 보증금에 추가로 1년 치 월세를 한 번에 낸다고 보면 되며 속칭은 '죽...)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세(年貰)는 1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방식이다. 정 보증금에 추가로 1년 치 월세를 한 번에 낸다고 보면 되며 속칭은 '죽어지는 세'라고 불린다.

개요

제주형 주택임대차계약서 (출처: 제주도청)

연세는 월세 혹은 전세와는 달리 1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것으로, 제주도만의 독특한 주택임대차계약 형태이다. 이는 '신구간(新舊間)'을 기준으로 이사계약 등이 몰리는 제주도풍속에 따른 것이다. 제주도만의 독특한 주택 임대차계약으로, 월세 혹은 전세와는 달리 1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방식을 말한다. 전세는 목돈의 보증금을 내고 거주하는 것이고, 월세는 전세보다는 적은 금액의 보증금을 지불한 뒤 매달 일정금액을 납부하는 것인데, 연세는 월세 1년치를 한꺼번에 지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세입자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돈을 임대인에게 주고난 뒤 돈이 없어진다고 해 '죽는 세'라고도 불린다.

연세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신구간(新舊間)' 풍속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신구간은 24절기의 마지막 절기인 대한(大寒) 이후 5일째부터 입춘(立春)이 되기 3일 전까지 일주일 동안을 일컫는 제주도의 세시풍속이다. 이 기간은 집안의 신들이 하늘로 올라가 비는 기간으로, 이때 사람들이 이사나 집수리 등을 행하면 신들로부터 노여움을 사지 않아 피해가 없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즉, '손 없는 날'과 비슷한 셈이다. 이에 자연히 1년에 1번 이 기간에 이사와 같은 집안일들이 집중되고 집 계약도 신구간을 기준으로 다음 신구간까지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한편, 연세로 계약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택임대차계약서로 작성하게 되면 추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주형 주택임대차계약서'로 계약하는 것이 좋다. 제주도는 계약서에 차임 지급 기간 단위로 1기·2기와 같은 기준을 명시하는데, 주택은 2기, 상가는 3기의 차임 연체 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계약서에 별다른 특약사항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1기는 1년이 되고, 1기 차임은 연세가 된다.[1]

연세 계약시 주의점

보증금 반환과 관련해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꽤 있다고 하는데 월세의 경우 연체가 2회(2달)에 달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에서 연세를 받을 경우, 임차인이 2회, 즉 2년 동안 임대료를 내지 못해도 법상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없어서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연세와 보증금을 내고 나서 임차인이 6개월 정도만 살고 보증금 반환을 요구해 갈등이 발생하는 때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계약을 할 때, 1기가 1개월인지, 1년인지 정확히 명시하는 것이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좋다.

사글세와 비슷한 개념

연세라는 것은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사글세의 개념과 비슷하다. 사글세는 몇 개월 치의 월세를 미리 집주인에게 지급하고 해당 기간만큼 사용하는 것이다. 예전에 목돈을 마련하기 어렵거나, 단기간 집을 빌릴 때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현재 외국인이나 유학생들이 이 방식을 선호해서 다시 사글세 계약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월세에 비해 한 번에 돈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임대인들에게도 꽤 괜찮은 방식의 계약인 것 같다. 월세에 비해 한 번에 돈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임대인들에게도 꽤 괜찮은 방식의 계약인 것 같다. 그러나 금액 자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굳이 원치 않는 임대인도 있다.

제주도의 연세 계약

제주도에서 연세가 많이 통용되는 이유는 가족이나 이웃에게 임대계약을 하는 사례가 많아 매달 임대료를 요구하기 껄끄럽다는 점과 신구간이라는 풍속과 섬 특성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신구간이란 24절기의 마지막 절기인 대한 이후 5일째부터 입춘이 되기 3일 전까지 일주일 동안을 일컫는 제주도의 세시풍속이라고 한다. 이 기간은 집안의 신들이 하늘로 올라가 비는 기간으로 이때 사람들이 이사나 집수리 등을 행하면 신들로부터 노여움을 사지 않아 피해가 없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제주도에서는 1년에 한 번, 신구간에 이사나 집 계약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래서 1년 단위로 계약이 많이 성립되는 것이다. 제주도에서 많이 사용되는 임대차계약이므로 혹시라도 제주도에서 장기간 체류할 계획이 있다면 알아두는 것이 좋다.[2]

전세, 월세, 사글세, 연세 차이

부동산 용어들의 구분표 (출처: 통계표준용어집)

사글세는 1년이든 몇 개월이든 월세 기간 총액을 미리 선납하고 사는 것을 말한다. '연세는 보통 보증금이 있는 사글세' 정도로 관행적으로 통용되는데 사실 꼭 그렇지 않다. 연세는 '기간이 1년인 사글세'로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연세'라는 말이 유행하게 된 계기는 '제주도 살아보기'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시작된 말에 가깝다. '사글세'라는 표현이 국민정서상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보니 제주도에만 주로 있는 '1년짜리 사글세'가 '연세' 용어로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 퍼지면서 요즘 많이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연세가 보증금 있는 사글세를 뜻하는 것처럼 관행이 된 것도 제주도에서는 1년 살아보기 위해 계약을 할 때 보증금도 내고, 1년 치 월세도 내기 때문이다.[3]

월세와 연세의 차이는 월세는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는 것이고, 연세는 월세를 1년 치를 한 번에 주는 것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월세는 보증금 천만 원에 30만 원이라고 하면 매달 30만 원씩을 내고 거주하는 것이고, 연세는 일년 치 360만 원을 한 번에 내고 거주하는 것이다. 연세로 계약을 할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택임대차계약서로 작성하시면 나중에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주형 주택임대차계약서로 계약하시는 것이 좋다.[4]

동영상

각주

  1. 연세〉, 《시사상식사전》
  2. 콘택트, 〈제주도 연세 뜻과 주의할 점 (사글세 뜻)〉, 《리뷰노트》, 2020-08-27
  3. 홍코치, 〈전세, 월세, 사글세, 연세 무슨차이?〉, 《네이버 블로그》, 2017-08-05
  4. sunnyfunny, 〈제주도의 연세제도란?〉, 《써니퍼니의 부동산 이야기》, 2019-10-02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세 (부동산) 문서는 부동산 거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