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환율]] | * [[환율]] | ||
* [[유가]] | * [[유가]] | ||
+ | * [[보합세]] | ||
* [[보합제]] | * [[보합제]] | ||
* [[금융시장]] | * [[금융시장]] |
2023년 1월 13일 (금) 17:56 판
보합(保合)은 주식시장에서 시세의 변동이 없거나 변동폭이 미미한 상태를 말한다.
개요
보합은 증권시장의 시세나 금융시장의 금리, 환율, 유가 등이 변동하지 않거나 변동의 폭이 극히 소폭적인 상태를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주가가 이미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에서 주가가 큰 변동 없이 계속 유지되는 상태이다. 주가가 상승한 상태에서 보합인 경우를 강보합이라고 하며 주가가 하락한 상태에서 보합인 경우를 '약보합'이라고 한다. 시세나 금리 등이 상승한채로 하락하지 않고 보합인 상태를 '강보합'이라고 하며 하락한 채 상승하지 않고 보합인 상태를 '약보합'이라고 한다.
보합은 본래 '만족하여 화합한다'라는 뜻이지만, '시세 따위의 변동이 없거나 미미함'이라는 뜻도 있다. 오늘날에는 주로 주식시장이나 환율 등에서 후자의 뜻으로 많이 쓰인다. 보합은 다시 '강보합'과 '약보합'으로 나뉘는데, 이는 보합의 정도가 강하고 약하다는 뜻이 아니라, '강세'와 '약세'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보합이라는 뜻으로 이 두 개념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강보합은 강세 쪽으로 기울어진 보합이라고 보면 되는데, 시세가 소폭 상승하였거나 당장은 변동이 없더라도 매수세가 뒷받침되는 등의 이유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장세를 말한다. 물론 약보합은 그 반대이며 박스권과 관련이 있다.[1][2][3]
보합 관련
보합제
보합제(步合制)란 실적과 능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제도를 말한다. 매상고나 계약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으로서 균일보합제와 누진보합제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상업·보험 등의 외근사원에 적용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기업경영의 리스크를 근로자에게 전가시켜 임금수입을 극도로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임금의 유지 및 증대를 구하는 근로노력에 경영의 기초를 두려고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임금정책이다. 넓은 뜻에서는 능률급제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나 능률급 본연의 뜻과는 좀 거리가 있다.[4]
주식 보합
주식시장은 거래시간 동안 매매가 이뤄지면 시세가 결정된다. 주식 시세 데이터나 주가 차트를 보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종목들의 가격 변화 움직임을 보면서 거래 시장의 특성 또한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주식 종목의 경우에는 가격 움직임이 거의 없이 몇 시간, 더 나아가, 하루라는 제법 긴 거래 시간 동안에도 시세 변화가 거의 없는 주가 상태인 경우도 제법 많다. 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의 시세를 의미한다. 보합 뜻과 보합세 뜻이 다소 차이가 있다. 보합은 상태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면, 보합세는 특정 상태에서의 시세(가격)를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강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약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낮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강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높아진 것을 의미하며 약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낮아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이 두 용어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혹은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한다. 특히, '주식시장이 약보합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주식시장의 지표가 되는 주가지수가 상승하는 흐름이 전개되다가 하락 기조가 높아져 주가지수 하락 흐름이 전개됨에 따라 당일 주가지수의 시작 시세 보다 낮은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종목들의 주가 상승 탄력이 둔화되거나, 혹은, 종목들의 주가가 전일 대비 하락으로 마감하게 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돌아섰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강보합세로 주식시장이 전환되는 경우, 해당 주식시장 전반적으로 하락 기조가 다소 약해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보합과 보합세라는 두 주식 투자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흔치 않기도 한다. 두 주식 용어의 작지만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상호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도 나름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주식시장에서의 다양한 지수(인덱스), 섹터 지수, 테마 지수를 비롯해 주식 종목들의 주가 등 다양한 가격(시세) 변화율 혹은 변동폭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보합' 혹은 '보합세'라는 용어를 사용해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점 때문에 단지 특정 주식 종목의 가격이 보합 상태에 있다 혹은 보합세를 형성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코스피 보합세' 혹은 '코스닥 보합세'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시세의 변화를 표현한다. 시장의 지수 상태 변화는 단지 가격 혹은 시세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로 인해 시장 환경의 변화 혹은 대내외적인 경제 변화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해 주식시장 혹은 투자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특히, 강보합세에서 약보합세로 변하거나, 반대로, 약보합세에서 강보합세로 변하는 것은 시장이 하락 흐름이 진행되거나 혹은 강한 흐름이 진행되는 시작 시점에서는 거치게 되는 시세라는 점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5]
관련 기사
- 비트코인 가격이 2200만 원대 안착 이후 중반 부근에서 보합권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2023년 1월 12일 오전 9시 30분 현재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02% 내린 2,248만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은 가격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 전망에 연일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2023년 1월 10일부터 연일 상승하며 2200만 원대를 회복했습니다. 이후 오름세를 이어가며 현재 2200만 원대 중반 부근에서 거래를 이어가며 추가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뉴욕증시가 간밤 CPI 발표를 앞두고 일제히 오름세를 기록한 것도 가상자산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이어간 것으로 분석된다.[6]
-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12일 원/달러 환율이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0.4원 내린 달러당 1,245.8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미국 물가 상승세 둔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하며 전날 종가보다 4.2원 내린 1,242.0원에 개장했다. 그러나 이벤트 대기 장세 속에 낙폭이 제한되며 환율은 수급에 따라 등락했다. 환율은 장중 1,239.8∼1,246.8원에서 오르내리다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이날 밤에는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계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2월 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올라 전월의 7.1%보다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환시장은 CPI 발표에서 미국 물가 상승세의 둔화 여부를 확인한 뒤 방향성을 탐색할 전망이다. 이날 엔화는 일본은행(BOJ)이 초완화적 통화정책의 부작용을 검토할 것이란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2023년 1월 12일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5.83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1.77원)에서 4.06원 올랐다.[7]
- 2023년 1월 12일 오전 아시아 주요 증시가 대체로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일본 도쿄증시 닛케이225지수는 0.03% 오른 2만6455.06에 오전장을 마쳤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지만, 일본 통화정책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경계감이 퍼진 상태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은행(BOJ)이 다음 주 회의에서 대규모 통화 완화정책의 부작용을 검토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통화 긴축 행렬에도 초저금리를 지속했던 일본은행이 통화정책을 본격적으로 변경할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이 소식에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는 전장 대비 0.5% 하락한 달러당 131.74~131.76엔에 거래 중이다. 달러-엔 환율 하락은 엔화 가치 상승을 의미한다. 홍콩 항셍지수는 한국시간 2023년 1월 12일 오전 11시 30분 0.51% 상승한 2만1546.22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 본토와의 왕래 정상화에 따른 경제 회복 기대감이 상승 재료가 되면서 장 초반 1% 넘는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 홍콩 당국은 전날 밤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와 홍콩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운행을 오는 2023년 1월 15일 재개하겠다고 발표했다. 같은 시간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05% 밀린 3160.35를, 대만 자취안지수는 0.06% 내린 1만4743.17을 가리키고 있다.[8]
동영상
각주
- ↑ 〈보합〉, 《나무위키》
- ↑ 〈보합〉, 《시사상식사전》
- ↑ 〈보합〉, 《두산백과》
- ↑ 〈보합제〉, 《두산백과》
- ↑ 이코노와이드 편집장 : 해피쿠스, 〈주식 보합이란? 보합 보합세 뜻과 강보합 약보합 개념〉, 《이코노와이드》
- ↑ 조슬기 기자, 〈비트코인 2200만원대 중반 보합권 등락…재반등 시도〉, 《SBS 비즈》, 2023-01-12
- ↑ 오주현 기자, 〈원/달러 환율 보합권 마감…미국 물가발표 대기〉, 《연합뉴스》, 2023-01-12
- ↑ 박가영 기자, 〈보합권 움직임 속 日·홍콩↑, 中↓〉, 《머니투데이》, 2023-01-12
참고자료
- 〈보합〉, 《나무위키》
- 〈보합〉, 《네이버 국어사전》
- 〈보합〉, 《시사상식사전》
- 〈보합〉, 《두산백과》
- 〈보합제〉, 《두산백과》
- 이코노와이드 편집장 : 해피쿠스, 〈주식 보합이란? 보합 보합세 뜻과 강보합 약보합 개념〉, 《이코노와이드》
- 조슬기 기자, 〈비트코인 2200만원대 중반 보합권 등락…재반등 시도〉, 《SBS 비즈》, 2023-01-12
- 오주현 기자, 〈원/달러 환율 보합권 마감…미국 물가발표 대기〉, 《연합뉴스》, 2023-01-12
- 박가영 기자, 〈보합권 움직임 속 日·홍콩↑, 中↓〉, 《머니투데이》, 2023-01-12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