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산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썸네일|400픽셀|친링산맥 '''장백산맥'''<!--장백산맥-->(중국조선어: 장백산맥, 영어: Changbai Mountains, 중국어 간...) |
잔글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 | + | [[파일:장백산맥.jpg|썸네일|300픽셀|장백산맥]] |
+ | [[파일:백두산 천지.jpg|썸네일|300픽셀|백두산 천지]] | ||
+ | [[파일:장백 폭포.jpg|썸네일|300픽셀|장백 폭포]] | ||
− | '''장백산맥'''<!-- | + | '''장백산맥'''<!--장백 산맥-->(중국조선어: 장백산맥, 영어: Changbai Mountains, 중국어 간체자: 长白山脉, {{발음|长白山脉}})은 [[중국]] [[동북지구]] 남동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 부근에 펼쳐져 있는 [[산맥]]이다. 중국어 발음대로 '''창바이산맥'''<!--창바이 산맥-->이라고도 부른다. |
장백산맥은 [[유라시아대륙]] 동쪽 끝의 가장 높은 산맥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주봉은 [[백운봉]]이고, 가장 높은 봉우리는 해발 2,749m인 [[백두봉]]이다. 장백산 지역 범위는 지역 지리와 실제 적용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좁은 의미로 장백산은 장백산맥의 주봉으로 해발 1,800m가 넘는 거대한 화산구를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는 장백산 화산지대를 말한다. 장백산(長白山) 또는 장백산맥(長白山脈)은 중국 동북부의 산간지방을 총칭한다. | 장백산맥은 [[유라시아대륙]] 동쪽 끝의 가장 높은 산맥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주봉은 [[백운봉]]이고, 가장 높은 봉우리는 해발 2,749m인 [[백두봉]]이다. 장백산 지역 범위는 지역 지리와 실제 적용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좁은 의미로 장백산은 장백산맥의 주봉으로 해발 1,800m가 넘는 거대한 화산구를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는 장백산 화산지대를 말한다. 장백산(長白山) 또는 장백산맥(長白山脈)은 중국 동북부의 산간지방을 총칭한다. | ||
약 2,500만 년 동안 장백산 지역은 네 번의 화산 폭발을 겪었다. 이 네 번의 화산 폭발로 인해 장백산 화산구 모양과 주봉이 형성되었다. 위의 네 가지 화산 활동에서 화산 물질이 분출될 때마다 화산의 높이가 200m 이상 높아졌다. 이후 장백산은 비교적 안정기에 들어섰다. 11,000년에서 15,000년 전(제4기 홀로세)에 화산이 다시 부활하여 마침내 장백산 천지가 형성되었다. | 약 2,500만 년 동안 장백산 지역은 네 번의 화산 폭발을 겪었다. 이 네 번의 화산 폭발로 인해 장백산 화산구 모양과 주봉이 형성되었다. 위의 네 가지 화산 활동에서 화산 물질이 분출될 때마다 화산의 높이가 200m 이상 높아졌다. 이후 장백산은 비교적 안정기에 들어섰다. 11,000년에서 15,000년 전(제4기 홀로세)에 화산이 다시 부활하여 마침내 장백산 천지가 형성되었다. | ||
− | + | 장백산맥의 지형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점차 낮한다. 남동쪽 부분은 주로 해발 1,000m가 넘는 중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산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해발 약 300m 정도의 플랫폼에 이른다. 대륙성 몬순 기후로 장백산의 연평균 기온은 2~6℃이다. 위도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진다. 장백산지역은 하천망이 촘촘하고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 [[수분강]] 등 4대 하천이 모두 장백산지역에서 발원한다. | |
장백산 문화는 중국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풍부한 의미와 폭넓은 확장성을 갖고 있다. 도시유적와 정착지, 군사유적, 고대 전장, 교통유적 등 주요 역사유적 경관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우수한 역사유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장백산 문화는 중국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풍부한 의미와 폭넓은 확장성을 갖고 있다. 도시유적와 정착지, 군사유적, 고대 전장, 교통유적 등 주요 역사유적 경관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우수한 역사유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
14번째 줄: | 16번째 줄: | ||
화산이 폭발하기 전 장백산의 표면은 대체로 비교적 평탄했는데, 약 277만년 전 장백산을 중심으로 지각에 큰 틈이 생겨 가장 먼저 화산이 분출되어 현무암질 용암층이 형성됐다. 이것이 장백산 용암대와 백무암 용암대인데, 용암의 두께가 50~300m로 면적이 15,000km²에 달하는데, 당시 장백산의 용암분출구로 인해 모두 다른 곳보다 높은 방패 모양의 단상 위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화산 활동이 잠시 중단됐고, 58만년 전 두 번째 화산 폭발이 일어나 장백산 중심부 부근에 점성이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 쌓였으며 암석층의 전체 두께는 896.78m가 넘는다. 약 44만년 전에 일어난 3차 화산 폭발은 여전히 점도가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어서 멀리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원래의 암석층 위에서 두께가 111m가 더 올라 갔다. 21만 년 전에 발생한 네 번째 화산 폭발 이후, 알칼리성 조면암이 196m 더 쌓아 졌으며분화구의 침하로 인해 [[천지]]가 형성되었다. | 화산이 폭발하기 전 장백산의 표면은 대체로 비교적 평탄했는데, 약 277만년 전 장백산을 중심으로 지각에 큰 틈이 생겨 가장 먼저 화산이 분출되어 현무암질 용암층이 형성됐다. 이것이 장백산 용암대와 백무암 용암대인데, 용암의 두께가 50~300m로 면적이 15,000km²에 달하는데, 당시 장백산의 용암분출구로 인해 모두 다른 곳보다 높은 방패 모양의 단상 위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화산 활동이 잠시 중단됐고, 58만년 전 두 번째 화산 폭발이 일어나 장백산 중심부 부근에 점성이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 쌓였으며 암석층의 전체 두께는 896.78m가 넘는다. 약 44만년 전에 일어난 3차 화산 폭발은 여전히 점도가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어서 멀리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원래의 암석층 위에서 두께가 111m가 더 올라 갔다. 21만 년 전에 발생한 네 번째 화산 폭발 이후, 알칼리성 조면암이 196m 더 쌓아 졌으며분화구의 침하로 인해 [[천지]]가 형성되었다. | ||
− | |||
== 지리 == | == 지리 == | ||
장백산은 [[지린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헤이룽장성]], 남서쪽은 [[랴오닝성]]과 접하고, 동남쪽은 [[북한]], 동쪽은 [[러시아]]와 접한다 . 장백산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해발 1,000m 이상이며 전체 면적은 약 200,000km²이다. | 장백산은 [[지린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헤이룽장성]], 남서쪽은 [[랴오닝성]]과 접하고, 동남쪽은 [[북한]], 동쪽은 [[러시아]]와 접한다 . 장백산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해발 1,000m 이상이며 전체 면적은 약 200,000km²이다. | ||
− | 장백산 | + | 장백산 화산지대의 북쪽 북위 42°35' 남쪽 북위 41°23', 서쪽 동경 127°15', 동쪽 동경 129°00'이다. |
+ | |||
+ | ===지역 범위=== | ||
+ | 장백산맥 지역 범위는 북쪽으로는 흑룡강성 삼강평원 남쪽 끝, 서쪽으로는 송요평원 동쪽 끝, 동쪽으로 중국-러시아 국경,남쪽의 중국-북한 국경까지 이른다. 장백산맥은 남북 길이가 약 1,300㎞, 동서 폭이 400㎞ 이상으로 약간 방추형이다. 장백산맥의 본체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평행 산맥과 북서쪽과 동서쪽으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과 남쪽에는 러시아와 북한의 산과 연결된다. | ||
+ | |||
+ | ===지형=== | ||
+ | 장백산맥의 지형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점차 낮아진다. 남동쪽 부분은 주로 해발 1,000m가 넘는 중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산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해발 약 300m 이다. 주요 지형은 화산 용암 지형, 하천 지형, 카르스트 (카르스트) 지형, 빙하 지형이 있다. | ||
+ | |||
+ | ===기후=== | ||
+ | 냉대 기후의 백두산 지역은 산지 기후의 특징을 지녀 월평균 기온이 연간 34℃ 사이의 편차로 크게 변한다. 강수량은 연 1,400mm에 이르는데, 눈이 많이 내린다. 겨울은 춥고 매우 길며,여름은 온난 습윤하다. | ||
+ | |||
+ | 백두산의 기후변화는 매우 고질적이다. 산 정상의 연평균 기온은 -8.3℃이다. 여름은 18℃ 정도이지만, 엄동기는 -47.5℃까지 내려갈 때가 있다. 백두산 정상부 일원 비공식적으로 기록된 최저기온은 -54.7℃이며, 앞으로 공식적 관측기록이 있다면 이보다는 기온이 더 낮은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월의 평균기온은 -24℃, 7월의 평균기온은 10℃이며, 9월 하순부터 이듬해 6월 초순까지 연중 8개월은 영하까지 내려가서 입산이 통제된다. 산 정상의 평균풍속은 초속 11.7m, 12월에는 평균 초속 17.6m의 강풍이 분다. | ||
+ | |||
+ | 평균 습도는 74%, 연강수량은 1,400mm 정도로 강수량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해양과의 거리가 가깝고 삼림지역이어서 수증기가 많고 지형이 높기 때문에 눈이 많이 내리며, 쌓인 눈은 이듬해 6~7월 달이나 되어야 녹기 시작한다. | ||
− | = | + | == 생태 == |
+ | 최근 중국 CCTV의 영상을 통하여포유류로는 검은담비, 큰곰, 반달가슴곰, 백두산사슴, 사향노루, 사슴, 산양, 스라소니, 수달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호랑이, 표범, 늑대 등 대형 맹수 대부분은 백두산에서도 멸종되었다. 조류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삼지연메닭(348호)과 신무성세가락딱따구리(353호), 멧닭, 올빼미, 원앙, 청둥오리 등이 있다. 어류로는 천지에 방류한 천지산천어가 있으며, 그 외에 북살무사·긴꼬리도마뱀 등의 파충류와 무당개구리·합수도룡뇽 등의 양서류가 있다. | ||
+ | |||
+ | 과거 제3기(第三纪)의 식물에서부터 한국은 물론 시베리아, 일본, 유럽의 식물종도 있으며, 심지어 중국 남방의 아열대 식물종까지 발견된다. | ||
+ | |||
+ | 해발 고도가 높고 지리적 위치가 독특하여 하곡(河谷)에서부터 주봉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 냉대, 한대에 이르는 거의 모든 주요 식물이 집합해 있으며,지리학적으로 고산 수직 자연대(高山垂直自然帶)의 분포에 속한다. | ||
+ | |||
+ | [[정일봉]]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백두산의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흰병꽃나무·구름꽃다지·백리향·만삼·왜당귀 등 화산 분출에 의해 피해를 입기 전의 식물종들이 자란다. | ||
== 지도 == | == 지도 == | ||
− | {{지도| | + | {{지도|장백산맥}} |
{{다단2 | {{다단2 | ||
|{{중국 산맥 지도}} | |{{중국 산맥 지도}} | ||
− | |{{중국 | + | |{{중국 동북지구 행정 지도}} |
}} | }} | ||
==동영상== | ==동영상== | ||
− | <youtube> | + | <youtube>JOjPID8H7-o</youtube> |
− | <youtube> | + | <youtube>iX6abSLttd8</youtube> |
− | |||
− | |||
− | |||
−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https://ko.wikipedia.org/wiki/% | + | *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B%91%90%EC%82%B0 백두산]〉, 《위키백과》 |
− | * 〈[https:// | + | * 〈[https://baike.baidu.com/item/%E9%95%BF%E7%99%BD%E5%B1%B1%E8%84%89/2284126?fr=aladdin 长白山脉]〉, 《百度百科》 |
− | |||
− | |||
−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 * [[ | + | * [[지린성]] |
− | * [[ | + | * [[옌벤조선족자치주]] |
− | * [[ | + | * [[옌지]] |
− | * [[ | + | * [[북한]] |
− | * [[ | + | * [[백두산]] |
− | |||
− | |||
− | |||
− | |||
− | |||
− | |||
− | |||
{{세계지리|검토 필요}} | {{세계지리|검토 필요}} |
2024년 9월 16일 (월) 15:05 기준 최신판
장백산맥(중국조선어: 장백산맥, 영어: Changbai Mountains, 중국어 간체자: 长白山脉, zhǎng bái shān mò)은 중국 동북지구 남동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 부근에 펼쳐져 있는 산맥이다. 중국어 발음대로 창바이산맥이라고도 부른다.
장백산맥은 유라시아대륙 동쪽 끝의 가장 높은 산맥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주봉은 백운봉이고, 가장 높은 봉우리는 해발 2,749m인 백두봉이다. 장백산 지역 범위는 지역 지리와 실제 적용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좁은 의미로 장백산은 장백산맥의 주봉으로 해발 1,800m가 넘는 거대한 화산구를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는 장백산 화산지대를 말한다. 장백산(長白山) 또는 장백산맥(長白山脈)은 중국 동북부의 산간지방을 총칭한다. 약 2,500만 년 동안 장백산 지역은 네 번의 화산 폭발을 겪었다. 이 네 번의 화산 폭발로 인해 장백산 화산구 모양과 주봉이 형성되었다. 위의 네 가지 화산 활동에서 화산 물질이 분출될 때마다 화산의 높이가 200m 이상 높아졌다. 이후 장백산은 비교적 안정기에 들어섰다. 11,000년에서 15,000년 전(제4기 홀로세)에 화산이 다시 부활하여 마침내 장백산 천지가 형성되었다.
장백산맥의 지형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점차 낮한다. 남동쪽 부분은 주로 해발 1,000m가 넘는 중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산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해발 약 300m 정도의 플랫폼에 이른다. 대륙성 몬순 기후로 장백산의 연평균 기온은 2~6℃이다. 위도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진다. 장백산지역은 하천망이 촘촘하고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 수분강 등 4대 하천이 모두 장백산지역에서 발원한다.
장백산 문화는 중국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풍부한 의미와 폭넓은 확장성을 갖고 있다. 도시유적와 정착지, 군사유적, 고대 전장, 교통유적 등 주요 역사유적 경관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우수한 역사유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형성[편집]
약 2,500만 년 동안 장백산 지역에서는 4번의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현무암 용암은 상부 맨틀에서 시작하여 지각의 거대한 균열을 따라 계속 상승하여 엄청난 에너지를 가지고 표면으로 분출되었다. 강한 충격을 받은 용암은 용암 속에 있는 원암과 미리 굳어진 암석덩어리, 화산재, 수증기 등을 공기 중으로 분사한 후 중력과 바람의 작용에 의해 화구 주변이나 한쪽으로 떨어져 다양한 형태로 축적된 화산 지형을 형성하였다. 현무암 용암은 점도가 낮기 때문에 표면에서는 빠르게 흐르고 먼 거리까지 흐르므로 넓은 현무암대지가 형성되었다. 장백산맥의 서북방향을 따라 분포하는 난강산맥, 장홍령, 영비산 등 장백산맥의 주요봉 기슭은 모두 이 시기에 형성된 현무암대지이다.
화산이 폭발하기 전 장백산의 표면은 대체로 비교적 평탄했는데, 약 277만년 전 장백산을 중심으로 지각에 큰 틈이 생겨 가장 먼저 화산이 분출되어 현무암질 용암층이 형성됐다. 이것이 장백산 용암대와 백무암 용암대인데, 용암의 두께가 50~300m로 면적이 15,000km²에 달하는데, 당시 장백산의 용암분출구로 인해 모두 다른 곳보다 높은 방패 모양의 단상 위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화산 활동이 잠시 중단됐고, 58만년 전 두 번째 화산 폭발이 일어나 장백산 중심부 부근에 점성이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 쌓였으며 암석층의 전체 두께는 896.78m가 넘는다. 약 44만년 전에 일어난 3차 화산 폭발은 여전히 점도가 강한 알칼리성 조면암이어서 멀리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원래의 암석층 위에서 두께가 111m가 더 올라 갔다. 21만 년 전에 발생한 네 번째 화산 폭발 이후, 알칼리성 조면암이 196m 더 쌓아 졌으며분화구의 침하로 인해 천지가 형성되었다.
지리[편집]
장백산은 지린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헤이룽장성, 남서쪽은 랴오닝성과 접하고, 동남쪽은 북한, 동쪽은 러시아와 접한다 . 장백산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해발 1,000m 이상이며 전체 면적은 약 200,000km²이다.
장백산 화산지대의 북쪽 북위 42°35' 남쪽 북위 41°23', 서쪽 동경 127°15', 동쪽 동경 129°00'이다.
지역 범위[편집]
장백산맥 지역 범위는 북쪽으로는 흑룡강성 삼강평원 남쪽 끝, 서쪽으로는 송요평원 동쪽 끝, 동쪽으로 중국-러시아 국경,남쪽의 중국-북한 국경까지 이른다. 장백산맥은 남북 길이가 약 1,300㎞, 동서 폭이 400㎞ 이상으로 약간 방추형이다. 장백산맥의 본체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평행 산맥과 북서쪽과 동서쪽으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과 남쪽에는 러시아와 북한의 산과 연결된다.
지형[편집]
장백산맥의 지형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점차 낮아진다. 남동쪽 부분은 주로 해발 1,000m가 넘는 중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산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해발 약 300m 이다. 주요 지형은 화산 용암 지형, 하천 지형, 카르스트 (카르스트) 지형, 빙하 지형이 있다.
기후[편집]
냉대 기후의 백두산 지역은 산지 기후의 특징을 지녀 월평균 기온이 연간 34℃ 사이의 편차로 크게 변한다. 강수량은 연 1,400mm에 이르는데, 눈이 많이 내린다. 겨울은 춥고 매우 길며,여름은 온난 습윤하다.
백두산의 기후변화는 매우 고질적이다. 산 정상의 연평균 기온은 -8.3℃이다. 여름은 18℃ 정도이지만, 엄동기는 -47.5℃까지 내려갈 때가 있다. 백두산 정상부 일원 비공식적으로 기록된 최저기온은 -54.7℃이며, 앞으로 공식적 관측기록이 있다면 이보다는 기온이 더 낮은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월의 평균기온은 -24℃, 7월의 평균기온은 10℃이며, 9월 하순부터 이듬해 6월 초순까지 연중 8개월은 영하까지 내려가서 입산이 통제된다. 산 정상의 평균풍속은 초속 11.7m, 12월에는 평균 초속 17.6m의 강풍이 분다.
평균 습도는 74%, 연강수량은 1,400mm 정도로 강수량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해양과의 거리가 가깝고 삼림지역이어서 수증기가 많고 지형이 높기 때문에 눈이 많이 내리며, 쌓인 눈은 이듬해 6~7월 달이나 되어야 녹기 시작한다.
생태[편집]
최근 중국 CCTV의 영상을 통하여포유류로는 검은담비, 큰곰, 반달가슴곰, 백두산사슴, 사향노루, 사슴, 산양, 스라소니, 수달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호랑이, 표범, 늑대 등 대형 맹수 대부분은 백두산에서도 멸종되었다. 조류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삼지연메닭(348호)과 신무성세가락딱따구리(353호), 멧닭, 올빼미, 원앙, 청둥오리 등이 있다. 어류로는 천지에 방류한 천지산천어가 있으며, 그 외에 북살무사·긴꼬리도마뱀 등의 파충류와 무당개구리·합수도룡뇽 등의 양서류가 있다.
과거 제3기(第三纪)의 식물에서부터 한국은 물론 시베리아, 일본, 유럽의 식물종도 있으며, 심지어 중국 남방의 아열대 식물종까지 발견된다.
해발 고도가 높고 지리적 위치가 독특하여 하곡(河谷)에서부터 주봉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 냉대, 한대에 이르는 거의 모든 주요 식물이 집합해 있으며,지리학적으로 고산 수직 자연대(高山垂直自然帶)의 분포에 속한다.
정일봉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백두산의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흰병꽃나무·구름꽃다지·백리향·만삼·왜당귀 등 화산 분출에 의해 피해를 입기 전의 식물종들이 자란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