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
단오(端午)는 대한민국 명절의 하나이다.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개요[편집]
단오는 1년 중에서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한국, 일본, 중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이며 양력으로는 대체로 6월에 든다. 한국에서는 3대 명절 중 하나로 분류하기도 하며 다른 말로 '술의 날' 또는 순우리말로 '수릿날' 이라고도 한다. 시기적으로 더운 여름을 맞기 전의 초하(初夏)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이기도 하다. 설날, 한식,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4대 명절로 분류되기도 한 주요 명절이었으나 현재는 공휴일에서 제외되어 명절로서의 의미는 많이 퇴색었다.
이외에도 천중절(天中節)·천중가절(天中佳節)·중오절(重午節)·오월절(五月節)·단양(端陽)·추천절(鞦韆節)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중국에도 단오라는 명절이 있지만, 이름만 같을 뿐, 사실상 완전히 다른 명절이다. 이날이 되면 기본적으로 남자들은 씨름을 하고 여자들은 그네뛰기를 했는데, 예전에는 그네를 한자로 천추, 단오를 천추절이라고도 했다. 또한 수릿떡을 먹기도 했고, 조상의 묘에 성묘를 가고,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며, 화채를 만들어 먹고 장명루 팔찌를 만들었다.
강릉과 전라남도 영광에서는 단오제를 열기도 한다. 강릉에서는 강릉 단오제, 영광 법성면레서는 법성포 단오제가 열린다. 법성포 단오제 마지막날 저녁에는 풍등을 올린다. 이때 소원을 빌면서 열기구와 비슷한 원리로 불을 붙인 풍등을 하늘로 올린다. 또한, 서울 영등포에서도 단오축제가 열리는데 서울에서 가장 큰 단오행사로 주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주민들도 방문하는 전국적인 축제다.[1][2]
상세[편집]
단오는 여름의 초입인 음력 5월에 모내기를 끝내고, 재액(災厄)을 예방하고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차원에서 제사를 지내는 날로서, 비가 잦은 계절인 5월이 병마(病魔)가 기승하는 시기임을 이용하여 악귀와 병마를 쫓는 풍습을 통해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단오는 주로 북부지방에서 중요한 명절로 쇠었다고 하며,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단오보다는 추석을 더 중요한 명절로 쳤다고 한다.
단오는 설날·추석·한식과 더불어 한국의 4대 명절로 꼽히며, 1518년(중종 13년)에는 설날·추석과 함께 조선의 3대 명절로 정해진 적도 있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설날·추석과는 달리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위상이 떨어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단오를 쇠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강릉 지역의 경우는 강릉단오제처럼 큰 행사를 개최하므로, 다른 지역에 비해서 아직까지는 단오가 중요한 명절로 인식되고 있다. 다른 대부분의 명절들과 마찬가지로 윤달(음력 윤5월 5일)은 단오로 인정하지 않는다.[1]
유래[편집]
단오의 '단(端)' 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 자는 '오(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初五日)'라는 뜻이 된다. 1년 중에 양기가 가장 강한 날이라고 하여 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순우리말 명칭인 '수릿날'은 신라시대부터 있었다고 보고 있다. 삼국유사 기이제2에는 "지금 풍속에 단오를 차의(車衣)라고 한다"는 주석이 있는데, 차의는 수레(車)+옷(衣)으로, '수릿날'의 이두 표기이다. 이처럼 단오를 수릿날로 부르게 된 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첫째로는 중국 초나라 회왕 때, 굴원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으로 조정에서 추방을 당하여 분개한 나머지, 멱라수(汨羅水)에서 자살을 하였는데, 그날이 음력 5월 5일이었고, 해마다 음력 5월 5일에 굴원의 제사를 지내던 것이 훗날 한국에 전해져서 단오가 되었다는 설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 김매순이 저술한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따르면, 이날 밥을 수뢰(水瀨: 물의 여울)에 던져 굴원을 제사지내는 풍속이 있으므로 '수뢰날'이라고 부르던 것이 훗날 발음이 변하여 '수릿날'로 부르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마다 음력 5월 5일이면 산에서 자라는 수리치(狗舌草)라는 나물을 뜯어 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으므로 수릿날이라고 불렀다고도 하고, 쑥으로 떡을 지어 먹는데, 떡의 둥그런 모양이 마치 수레바퀴와 같아서 수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수리'란 우리말의 '수레(車)'인데, '높다(高)', '위(上)', 또는 '신(神)'이라는 뜻도 있어서, '높은 날', '신을 모시는 날'이라는 뜻에서 수릿날이라고 명명되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단오가 정확히 언제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대략 한반도에 농경사회가 시작되고 나서부터라고 추정된다. 삼국시대에는 5월에 씨를 뿌리고 나서 풍년을 기원하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풍습이 있었고, 신라에서는 이를 수릿날이라 하였는데, 삼국지 위지 동이전과 후한서 동이열전에서는 '삼한 사람들은 5월이 되면 씨를 다 뿌리고 난 후 귀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때 사람들이 모여서 노래와 춤을 즐기며 술을 마시고 노는데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그들의 춤은 수십 명이 모두 일어나 줄을 지어 뒤를 따르며 땅을 밟고 몸을 구부렸다가 치켰다 하면서 손과 발로 서로 장단을 맞춘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외에도 삼국유사에서는 단오에 쑥으로 수릿치 절편(角)을 만들어 먹었으므로 수릿치날이라고 불렀다고 기록하였다. 삼국 사람들은 이날 씨름과 택견을 하고 편을 나누어 활쏘기를 하였으며, 또한 단오는 보릿고개를 넘기고 살아난 이들의 축제로서 보리이삭을 거두는 시기에 맞추어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한편, 현재 강릉 지방에서 행해지는 강릉단오제의 경우는 예로부터 영동 지방에서 3~5월 무렵에 지내던 대관령산신제로부터 연원을 찾고 있으며, 이 산신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허균의 '성소부부고'에서는 이 산신이 김유신이라고 추측한다. 일부에서는 더 거슬러 올라가 동예의 무천(舞天)과 연관을 짓기도 한다. 위의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단오의 명칭은 중국의 것을 차용했을지언정, 그 내용은 중국의 단오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고, 당대의 중국에서도 자신들의 단오와는 전혀 다른 명절로 인식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단오는 각 지방마다 부르는 독특한 별칭도 있는데, 전남에서는 '단양수리', 경북에서는 '며느리날', 강릉에서는 '과부 시집가는 날', 삼척에서는 '소 군둘레 끼우는 날', 동두천에서는 '미나리 환갑날'이라고 했다고 한다. 또한 그네를 뛰며 노는 날이라 하여 추천절(鞦韆節)이라고도 한다.[1]
- 중국의 단오 : 중국 초나라 회왕(3세기) 때 충신 굴원이라는 사람에서 시작된다. 굴원은 문장도 잘 쓰고 충직 고결한 신하였다. 이에 회왕이 특별히 사랑하였는 바 간신들은 늘 굴원을 시기하고 질투하였다. 회왕이 죽고 양왕이 새 임금이 되자 간신의 무리는 임금께 굴원을 모함하여 끝내 귀양을 보내버렸다. 억울하고 분한 마음을 안고 살던 굴원은 초나라가 멸망하자 심한 충격을 받고 '어부사(漁父詞)' 등 여러 편의 글을 지은 후 큰 돌덩이를 안은 채 멱라수(覓羅水)에 빠져 죽었다. 사람들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해마다 그날이면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무 잎으로 감아 물속에 던져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였으며 그의 영혼을 건진다 하여 경쟁적으로 배 건너기를 하기도 했다.
- 한국의 단오 : 한국은 고대 마한 시절(3세기)부터 파종이 끝난 5월에 군중이 모여 신에게 제사하고 가무와 음주로 밤낮을 쉬지 않고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단오는 절기상 봄농사를 마치고 잠깐의 휴식기를 가지며 신에게 제사도 지내고 흥겹게 지내며 풍요를 기원했던 것으로 보인다.[2]
풍습[편집]
단오의 풍속 및 행사로는 창포에 머리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 단오장이라 하여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 삼아 머리에 꽂는 등의 풍속과 함께 그네뛰기, 활쏘기, 씨름 같은 민속놀이 등이 행해졌다. 단오에는 주로 향(香)이 강하고 짙은 창포, 쑥잎, 약초 등을 통해서 악귀와 병마의 강림을 방지하는 풍습을 갖게 되며 이 영향으로 쑥으로 만든 쑥떡을 먹거나 창포잎으로 담은 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생겼다. 당시에는 문 앞에 쑥잎으로 만든 인형이나 호랑이 등을 문에 걸어놓은 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에서는 농경의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데서 유래하여 유풍으로 보고 있었고 여자들은 창포잎으로 담은 물에 머리를 감으며 재액(災厄)을 방지하는 풍습을 가졌으며 남자들은 허리춤에 창포뿌리를 착용하며 재액을 방지하는 풍습을 가졌다. 단오가 되면 남자들은 씨름을 통해서 자신의 힘 자랑과 실력을 자랑하기도 한다. 우승을 한 자는 황소를 상품으로 받으며 천하장사라는 칭호도 얻는다. 또한 택견을 하여 승부를 겨루기도 했다고 한다. 여자들은 창포물로 감은 머리를 단장하며 그네뛰기를 통해서 자신의 실력을 뽐내기도 한다. 여름철 명절인 단오의 풍습상 부채를 나눠주기도 하는데 소년 및 청년에게는 푸른빛의 부채를 주게 되고 노인이나 상주(喪主)에게는 하얀 부채를 주었다는 속설이 있다.
단오에는 재액을 방지하고 풍요를 기원하면서 쑥떡, 수리취떡, 망개떡, 약초떡, 밀가루지짐이 등을 먹는다. 한편 단오날을 수릿날이라고도 불렀는데, 수리취를 넣어 떡을 빚고 그 떡에 수레바퀴 문양의 떡살을 찍어 차륜병을 먹기도 했다. 수레바퀴 모양의 바퀴처럼 잘 굴러가라는 의미의 떡이다. 또는 복숭아와 살구를 이용하여 도행병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단오관련 행사는 중요무형문화제 13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강릉단오제가 가장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주로 북부 지방에서 단오를 중요한 명절로 쇠었다고 한다.[1]
나라별 단오절[편집]
중국의 단오절[편집]
중국의 단오절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음력 5월 5일이다. 그런데 한국과 달리 법정공휴일이다. 옛 초나라의 시인인 굴원이 이때 자살하였기에 시인절(诗人节)이라고도 불리며, 이외에도 단양절(端陽節), 중오절(重五節), 중오절(重午節), 천중절(天中節), 하절(夏节), 오월절(五月節), 창절(菖節), 포절(蒲節), 용주절(龍舟節), 욕난절(浴蘭節), 굴원일(屈原日) 등 수많은 별칭이 있다. 그가 죽은 멱라강(汨罗江, 汨水) 유역에서 굴원의 넋을 기리기 위해 행한 전통이었던 종자(粽子) 만들기와 용선 대회를 전국에서 행하고 있다.
또한 현 장강 유역에는 웅황주(雄黄酒)를 마시는 풍속이 있다. 웅황주는 고량주에 웅황, 창포 등을 포함한 각종 약재를 넣어 만든 술로 살균, 살충, 해독에 좋다고 하여 예전부터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활용하였다. 아직 술을 마실 수 없는 어린이들에게는 어른들이 그들에게 이마나 귀, 코, 손바닥 등 여러 곳에 웅황주를 발라 소독하고 병을 예방하며 모기에게 물리는 것을 막는다.
본래는 한국에서처럼 쉬는 날이 아니었으나,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200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사실을 일부 황색언론들에서 '단오'라는 중의적인 표현으로 사용하는 바람에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빵즈들이 우리의 전통명절을 뺏어갔다!"라고 왜곡되어 퍼져 한창 시끄럽게 되자 정부가 중국 전통문화와 풍속의 보존을 위해 공휴일로 지정하여 중국의 단오 문화를 육성하려 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사실 한국의 단오는 옥저나 고구려 등 고대 한국사 국가부터 내려오는 전통 명절에 중국 명절 이름만 빌려 붙인 케이스라 원조를 따질 것도 없는 전혀 다른 명절이다. 게다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는 단순히 문화적인 가치에 대한 인정일 뿐, 기원지 인증이나 전통의 명절을 독점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2019년에는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와 겹쳤다. 한마디로 휴일에 대학수학능력시험본 것이다.[1]
일본의 단오[편집]
일본에서는 '단고노셋쿠'(端午の節句)라 하여 과거에는 한국, 중국처럼 음력으로 쇠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양력 5월 5일로 바뀌었으며 동시에 어린이날이 겹친다는 특성상 남자아이의 건강을 기원하는 날이 되었다. 일본에서 어린이날만 되면 남자아이들이 종이로 만든 모자를 쓰고 무사 인형을 방에 갖다두는 이유가 바로 이것. 또한 한국의 가랍떡과 유사한 카시와모치나 '지마키'를 먹기도 한다. 장수를 기원하는 잉어모양 깃발인 고이노보리는 애니 등 각종 일본산 창작물에서 클리셰 수준으로 나올 정도. 다만, 드물게 일부 지역에서는 고이노보리를 장식하지 않는다. 이런 지역 중 하나인 사이타마현 가미카와 정 야노(矢納) 지구의 경우 그 유래가 헤이안 시대의 호족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연관이 있는데, 마사카도가 조정의 군세에 밀려 현재의 야노 지구 일대로 쫓겨와 숨어 있을 때 민가에 걸려 있던 고이노보리 때문에 발각되어 대패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 이야기에서 고이노보리를 장식하면 그 집에 불행이 찾아온다는 믿음이 생겼고, 이 때문에 야노 지구에서는 지금도 단오에 고이노보리를 장식하지 않는다. 또한 한국에서 흔히 단옷날에 씨름을 하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이날에 스모를 한다.[1]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