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緯度)는 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며, 흔히 그리스 문자 φ로 쓴다. 위도의 단위는 도(°)이며, 위도 0°는 적도이다. 북극점을 나타내는 90° N(북위 90도)부터 남극점을 나타내는 90° S(남위 90도)까지의 범위 안에 있다.
한반도의 위도는 32°(이어도)~ 43°(두만강), 경도는 125°(이어도) ~132°(독도)에 걸쳐 있다.
위도(φ)는 적도로부터 남쪽(남극점까지)으로 90°, 북쪽(북극점까지)으로 90°로 나누어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적도의 북쪽인 북위 34~38° 사이에 위치한다. 적도로부터 북극 또는 남극 방향으로 각도로 표현되는 것을 위도라 하며 적도에서 00°이고 극에서는 90°N 또는 90°S이다. 위도의 선은 동서 방향으로 이어지는데, 동일한 폭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평행선(parallels)이라고도 부른다. 즉, 지표면 위의 한 점에 세운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을 그 지점의 위도라고 하는데 이는 천문 좌표, 측지 좌표에서 위치를 결정할 때 이용된다.
위도는 지구의나 지도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의 위치를 나타낸다. 기술적으로는 지리 위도・천문 위도・지심 위도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위도가 있다. 그러나 이들 위도 간의 차이는 크지 않다. 대부분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는 지도 작성에 흔히 사용되는 지리 위도가 이용된다. 지리 위도의 단위로는 도・분・초가 사용된다. 이 값들은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을 이은 호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적도를 중심으로 하여 남극과 북극 쪽으로 각도가 측정된다. 따라서 위도상에서 북위 30°15′20″인 지점은 지구의 중심과 적도와 연결한 선과는 30°15′20″의 각을 이루는 곳이다. 따라서 위도에서 가장 큰 값은 북위 90°와 남위 90°가 되는 것이다.
지도나 지구의에는 서로 다른 위도상에서 투영할 때 등거리 원들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기준 위선을 정하게 되는데 이를 표준 위선이라고 하며 이는 적도나 다른 위선과 평행하다. 지리적인 위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방법으로는 극 주변의 특정한 별을 대상으로 별이 보이는 각을 구하거나, 평면상에서 정오에 태양이 이루는 각의 6분각을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위도 1°간의 거리는 약 111km 정도이지만 지구 표면의 곡면이 불균등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적도 부근에서는 110.568km, 극 지역에서는 111.900km 정도이다.[1]
위도 종류[편집]
위도에는 지리 위도, 천문 위도, 지심 위도 등이 있다.
- 지리 위도
지리 위도는 지구상의 어느 지점에서 지표면에 대해 수직선을 세웠을 때 이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도이다. 지구는 회전 타원체이므로 지표면에 대한 수직선이 반드시 지구 중심을 지난다고 할 수 없다.
측지위도는 지구상의 어느 지점에서 적도면과 표준타원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2015년 기준 대한민국에서는 측지위도를 위도로 사용하고 있다.
- 천문 위도
천문 위도는 지구 자전축과 지구 상의 한지점에서의 중력 방향(연직선)이 만나는 각도의 여각을 나타낸다. 흔히 적도면과 연직선 방향(지오이드 법선)이 만드는 각도라고 정의한다. 천문 위도와 측지위도는 연직선 편차때문에 값이 약간 다르다.
- 지심 위도
지심 위도는 지구 상의 어느 한 지점과 지구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도이다.
위도와 기온[편집]
- 위도와 기온 분포
적도 부근에서 극지방으로 가면서 열대 기후 → 온대 기후 → 냉대 기후 → 한대 기후가 나타난다.
- 저위도 지역: 적도 부근으로 햇볕이 수직으로 닿아 기온이 가장 높다.
- 중위도 지역: 대략 남 · 북위 20°~50° 사이의 지역으로 비교적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
- 고위도 지역: 극지방으로 햇볕이 비스듬히 닿아 기온이 가장 낮다.
- 연평균기온
연평균기온은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평균 기온을 평균하여 구하며, 어떤 지역이나 해의 더위와 추위에 대한 가장 단순한 지표이다.
연평균기온 분포에는 위도, 수륙분포, 해류, 지형, 해발고도 등의 영향이 크게 반영된다. 해면경정한 세계 등온선도를 보면 대체로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가면서 기온이 낮아지고 어느 정도 위선과 평행하다. 이는 위도가 기온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해양면적이 더 넓은 남반구에서 북반구에서보다 등치선 방향이 위선과 더 잘 일치하는 것은 수륙분포의 영향 때문이다.
한국에서 연평균기온 분포에는 해양과 위도의 영향과 더불어 지형의 영향이 가장 크게 반영된다. 연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곳은 대관령이며, 강원 산간지방에서 대체로 10℃ 이하로 기온이 낮다.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제주도는 15℃ 이상의 기온 분포를 보이며 특히 서귀포에서 높다. 연평균기온의 분포는 위도에 따라 북쪽으로 갈수록 낮고, 내륙 산간에서 낮다.
한국에서는 태백산맥이 찬 북서계절풍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산맥의 연속성이 뚜렷한 중부지방에서 동해안과 서해안 간의 기온 차이가 뚜렷하다. 태백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강릉과 속초의 연평균기온은 12℃ 이상으로 서해안에 비하여 높다. 남부지방에서는 동서 간 차이보다는 소백산맥이 지나는 산지와 해안 간 기온 차이가 크다.
또한 남부지방에서는 태백산맥보다 소백산맥을 따라서 등온선의 만곡이 뚜렷하다. 즉, 해발고도가 높은 곳을 따라서 주변보다 기온이 낮은 것이 잘 나타난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있는 경상남북도 지방은 연평균기온이 같은 위도대에 위치한 다른 지점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인다. 서울이 위치한 수도권은 도시화로 인해 주변의 다른 지역보다 연평균기온이 높은 경향이다.[2]
참고자료[편집]
- 〈위도〉, 《위키백과》
- 〈위도〉, 《네이버지식백과》
- 〈연평균기온〉, 《네이버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이 위도 문서는 지도서비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도 : 지역지도, 국가지도, 행정지도, 도시지도, 역사지도, 지형지도, 산맥지도, 사막지도, 평원지도, 강지도, 호수지도, 바다지도, 만지도, 해협지도, 반도지도, 섬지도, 지도서비스 □■⊕
|
|
지도 종류
|
고지도 • 관광지도 • 교통지도 • 모바일지도 • 물류지도 • 백지도 • 보물지도 • 위성지도 • 인구지도 • 인터넷지도 • 일반지도 • 임야도 • 종이지도 • 지구본 • 지도 • 지도학 • 지적공부 • 지적도 • 지형도 • 카토그램 • 통계지도 • 항공사진 • 항공지도 • 항해지도 • 해저지형도 • 행정지도
|
|
지도 기술
|
2차원 지도 • 3차원 지도 • GPS • HD맵 • LBS • 거리뷰(스트리트뷰) • 경도 • 길이 • 길찾기 • 날짜변경선 • 남위 • 내비게이션 • 높이 • 도로명주소 • 도로지도 • 도법 • 동경 • 등고선 • 마일 • 메르카토르 도법 • 면적 • 미터(m) • 밀리미터(mm) • 번지 • 본초자오선 • 북위 • 서경 • 센티미터(cm) • 위도 • 인치 • 자오선 • 적도 • 제곱미터(m2) • 제곱센티미터(cm2) • 제곱킬로미터(km2) • 좌표 • 주소 • 지도 API • 지번주소 • 축소 • 축척 • 킬로미터(km) • 평 • 평방미터 • 확대
|
|
지도서비스
|
곤여만국전도 • 구글 어스 • 구글 지도 • 네이버 지도 • 대동여지도 • 랜드북 • 바이두 지도 • 아이나비 • ㈜아이나비시스템즈 • 오늘의 지도 • 지도서비스 • 천하도 • 청구도 • 카카오내비 • 카카오 지도 • 토지이음 • 티맵 • 팅크웨어㈜ • 혼일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기후
|
건기 • 건조기후 • 건조지역 • 고산기후 • 고지지중해성기후 • 극권 • 극지방 • 기후 • 기후구 • 기후대 • 기후변화 • 기후위기 • 기후협정 • 남방한계선 • 냉대 • 냉대겨울건조기후 • 냉대기후 • 냉대습윤기후 • 냉대지방 • 대륙성 기후 • 몬순기후 • 몬순지방 • 북방한계선 • 빙설기후 • 사막기후 • 사바나기후 • 삼림한계선 • 서안 해양성 기후 • 수목한계선 • 스텝기후 • 습윤기후 • 아열대 • 아열대기후 • 아열대지방 • 아한대 • 연교차 • 열대 • 열대고산기후 • 열대기후 • 열대몬순 • 열대몬순기후 • 열대몬순지방 • 열대야 • 열대우림 • 열대우림기후 • 열대우림지방 • 열대지방 • 오로라 • 온난습윤 • 온난습윤기후 • 온난화 • 온대 • 온대겨울건조기후 • 온대고산기후 • 온대기후 • 온대습윤 • 온대습윤기후 • 온대우림 • 온대지방 • 우기 • 이상기후 • 자연재해 • 자연환경 • 지중해성 기후 • 쾨펜 기후구분 • 타이가 • 툰드라 • 툰드라기후 • 한계선 • 한대 • 한대기후 • 한대지방 • 해양성 기후
|
|
계절
|
가을 • 겨울 • 경칩 • 계절 • 곡우 • 기간 • 늦가을 • 늦겨울 • 늦봄 • 늦여름 • 단오 • 대서 • 대설 • 대한 • 동절기 • 동지 • 말복 • 망종 • 백로 • 복날 • 봄 • 사계절 • 삼복 • 상강 • 설날 • 소만 • 소서 • 소설 • 소한 • 시기 • 식목일 • 여름 • 연평균기온 • 우수 • 월평균기온 • 일평균기온 • 입동 • 입추 • 입춘 • 입하 • 절기 • 중복 • 처서 • 철 • 청명 • 초가을 • 초겨울 • 초복 • 초봄 • 초여름 • 최난월 • 최한월 • 추분 • 추석(한가위, 중추절) • 춘분 • 춘삼월 • 춘추 • 춘하추동 • 평균기온 • 하절기 • 하지 • 한겨울 • 한로 • 한식 • 한여름 • 환절기 • 황사철
|
|
천문
|
경도 • 경선 • 고위도 • 공전 • 공전궤도 • 공전면 • 구면좌표계 • 궤도 • 궤도면 • 극야 • 남북회귀선 • 남중고도 • 남회귀선 • 낮 • 노을 • 동경 • 만유인력 • 박명 • 밤 • 밤하늘 • 백야 • 별 • 별자리 • 북극성 • 북두칠성 • 북회귀선 • 새벽 • 서경 • 서광 • 성간물질 • 성단 • 성운 • 세차운동 • 소행성 • 수평선 • 심야 • 여명 • 왜행성 • 월식 • 위도 • 위선 • 은하 • 은하계 • 은하좌표계 • 일몰 • 일식 • 일출 • 자오선 • 자전 • 자전축 • 저위도 • 적도 • 적도면 • 적도좌표계 • 좌표계 • 중위도 • 지구 • 지축 • 지평선 • 지평좌표계 • 천구 • 천구적도 • 천구좌표 • 천구좌표계 • 천문 • 천문학 • 천문학자 • 천정 • 천체 • 천체력 • 추분점 • 춘분점 • 태양 • 태양계 • 하늘 • 항성 • 행성 • 혜성 • 황경 • 황도 • 황도면 • 황도좌표 • 황도좌표계 • 황위 • 황혼 • 회귀선
|
|
역법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AD • BC • 개력운동 • 경일 • 공휴일 • 궁월력 • 그레고리력 • 그믐 • 금요일 • 기념일 • 기원 • 기원전 • 기원후 • 날짜 • 단기 • 달 • 달력 • 만세력 • 명절 • 목요일 • 바빌로니아력 • 보름 • 불기 • 서기 • 세계력 • 세기 • 수요일 • 순태음력 • 양력 • 역법 • 역서 • 연도 • 연말 • 연말연시 • 연초 • 연호 • 연휴 • 요일 • 월요일 • 윤년 • 윤달 • 윤일 • 윤휴일 • 율리우스력 • 음력 • 이집트력 • 일요일 • 일주일 • 절월 • 절월력 • 절일 • 정월 대보름 • 주 • 중국력 • 천세력 • 초하루 • 치윤법 • 칠정산외편 • 크리스마스 • 태양력 • 태음력 • 태음태양력 • 토요일 • 평년 • 평일 • 할로윈 • 화요일 • 회회력(이슬람력) • 휴일 • 히브리력(유대력)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