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열대우림지방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열대우림지방(熱帶雨林地方) 열대우림지역(熱帶雨林地域)은 열대우림기후에 속하는 지역을 말한다.

개요[편집]

열대우림(熱帶雨林, Tropical rainforest)은 일 년 내내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은 적도 부근의 열대지방에서 발달하는 삼림을 말한다. 상록 활엽수가 중심을 이루고 덩굴 식물, 수상 착생 식물이 많으며, 풍부한 식물의 무리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대우림 또는 정글(jungle)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특징적인 습윤활엽수림으로, 구체적으로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라 열대우림기후(Af)나 열대몬순기후(Am)로 분류되는 고온 다습한 지역에 분포하는 식생, 또는 그러한 식생을 가지는 지역을 가리킨다. 또한, 저지 적도 상록우림(lowland equatorial evergreen rain forests)은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의 일종으로, 한 해에 걸쳐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곳에 형성되는 지역을 말한다. 흔히 열대우림이라고도 한다. 이를테면 동남아시아, 중앙 아프리카, 중남미 등지에서 볼 수 있다. 식물생태학에서는 아열대우림 또는 열대다우림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어 지구의 허파 구실을 한다. 또한 지구의 동식물 중에서 절반 이상이 살아가고 있다.

숲 가운데서도 특히 수목이 밀집되고 습도온도가 높아 생태자원의 종류와 양이 풍부하며, 주로 적도와 가까운 남아메리카, 중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인도 남부 지역에 널리 존재한다. 한편, '정글'이라는 어휘는 산스크리트어로 경작되지 않은 땅이란 뜻의 '장갈레(जङ्गल)' 혹은 페르시아어로 숲을 뜻하는 '장갈(جنگل )'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한 해에 2,000mm 이상의 강수량을 갖고 열대에서 한 해 동안 따뜻한 것이 기본적인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온대우림과 비슷하다. 그뿐 아니라, 생식하는 생물이 많고, 종이 다양할뿐 아니라 복잡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전 세계 생물종의 절반 이상이 열대우림에 생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0m 이상 키가 크고 넓은 잎을 가진 나무들로부터 그 차양 아래의 적은 비에 적응한 키 작은 나무, 해안의 맹그로브 등 다양한 식물종과 원숭이, 파충류, 온갖 곤충, 조류들이 서식한다. 또, 대기 안에 들어있는 산소의 절반 정도가 열대우림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여겨진다.[1][2]

지역 특징[편집]

열대우림이란 열대기후 지역에 형성된 울창한 상록활엽수 밀림을 말한다. 열대우림은 적도와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열대기후 지역의 빽빽한 밀림을 가리킨다. 우림(雨林)이란 말은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 형성된 수풀이라는 뜻으로, 열대우림이란 열대기후 지역의 많은 비로 인해 형성된 수풀이라는 의미가 된다. 열대기후 중 열대우림기후(Af)와 열대몬순기후(Am)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식생으로, 적도 지방의 연중 강하고 많은 햇빛(일사량)과 충분한 강수량으로 인해 세계 어느 기후지역보다 울창한 삼림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삼림을 이루는 나무의 크기와 종류 면에서 다른 삼림과 비교할 수 없는 규모를 자랑하는데, 높이가 60m 이상 자라는 나무들도 많다. 이는 식물이 생육하기 좋은 환경에서 다양한 나무들이 햇빛을 받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라기 때문으로, 열대우림은 햇빛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최상부층과 그 아래로 중간 높이의 나무들, 그리고 지표면에서 5~15m 높이의 최하층 등 여러 개의 층을 이루어 구성된다. 지표면에는 햇빛이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덩굴과 관목, 작은 나무들이 자란다. 1㎢ 안에 수백 종의 식물이 섞여 자라므로 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산소 생산량도 많다.

마호가니, 흑단, 자단, 발사나무 등 경제적 가치가 큰 목재들은 해당 지역 국가들의 주요 수출품이 되기도 하나, 빽빽한 밀림으로 인한 벌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많은 생물들이 서식하는 지구상 최고의 생물종 다양성이 있는 곳으로, 이들이 각종 자원의 원료 및 식품, 의약품 등 원료가 되어주므로 오늘날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유역 일대와 아프리카의 콩고분지,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일대가 세계 3대 열대우림 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밖에 카리브해 남부 및 중앙아메리카 지역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인도차이나 반도 등도 포함된다.

현재 열대우림 지역은 임산자원의 확보 뿐 아니라 금, 다이아몬드, 석유 등 지하자원의 채취, 도로 및 도시의 개발, 최근에는 대규모 기업적 목축을 위한 초지 확보를 목적으로 삼림이 빠르게 파괴되고 있다. 이로 인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지구온난화의 원인의 하나로 열대우림의 파괴는 국제 사회의 큰 문제가 되고 있다.[3]

기후 특성[편집]

열대우림기후란 열대기후 중 건기가 없이 매월 강수량이 풍부한 기후(Af)를 말한다. 열대기후의 한 종류로, 매월 강수량이 풍부하여 연중 푸르고 무성한 상록활엽수들로 밀림을 이루는 기후이다. 열대몬순기후(Am)나 사바나기후(Aw) 등 다른 열대기후와 달리 건기가 없으며, 모든 달의 강수량이 60mm가 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열대기후의 특성으로 연중 햇빛이 풍부한데다, 식물이 자라기에 충분한 강수량이 더해져 세계에서 가장 울창한 밀림인 열대우림을 볼 수 있다.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위 5°~10° 사이에 걸쳐 나타나며, 바다에서 불어오는 무역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은 위도 20°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적도 주변에 위치하여 연중 태양고도가 높아 연평균기온이 25℃ 이상이며, 매월 비슷하게 무더운 날씨가 계속된다. 연중 강수량이 많은 이유는 적도수렴대(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의 영향으로 강한 상승기류가 잘 형성되는 데다가 매일 강한 일사로 대류성 강수인 스콜(squall)까지 더해지기 때문이다. 연강수량은 보통 2,000㎜를 넘고, 열대몬순기후 지역과 더불어 세계 최다우지역을 형성한다. 연중 기온의 계절적 차이가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인데, 기온의 일교차보다 연교차가 더 작게 나타나며 열대기후 중에서도 연교차가 가장 작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분포지역은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유역과 아프리카의 콩고 분지, 동남아시아의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 일대이며, 특히 아마존은 세계 최대의 열대우림을 이루어 지구의 허파라고도 불린다. 아프리카의 경우 면적은 남아메리카보다 훨씬 넓지만, 주변 지역의 해발고도가 높아 무역풍이 깊게 들어오지 못해 아마존보다 그 넓이가 작게 나타난다.

생물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이 풍부하여 각종 의약품의 원료나 산업 재료 등의 원천이 되며, 각종 희귀 생물들도 많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열대기후 지역의 전형적인 토양인 붉은 색의 라테라이트(laterite)로 매일 내리는 강한 비로 인해 표층의 영양분이 쓸려내려가 토양이 매우 척박하다. 이러한 기후와 식생, 토양 등의 환경은 사람이 살기에 적대적인 환경으로, 열대우림기후는 현재까지도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지역이다. 그러나 싱가포르 같은 도시 국가의 경우처럼 지리적 위치의 특수성으로 인해 현대적인 도시가 발달된 곳들도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원주민들은 수렵이나 채집, 또는 이동식 화전농업을 통해 살아오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경제나 문명이 크게 발달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선진국 다국적기업들의 진출로 이 기후에 잘 자라는 고무·카카오·사탕수수 등을 기업적으로 재배하는 플랜테이션이 행해지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개발 사업 및 도시 건설, 대규모 목축 및 농경 등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열대우림이 파괴되는 문제가 지구적 차원에서 환경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4]

고온 다습한 기후

  • 열대 우림 지역은 연중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다.
  •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 이상이다.
  • 연 강수량은 2,000mm 이상이다.

열대성 소나기

  • 강한 햇볕을 받아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면서 구름을 만들어 스콜(대류성 강수)을 자주 내리게 한다. 스콜은 강한 태양열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여 구름을 만들고 비를 내리게 하는 대류성 강수이다.열대 우림 지역의 강수량이 많은 것은 스콜이 거의 매일 내리기 때문이다.스콜은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쏟아지며 강한 바람, 천둥, 번개 등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5]

지역의 분포[편집]

열대우림지역은 연중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 주변에 분포한다. 즉, 열대 우림 지역은 연중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를 중심으로 동서로 길게 분포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콩고강 일대,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일대, 동남아시아의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여러 섬 등이 포함된다.

지역의 경관[편집]

열대우림지역의 식생

  • 상록 활엽수림으로 구성된다.
  • 나무의 종류가 많고 키가 큰 나무와 작은 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 덩굴 식물이 많다.
  • 태양열에 의해 지표가 빠르게 데워지는 것을 막아주고, 광합성을 통해 지구에 산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셀바스)

열대우림지역의 토양

  • 열대우림지역은 땅에 떨어진 나뭇잎 등이 비와 열기로 쉽게 분해되어 나무에 흡수되거나 물에 녹아 씻겨나가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이 부족한 편이다.

열대우림지역의 생물 종

  • 육지 면적의 2%에 불과하지만, 지구에 서식하는 동식물 종의 절반 이상이 분포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5]

지역의 농업[편집]

열대우림지역은 비가 많이 내려 흙 속의 양분이 물에 녹아 빠져나가기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기에 불리하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나무를 태워 얻어진 재로 흙의 양분을 공급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인 이동식 화전 농업이 전통적으로 발달하였다. 또한 과거 유럽의 식민 지배 이후에는 선진국의 자본 및 기술과 원주민의 노동력을 결합한 농업 형태인 플랜테이션이 행해지고 있다.

이동식 화전 농업

  • 숲에 불을 질러 만든 밭에 카사바, 얌, 타로, 옥수수 등의 식량 작물을 재배한다.
  • 몇 번 농사를 짓고 나면 토양의 양분이 떨어지기 때문에 4~5년을 주기로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같은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다.

플랜테이션

  • 플랜테이션의 역사 : 플랜테이션은 과거 유럽의 식민 지배 이후 행해지는 농업 형태이다.
  • 농업 방식 : 선진국의 자본 및 기술과 원주민의 노동력을 결합하여 커피, 카카오, 천연 고무, 기름야자, 바나나 등의 상품 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한다.
  • 플랜테이션 작물의 재배 지역 : 열대우림지역의 여러 국가들은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잘 자라는 공업 원료나 기호 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하여 세계 각지에 수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플랜테이션 작물의 재배 면적이 확대되면서 열대우림이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으며, 이 때문에 원주민을 위한 식량 작물 생산이 감소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6]

지역의 생활[편집]

열대우림지역은 교통이 불편하여 외부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주민들이 그들만의 전통적인 생활 양식을 지키며 살아왔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자연환경에 순응하여 살아가므로 생활 양식이 단순한 편이다.

열대우림지역의 의생활

  • 덥고 습한 날씨를 견디기 위해 단순한 형태의 얇은 옷을 입는다.
  • 옷을 거의 입지 않거나 풀잎으로 만든 간단한 옷을 허리에 두른다.

열대우림지역의 식생활

  • 전통적으로 동물을 사냥하거나 물고기를 잡아 식량으로 이용한다.
  • 열대 과일인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파파야 등을 즐겨 먹으며 음식의 재료로 이용한다.
  • 음식의 부패를 막기 위해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먹는다.
  •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며, 염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열대우림지역의 주생활

  •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나 풀잎을 가옥의 재료로 사용한다.
  • 더위를 피하고 바람이 잘 통하게 하기 위해 가옥의 구조가 단순하고 개방적인 형태이며, 문과 창문을 크게 만든다.
  • 강수량이 많기 때문에 비가 쉽게 흘러내리도록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한다.
  •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습기,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집을 지면에서 띄워 바닥을 높인 고상 가옥이나 더위를 피하기 위해 물 위에 지은 수상 가옥이 발달하였다.
  • 열대우림지역의 가옥 종류
  • 열대우림지역의 고상 가옥 : 지표면에서 전달되는 열기와 습기를 피하고, 해충과 뱀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을 지면에서 띄워 짓는다.
  • 열대우림지역의 수상 가옥 : 물 위에 집을 짓기 때문에 시원하고,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7]

지역의 변화[편집]

열대우림의 훼손

  • 목재와 지하자원 개발, 도시 개발, 도로 건설, 농경지나 방목지 조성을 위한 삼림 벌채로 열대 우림이 훼손되고 있다.
  •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육식 위주의 식생활이 발달하면서 고기용 소를 키우기 위한 방목지 조성 때문에 열대 우림이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 지난 50년 동안 지구에 존재하는 열대 우림의 절반 이상이 훼손되었다.

개발에 따른 문제점

  • 생물 종의 감소 : 숲이 파괴되면서 생물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
  • 원주민 수의 감소 : 생활 근거지가 파괴되면서 토착 문화가 사라지고 있다.
  • 환경 문제 발생 :
  • 지면이 바로 햇빛에 노출되어 기온이 상승한다.
  • 강수량이 감소하여 땅이 척박해진다.
  • 숲이 사라짐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는 기능이 저하되어 지구 곳곳에서 이상 기후가 나타난다.[8]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열대 우림〉, 《위키백과》
  2. 열대 우림〉, 《나무위키》
  3. 열대우림〉, 《두산백과》
  4. 열대우림기후〉, 《두산백과》
  5. 5.0 5.1 열대 우림 지역〉, 《학생백과》
  6. 열대 우림 지역의 농업〉, 《학생백과》
  7. 열대 우림 지역의 생활 양식〉, 《학생백과》
  8. 열대 우림 지역의 변화〉, 《학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열대우림지방 문서는 기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