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닻(anchor)은 배를 한곳에 정박시킬 때 줄에 매어 물 밑바닥으로 가라앉히는 갈고리가 달린 기구이다. 닻을 쓰면 갈고리가 흙바닥에 박혀 배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개요[편집]
닻은 선박, 부표, 폰툰(pontoon) 등의 묘박을 위하여 해저에 투입하는 강철제의 갈고리를 갖는 중량물을 말한다. 또한 선박을 정박시키거나 외부 물체와 접촉을 피하기 위해 속력을 갑자기 줄일 때, 좌초된 선박을 고정시킬 때 등에 사용된다. 공학에서는 구조물을 견고한 암석이나 지면에 연결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말하며 선박구조에서는 LPG선의 화물탱크를 고정시키는 구조물을 앵커라고 한다.[1] 옛날에는 밧줄 끝에 무거운 돌을 매달아 썼는데, 돌 대신 나뭇가지나 동물의 뿔로 만든 갈고리를 닻처럼 사용한 일도 있다. 현재는 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닻의 무게만 20t이 넘는 것도 있다.[2]
어원[편집]
닻을 한자로 묘(錨)·정(碇)이라고 쓰는데, 옛날의 배는 밧줄 끝에 무거운 돌을 매달아 그것을 물 속에 내려놓고, 배가 다른 곳으로 떠내려가지 않도록 했다고 해서 정(碇)이라 했다. 그리고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는 것을 정박이라 하였다. 무거운 돌 대신 나뭇가지나 동물의 뿔로 만든 갈고리를 지금의 닻처럼 사용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 가벼워 물 속에 가라앉히기가 곤란하므로 무거운 돌을 매달아 사용하게 되었다. 갈고리는 고양이의 발톱처럼 물밑을 잘 헤집고, 물 밑에 박혀 배가 정박하게 되자 계속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닻을 목묘(木猫)라고 했다. 그 후 쇠로 만든 닻이 쓰이자 목묘는 철묘(鐵猫)가 되고, 철(鐵)자와 묘(猫)자가 하나로 합쳐져서 묘(錨)라는 글자가 생겼다.[3]
종류[편집]
닻은 사용 목적상 충분한 무게와 해저에 잘 박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여러 가지 형식의 닻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크게 나누어 스톡 앵커(stock anchor)와 스톡리스 앵커(stockless anchor)로 구분된다.
스톡 앵커는 평면에서 보면 앵커 섕크와 앵커 스톡이 직교하고, 스톡이 물 밑에 옆으로 놓이는데, 이것과 직각을 이루는 앵커 암과 끝의 빌이 해저에 깊게 파고 들어가 묻히므로 파지력이 크다. 대형의 것은 취급 방법과 선내에 격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외형이 십자(十字)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십자묘라고도 하며, 돛단배·소형선에 사용된다. 스톡 앵커의 무게는 스톡을 제외한 계산 무게인데, 닻 무게의 1/4 이상이어야 한다고 선박설비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스톡리스는 19세기에 고안된 것으로 스톡이 없으며, 양쪽에 있는 빌이 동시에 파지력을 가짐으로써 암은 섕크에 대하여 어느 각도까지 회전한다. 섕크가 물 밑에 옆으로 놓였을 때 빌은 약 45°각도로 토사에 박힌다. 스톡리스 앵커는 대빗이나 앵커 베드의 설비가 필요없으며, 취급과 격납이 간단하므로 묘쇄공(hawse pipe)에 끌어 넣으면 된다. 따라서 항해 중에도 묘쇄공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떨어질 염려가 없고, 손을 댈 필요가 없다는 등의 이점 때문에 오늘날 대형선(군함 포함)은 거의가 스톡리스 앵커를 사용한다. 외형상 산자(山字) 모양인 이 앵커의 무게는 계산 총무게인데 섕크를 제외한 무게는 총무게의 3/5 이상이어야 한다고 선박설비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이 밖에 특수한 닻으로 그래프널 앵커, 버섯형 앵커(머드 앵커라고도 한다), 시 앵커 등이 있다. 배에 장비하는 닻은 배의 크기에 따라 수와 무게가 정해 있으며, 대묘(大錨)·중묘·소묘의 3종류가 있다. 대묘는 주묘(主錨)라고도 하며, 선수(船首)의 좌우현에 상비(常備)하는 것인데, 1만 t급 배에서 1개가 약 5t의 무게를 가진다. 대형선에서는 대묘와 같은 크기의 예비 대묘를 1개 별도로 비치한다. 중묘는 대묘의 1/3 크기인데, 선미 부근의 갑판에 비치하며, 선미에서 닻을 던질 필요가 있을 때는 와이어 로프를 체인 대신 닻을 내리는 데 사용한다. 소묘는 중묘보다 더욱 작은 닻으로 잡용에 사용되며, 이것들에는 스톡 앵커가 많다. 구명정에 장비하는 보트 앵커도 스톡 앵커이다. 특수한 배에서는 선수 바로 정면에 닻을 비치하기도 하고, 선미의 양현에 선수에 비치한 것과 같은 닻을 비치한 것도 있다.[3]
용도[편집]
배가 닻만으로 정박하는 경우를 묘박(錨泊)이라 하며, 부표(浮標)·안벽(岸壁)에 매어둘 경우라도 항구의 선박 출입 통제 편의상 닻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묘박에는 하나의 닻으로 정박시키는 단묘박과 2개의 닻으로 정박시키는 쌍묘박이 있다. 정박하는 장소가 넓을 경우는 단묘박이, 좁은 경우에는 쌍묘박이 채택된다. 닻은 배의 정박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급속도로 달리는 선박의 브레이크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배가 소회전(小回轉)을 할 때 임기응변으로 닻을 내린다거나, 배가 좌초했을 경우 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장소에 옮겨 닻을 내리기도 하며, 배를 끌어내리는 데도 사용한다.[3]
중요성[편집]
선박에서 닻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 항구에 정박하거나 외항에 대기하는 경우 선박을 한 장소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닻 크기는 선박의 '의장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재화중량수 15만t급 선박인 경우 닻의 무게는 약 15t에 달한다. 선박 전체 무게 1만분의 1에 불과한 닻이 물속에 박혀 그 거대한 선체를 한 장소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선체를 지지하는 것은 실제 닻의 무게만은 아니고 닻에 연결된 체인이 닻과 함께 해저의 펄이나 모래속에 묻혀 파주력(닻이 발휘하는 저항력)을 생성하므로 가능하다. 체인은 절(shackle·25m) 단위로 나타내는데 닻 1개당 통산 10절 정도 설치되며 체인 2절 무게가 닻 무게와 같다. 해양수산계 학교 또는 바다와 관련된 기관들은 로고나 상징물로 닻을 표시하는데, 그 이유는 닻이 물 속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하는 '앵커 정신'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해병대의 상징물중 하나인 기울어져 있는 모양의 닻은 함정이 정박 또는 정선해 해병대 고유의 임무인 상륙작전 개시를 의미한다.[2]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닻〉, 《선박항해용어사전》
- 〈닻〉, 《두산백과》
- 인천지방해양수산청 환경안전과, 〈[알쏭달쏭 바다이야기]닻 의미와 역할〉, 《경인일보》, 2007-08-06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