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평원
동북평원(东北平原)은 랴오허강, 쑹화강의 충적·침식으로 형성된 만주의 중심을 이루는 대평원이다. 둥베이평원 또는 송료평원이라고도 부른다. 동북평원은 남북 1,000km, 폭 400km이다.[1]
개요[편집]
- 동북평원은 중국에서 가장 큰 평원으로써 '송료평원'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동북지구의 중부에 위치하여 있고 북위 40° 25′~ 48° 40′, 동경 118° 40′~ 128°에 있다. 남북길이는 약 1,000㎞이고 동서 너비는 약 400㎞이며 면적은 35만 ㎢에 달한다. 평원의 동서 양측은 장백산지와 대흥안령산지이고 북부는 소흥안령산지이며 남부는 랴오둥만과 인접하여 있다.
- 동북평원은 중국 동북 3성(지린성, 헤이룽장성, 랴오닝성)의 동북부에 있는 중국 최대의 퇴적평원이다. 동북평원은 중국의 제일 큰 평원으로서 대흥안령과 소흥안령 및 장백산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남북 길이는 약 1,000㎞이고 동서 너비는 약 400㎞이며 면적은 35만 ㎢에 달한다. 동북평원은 3개 부분으로 나뉘는데, 동북부는 주로 흑룡강, 송화강과 우수리강의 충적으로 생긴 삼강평원이고 중부는 송화강과 눈강의 충적으로 생성된 송눈평원이며 남부는 주로 요하의 충적으로 생성된 요하평원이다. 동북평원의 토질은 비옥한 흑토이므로 농업 생산에 극히 유용하다. 그리하여 길림성 북부지역은 세계 3대 황금 옥수수 지대 중의 하나이다. 여러 해 동안 흑룡강성의 식량 총생산량은 전국 제일이고 길림성의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은 중국에서 가장 높아 동북평원은 명실상부한 중국의 식량 창고로 불리고 있다. 동북평원은 중국의 동북쪽에 위치하여 얻어진 이름이다.
- 동북평원은 중국의 동북부 만주지방의 대소 싱안링산맥(兴安嶺山脈, 흥안령산맥)과 창바이산맥(长白山脈) 사이에 있으며 남북으로 약 1,000㎞, 동서로 300~400㎞가량 펼쳐져 있는 중국 최대의 평야이다. 평원의 넓이는 약 35만 ㎢ 이고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200m를 넘지 않는 지역으로 기후는 온대성 습윤기후 또는 반습윤기후에 속하며, 겨울철 기온이 낮고 결빙기가 기나 여름철 기온은 높아서 남부 요하평원에서는 2년 3모작이 가능하다. 토양은 비옥하기로 유명한 흑토(黑土) 분포지대에 해당하여 부식질의 함량이 많고 통풍과 저수가 잘 되기 때문에 대두(大豆)·수수·옥수수·밀·사탕무·아마 등이 많이 생산된다. 둥베이 평원의 풍부한 농업생산은 이 지역의 거대한 공업체계를 떠받치는 힘이 되고 있으며, 평원에 매장된 풍부한 석유와 평원 주변 구릉 지역에 매장된 석탄·철·구리 등의 풍부한 광산자원에 힘입어 이미 중국의 주요한 석유·석탄·사철(砂铁) 산지가 되었으며, 주요 공업도시로는 선양시(沈阳市, 심양시), 창춘시(长春市), 하얼빈·다칭시(大庆市, 대경시), 푸순시(抚顺市, 무순시) 등이 있다.
동북평원의 자연환경[편집]
- 동북평원은 중국에서 가장 큰 평원으로 동북 지구의 중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삼강평원, 송눈평원, 요하평원을 포함하고 있다. 동, 서, 북 삼면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으로는 눈강 중류로부터 남으로는 요동만까지 남북길이는 1,000㎞에 달하고 동서는 400㎞에 달한다. 면적은 약 35만㎢로 중국동북 지구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동북평원은 주로 요하, 송화강, 눈강과 우수리강 등 하류들의 충적으로 인해 생성된 것이다. 대부분의 해발고도는 200m 이하이고 넓고 평탄하며 경사도가 아주 작다. 장춘 부근의 송료 분수령 지구만 지세가 조금 높아 200~250m이다. 분수령 이남은 요하 평원이라고 부르고 이북은 송눈평원이라고 부른다. 동북 평원은 토지가 비옥하여 옥수수, 콩 등을 많이 재배한다.
동북평원의 역사[편집]
- 지리적으로는 춥고 황량한 허허벌판이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아무르강(헤이룽강,흑룡강), 송화강(송화강)이나 랴오허(요하) 같은 큰 강이 흐르고 한카 호 같은 거대한 호수도 있으며 풍성한 삼림이 우거져 있다. 그리고 몽골 고원과 경계를 이루는, 해발 1,900m에 이르는 거대한 다싱안링산맥을 비롯한 여러 산맥들도 자리 잡고 있으며 늪지도 많다. 남부에서 대략 한가운데 둥베이 평원이 자리 잡고 있다.
- 농업의 경우는 겨울이 길기 때문에 논 농사는 그다지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의지의 조선인들은 이주해서 논농사를 짓고야 만다.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지나치게 추워 한반도의 평야보다 농사에 불리하다는 인식이 있었으며, 곡창지대가 된 것은 20세기 중후반의 일이다. 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국가는 반농반목 국가들이 많았다. 부여, 고구려 시절엔 기후도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나 고구려도 평안도 이남의 한반도가 생산력이 높았다. 지금 농업으로 유명한 헤이룽장성의 싼장 평원도 원래는 거대한 늪지였기에 농사짓기가 어려웠으며, 해당 지역의 퉁구스계 주민들은 수렵채집으로 생활하였다. 현대의 그 광활한 농장지대는 20세기 중후반 중국 정부가 수많은 인민해방군 병사들을 동원하여 십만이 넘는 사상자가 날 정도로 강하게 개간을 밀어붙인 결과이다.
- 현대에는 남북 길이 약 1,000km, 동서 너비 약 400km에 달하는 중국 최대의 평야 지대이자 전 세계에서도 비옥하기로 손꼽히는 둥베이 평원이 위치하고 있어서 옥수수, 콩, 조, 밀, 사탕무, 등을 재배하는 대규모의 밭농사가 이루어진다. 대두의 원산지 중 한 곳이라고 추정되기도 한다. 1910년대에 유럽이 전화를 겪으면서 이 지역에서 재배된 곡물이 엄청나게 팔려나갔고, 중개무역를 한 일본 상인들도 돈을 많이 벌었다. 당시 만주로 건너간 조선인들 또한 이런 식으로 돈을 번 이들이 꽤 있다. 또한, 일본에 의해 중화학 단지로 육성될 만큼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고구려, 청의 강력한 기병은 만주의 풍부한 철광석 덕택이란 이론도 있다. 심지어는 석유도 매장되어 있다. 1959년에 발견된 헤이룽장성 다칭시의 다칭유전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발해만과 라오허 일대를 중심으로 유전이 개발되어 있다.
동북평원의 지리특성[편집]
- 둥베이 서부의 네이멍구 고원 동쪽 연변을 대싱안링(大興安嶺) 산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달리고, 그 북단에서 샤오싱안령(小興安嶺) 산맥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달린다. 또 남동부 한국과의 접경 지대에 창바이(長白) 산맥이 가로놓이고, 랴오둥(遼東) 반도에는 반도의 주맥(主脈)인 첸산(千山) 산맥이 이어진다. 이들 산지는 창바이 산맥의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일대를 제외하고는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기복이 완만한 노년기의 지모(地貌)를 보이고, 특히 첸산 산맥은 해발고도 4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 동북평원 지역의 산지와 구릉에 둘러싸인 곳에 해발고도 200m 미만인 둥베이 평원이 펼쳐진다. 둥베이 평원은 중국 최대의 평원으로, 쑹화강(松花江) ·넌장강(嫩江) 유역을 차지하는 북부는 쑹넌(松嫩) 평원으로 불리고, 랴오허강(遼河) 유역을 차지하는 남부는 랴오허 평원으로 불린다. 남 ·북 두 평원 중간의 창춘[長春] 부근에는 해발고도 250m 정도의 낮은 구릉지가 가로놓여 평야부에서의 남 ·북 수계(水系)의 분수계(分水界)가 되고 있다. 쑹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여 북서류(北西流)하다가 지린성 북서부에서 넌장강을 합친 뒤 북동으로 유로를 바꾸어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헤이룽장성 동부에서 헤이룽강에 합류한다. 한편 우수리강은 동부 국경을 북류(北流)하여 헤이룽강에 합류하는데, 우수리 ·쑹화 ·헤이룽 3하천의 합류점 일대는 해발고도 50m 이하의 저평한 습지 ·소택지로 싼장(三江) 평원이라고 불린다. 랴오허강은 대싱안링 산맥에서 발원하는 서랴오허강(西遼河)과 창바이 산맥에서 발원하는 동랴오허강(東遼河)이 랴오닝성 북동부에서 합류하여 하류부에서 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한다. 호소(湖沼)는 면적에 비하여 그 수가 적으며, 남동부 국경의 싱카이호(興凱湖:한카호), 무단강 상류의 징보호(鏡泊湖), 네이멍구 고원의 내륙호인 흘룬호 ·부이르호 및 쑹화강 중류의 인조호인 쑹화호 등이 있다.
- 동북지역은 기온의 남북차(南北差)가 작아서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자리한 미작(米作) 지대가 되고 있다. 한편, 겨울에는 고기압의 소장(消長)에 따라 3한4온(三寒四溫)의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4월에는 중남부에 몽골풍(蒙古風)으로 불리는 강한 서풍 또는 남서풍이 거의 연일 풍진(風塵)을 일으킨다. 연(年)강수량은 남동부 산지에서 1,000mm, 치치하얼(齊齊哈爾)에서 약 500mm이고, 서부로 갈수록 적어진다. 연강수량의 약 60%가 6∼8월에 집중되고, 11∼3월에는 10%에 불과하다. 그와 같이 강수가 한정되고, 증발이 심하기 때문에 농업은 건조농법(乾燥農法)을 필요로 한다. 토양은 산지에 포졸, 평원 북부에 흑토(黑土), 평원 남부에 갈색토가 분포한다.
싼장평원(三江平原)[편집]
- 헤이룽강(黑龙江), 우수리강(乌苏里江), 쑹화강(松花江, 송화강)의 유역에서 신생대 제3기 말의 곡강 운동과 퇴적물이 쌓여 생성된 러시아와 중국 헤이룽장성(黑龙江省) 동북부에 걸쳐있는 거대한 평원으로 중국 쪽의 면적은 57,460㎢에 달하며, 러시아 쪽도 비슷한 규모이다. 평원의 평균 해발 고도는 50~60m로 만주지방에서 가장 지대가 낮은 곳이며 쑹랴오평원(松辽平原, 송요평원)과 함께 둥베이평원(东北平原)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저습지와 우각호, 배후습지, 자연제방 등이 산재되어 있으며, 냉량한 기후조건을 보이고 있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평원〉, 《네이버국어사전》
- 〈둥베이 평원〉, 《위키백과》
- 강정규 특파원, 〈용이 승천하듯 거대한 회오리...中 동북 평원 쑥대밭〉, 《YTN뉴스》, 2023-06-02
- 폴린쌤, 〈중국의 4대 고원과 3대 평원〉, 《네이버블로그》, 2016-10-18
- 교육부, 〈세계의 지형〉, 《네이버블로그》, 2015-07-28
- 송호정 교수, 〈동북평원 700년 지배한 ‘한민족의 뿌리’〉, 《경향신문》, 2004-01-1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