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라부안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라부안
라부안위치

라부안(말레이어: Labuan)은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의 연방직할구이다. 동말레이시아의 유일한 연방직할구이며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하게 단일섬으로만 구성된 행정구역이다. 라부안이라는 명칭은 말레이어로 "정박지"를 뜻하는 단어인 라부한(labuhan)에서 유래됐다.[1]

개요[편집]

라부안은 말레이시아의 3개 연방직할령(Federal Territory) 중 하나이다. 연방직할령은 연방정부가 직접 관할하는 행정구역으로 13개 주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라부안 연방직할령은 라부안섬과 6개의 다른 작은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원래 보르네오섬(Borneo) 북동부 끝에 있는 사바주(Sabah)에 속하였다가 1984년 10월에 연방정부가 사바주로부터 양도받아 연방직할령으로 지정하였다. 사바주 서쪽 앞바다 10km 지점에 있으며, 가장 중요한 곳이 라부안섬(75km²)으로 중심 도시 반다르라부안(Bandar Labuan)이 섬의 남동쪽 해안에 있다. 반다르라부안은 전에 빅토리아(Victoria)라고 불렀다. 라부안섬은 가까이 있는 브루나이(Brunei)인들과 수중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지이고,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조세회피지역으로 지정받을 정도로 세금 탈루의 온상으로 쟁점이 되는 곳이다. 1990년에 국제재정센터와 자유무역지대(FTZ)로 지정, 선언되었다. 주민은 말레이인 78.0%, 중국인 15.5%, 인도인 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부안의 경제는 방대한 석유와 가스 자원과 국제적인 투자와 은행 서비스를 통해 번창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경제특구이면서도 면세 지역이다. 이곳은 연방직할령으로 역외금융센터이자 자유무역지대이기 때문에 군순찰함, 파병대, 공군 등이 섬에 파견되어 연방정부하에 있다. 지방 경찰대는 매일 법과 명령을 내린다. 연안경비대와 간접세무국은 라부안에서 비교적 강한 역할을 한다.[2]

지리 및 기후[편집]

라부안의 영토는 75km²의 라부안섬과 총면적 92km²의 6개 작은 다른 들(Pulau Burung, Pulau Daat, Pulau Kuraman, Pulau Papan, Pulau Rusukan Kecil, and Pulau Rusukan Besar)로 이루어져있다. 보르네오섬의 해안선으로부터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말레이시아의 사바주와 남중국해를 향해 있는 브루나이만 북쪽 끝의 브루나이와 가깝다. 라부안섬은 주로 평평하고 굴곡이 심하지 않으며 제일 높은 곳은 85m밖에 되지 않는다. 아직 영토의 70%가 초목이다. 빅토리아라고 알려진 반다르라부안이 이 지역 주요 도시이자 항구이며 부르나이만을 향한다.

라부안은 건기가 없는 열대 우림 기후를 가지고 있다. 일년 내내 기온은 일반적으로 25~32°C이며 24°C 미만 또는 33°C 이상인 경우는 드물다. 따뜻한 계절은 4월 1일부터 6월 13일까지 지속되며, 하루 평균 최고 기온은 31°C를 넘는다. 1년 중 가장 더운 날은 4월 29일로, 평균 최고 기온은 32°C, 최저 기온은 26°C이다. 추운 계절은 1월 7일부터 2월 17일까지 지속되며, 하루 평균 최고 기온은 30°C 미만이다. 연중 가장 추운 날은 9월 8일로, 평균 최저 기온은 25°C이고 최고 기온은 31°C이다. 라부안 기상대는 라부안 공항에 위치해 있다.

뇌우는 라부안에서 강수량이 있는 날의 60% 동안 관측되는 가장 심한 강수량이다. 10월쯤에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매우 자주 발생한다. 한편 라부안의 상대 습도는 일반적으로 일년을 통하여 63%(약간 습함)에서 96%(매우 습함) 범위이며, 53%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100%(매우 습함)까지 올라간다.[3]

역사[편집]

15세기부터 300년 동안 라부안 섬을 포함한 보르네오 북쪽과 서쪽 해안은 브루나이 술탄국의 일부였다. 1775년, 라부안은 발람방간섬의 회사 ​​기지가 실패한 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일시적으로 점령했다. 브루나이의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Omar Ali Saifuddin)은 발람방안에 대한 대안으로 라부안을 제안함으로써 술루 침입자들에 대한 영국 동인도회사의 지원을 확보하려고 노력했지만 대신 회사는 발람방안에 기지를 세우려는 두번째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라부안이 다시 영국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19세기에 영국의 정책이 바뀌었다. 로드니 먼디(Rodney Mundy) 선장 은 1846년 12월 18일 브루나이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Omar Ali Saifuddin II) 와 라부안 조약(Treaty of Labuan)을 통해 영국을 위해 이 섬을 획득했다. 로드니 먼디는 1846년 12월 24일 섬이 영국 왕실에 즉위하는 것을 목격하기 위해 펭기란 무민(Pengiran Mumin)을 데려갔다.

영국인이 섬을 인수한 주된 이유는 이 지역에 대한 상업적 이익을 보호하고 남중국해에서의 해적 행위를 억제하기 위해 해군기지를 설립하기 위해서였다. 영국인들은 또한 이 섬이 제2의 싱가포르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섬은 1848년 제임스 브룩이 초대 주지사 겸 총사령관에 임명되고 윌리엄 네이피어가 그의 부주사로 임명되면서 크라운 식민지가 되었다. 1849년, 동부 군도 회사는 몇몇 영국 기업들 중 최초로 라부안 석탄 매장지를 이용하려고 시도했다. 이 회사는 보르네오섬과 인근 해안의 석탄 매장지를 착취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나 곧 제임스 브룩과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라부안의 행정부는 스스로 위대한 상업적 또는 전략적 자산을 증명하지 못한 채 1890년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에 넘겨졌다. 1894년 영국이 이 섬의 통신을 북보르네오, 싱가포르, 홍콩과 처음으로 연결하기 위해 해저 통신 케이블을 만들었다. 1906년 10월 30일까지 영국 정부는 라부안을 포함하도록 해협 정착지의 경계를 확장할 것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1907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부안은 1942년 1월 3일부터 1945년 6월까지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북부 보르네오를 통제하는 일본 37군 부대가 주둔했다. 그 섬은 일본군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점령 기간 동안 일본 정부는 보르네오 북부 최초의 일본 사령관을 기념하기 위해 마에다 도시나리 후작의 이름을 따서 1942년 12월 9일 섬 이름을 마이다섬(前田島, 마에다시마)으로 변경했다. 마에다는 비행장을 개설하기 위해 섬으로 이동하던 중 사라왁주 빈툴루 (Bintulu)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연합군의 반격이 가까워지자 일본도 라부안과 브루나이만을 해군기지로 개발했다.

연합군의 보르네오 해방은 1945년 6월 10일 호주 소장 조지 우튼(George Wootten)이 지휘하는 호주군이 오보에 식스 작전(Operation Oboe Six) 이라는 코드명으로 공격을 개시하면서 시작되었다. 라부안은 연합군이 탈환하려는 주요 목표가 되었다. 곧 호주군 제9사단은 라부안 비행장이 점령될 때까지 공습과 해상 폭격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개시했다. 6월 10일 상륙 후 4일 이내에 빅토리아 주요 도시를 포함한 라부안섬 지역 대부분이 연합군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1945년 9월 9일, 일본 중장인 마사오 바바 중장이 조지 우튼(George Wootten) 호주 9사단장 앞에서 항복 문서에 서명하기 위해 섬 내 9사단 사령부로 끌려온 라양라양 해변 근처의 현재 항복지점으로 알려진 곳에서 정식으로 항복했다.

라부안이라는 이름은 후에 영국에 의해 복원되었고, 이 섬은 다른 해협 정착지들과 함께 영국 군사 행정부에 의해 관리되었다. 그 후 라부안은 1946년 7월 15일 북보르네오 왕관 식민지에 가입했고, 1963년 사바주와 말레이시아의 일부가 되었다. 1984년 4월 16일 라부안은 사바주로부터 연방 정부로 양도되었고, 말레이시아의 연방 직할구가 되었다. 그것은 1990년에 국제 역외 금융 중심지와 자유무역 지역으로 선언되었다.[4]

관광[편집]

라부안에는 여러 종류의 볼거리와 관광지가 많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여러 종류의 전쟁 무덤들과 기념비들이 존재한다. 이곳에서 영국, 호주, 인도, 사라왁주, 브루나이, 북보르네오, 제국군대 등의 무덤을 포함한다. 1945년 일본이 오스트레일리아에 항복을 선언한 것을 기념하는 비석도 있다. 또한 라부안 지역 랜드마크로도 잘 알려진 굴뚝을 포함한 영국 해군의 석탄항구도 잔존해있다. 라부안 해양 박물관도 있다.

라부안에는 또한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많은 4대 난파선 베이스가 위치해있다. 시멘트 난파선과 아메리칸 난파선, 오스트레일리아 난파선, 블루워터 난파선이다.

라부안에는 많은 학교가 있다. 국제학교로는 라부안 국제학교가 전부이다. 다른 인기장소로는 라부안 국제 해양스포츠 콤플렉스가 있다. 2008년부터 2년 동안 새롭게 추진될 곳으로는 마리나 센터와 라부안 스퀘어 프로젝트가 있다.

라부안은 또한 고등교육의 말레이시아 사바 라부안 국제 대학 캠퍼스가 위치해 있고, 스팡가르만과 사바의 코타키나발루에도 사바대학교의 분관이 존재한다.

지도[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라부안〉, 《위키백과》
  2. 라부안(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Labuan", Wikipedia
  4. 라부안〉, 《요다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라부안 문서는 아시아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