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메르신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메르신(Mersin)은 튀르키예 남부 메르신주의 주도이다. 아다나에서 서남쪽으로 50km 떨어진 해안에 위치한다. 동북쪽의 타르수스, 아다나와 함께 330만의 광역권을 이룬다. 지명은 월계수와 비슷한 미르시네 속 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메르신 항은 튀르키예 최대의 항구이자 튀르키예의 첫 경제 자유 구역으로, 매년 6천억 달러 규모의 교역이 이루어진다.

개요[편집]

역사[편집]

시내 서편을 지나는 크즐 강의 동안에 있는 야묵테페에서 기원전 6천년 전의 유적이 발견되었을 정도로 메르신 일대는 먼 옛날부터 인류가 정착하였다. 기원전 4500년 야묵테페는 성벽 도시로 발전하였으나 기원전 300년경 버려졌다. 한편 기원전 8세기 무렵 서남쪽으로 7km 떨어진 해안에 아카이아 & 로도스 인들이 정착하여 그리스풍의 도시 솔리를 세웠다. 도시는 아케메네스 왕조 시기에 번영하였다. 기원전 333년 킬리키아를 정복한 알렉산드로스 3세는 친페르시아 도시라는 이유로 솔리에 2백 탈란트의 벌금을 매겼고, 티레 포위 시에 추가 징세를 하였다. 디아도코이 시대에 솔리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속했다가 시리아 전쟁 후 셀레우코스 왕조령이 되었는데, 자체 주화를 주조한 자치도시였다.

기원전 83년 일대를 정복한 아르메니아 왕국의 티그라네스 대왕은 솔리의 주민들을 자신의 새 수도 티그라노케르타로 이주시켰다. 이후 폐허로 남았던 솔리는 기원전 67년 킬리키아 해적을 소탕한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에 의해 재건되어 폼페이오폴리스라 명명되었다. 로마 시대에 폼페이오폴리스 (솔리)는 성벽과 극장, 목욕탕을 갖추게 되었고 130년에는 항구가 재정비되었다. 한편 헬레니즘 기에 현 메르신 도심 쪽에는 제피리온 (Ζεφύριον)이란 이름의 도시가 세워졌고, 인근 코레야라 광산의 주석과 몰리브덴을 수출하여 자체적으로 동전을 주조할 정도로 번영하였다. 로마 제국기에 라틴식 제피리움에 이어 하드리아노폴리스로 개칭된 도시는 인근 타르수스의 외항이었고, 4세기 들어 주교구가 되었다.

260년 샤푸르 1세의 킬리키아 침공 당시 원군이 올때까지 포위를 견뎌내어 사산 제국군의 후퇴를 이끌어낸 솔리 역시 비슷한 시기 주교구가 되었다. 다만 두 도시는 525년의 대지진으로 크게 파괴되었고, 7세기 이슬람 정복 후 동로마 제국과 이슬람 제국 간의 최전방이 되며 일종의 완충 지대로써 버려졌다. 16세기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마을이 생겼다가 1866년 미국 남북전쟁으로 수요가 급증한 일대의 목화를 수출하며 급성장하였고, 킬리키아의 대표 항구가 되었다. 20세기 초엽 메르신은 목화씨, 가축, 곡물 등을 각각 유럽, 이집트, 튀르키예 서부로 수출하고 석탄을 수입하였다.

1918년 세브르 조약에 따라 프랑스-영국군이 진주했으나 1921년 튀르키예군이 수복하였다. 1924년에 메르신이 주가 되었고, 1933년에 메르신과 이첼 주가 합병되어 (더 큰 메르신) 이첼주가 형성하고 메르신(Mersin)을 주도로 하였다. 2002년에 주의 이름이 메르신주로 변경되었다. 1986년 메르신은 튀르키예의 첫 자유 경제구로 지정되었다.

지리[편집]

메르신은 추쿠로바 평야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튀르키예의 다른 지역에 비해 도시의 지진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아나톨리아의 다른 여러 단층선과 가깝기 때문에 충적층 위에 건설된 도심은 위험 지역으로 간주된다.

기후는 덥고 습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이 있는 아열대 기후의 일종인 지중해성기후를 가지고 있다. 메르신의 강수량은 겨울에 가장 높다.

교육[편집]

메르신 대학교는 1992년 튀르키예 메르신주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이다.

Toros University는 2009년 메르신주에 설립된 비영리 민간 재단이다.

지도[편집]

튀르키예 지역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아나톨리아 같이 보기[편집]

아나톨리아 국가
아나톨리아 도시
아나톨리아 지리
아나톨리아 문화
아나톨리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메르신 문서는 아시아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