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고속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35번째 줄: 35번째 줄:
  
 
애초에 이란 같은 경우는 대형함을 보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 게 압도적인 미해군의 전력 앞에서는 대형함이나 고속정이나 둘 다 탐지되는 순간 격침되는 것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나마 해안가에 은폐시켜서 기습 공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값싼 고속정을 다수 보유하는 것이 유리한 것. 이는 냉전 시기에 강력한 소련 해군을 상대해야했던 핀란드나 노르웨이 해군이 고속정을 다수 보유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애초에 이란 같은 경우는 대형함을 보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 게 압도적인 미해군의 전력 앞에서는 대형함이나 고속정이나 둘 다 탐지되는 순간 격침되는 것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나마 해안가에 은폐시켜서 기습 공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값싼 고속정을 다수 보유하는 것이 유리한 것. 이는 냉전 시기에 강력한 소련 해군을 상대해야했던 핀란드나 노르웨이 해군이 고속정을 다수 보유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 높은 경제성 ===
 
=== 높은 경제성 ===

2022년 1월 14일 (금) 12:00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 해군의 참수리급 고속정
건보트

고속정(高速艇, Fast Attack Craft, FAC)은 해군이 연안 정찰 등을 위해 쓰는 빠른 소형 함정이다.

특징[편집]

크기, 배수량[편집]

대부분의 고속정은 초계함보다 작기 때문에 '함'이 아니라 '정'이라고 부른다. 드물게 초계함과 맞먹을 정도로 크기가 크다면 고속함이라고 부른다. 한국 해군 같은 경우는 군용 함선을 배수량 500톤을 기준으로 작으면 ~정, 크면 ~함을 붙인다. 그래서 참수리급은 고속정, 윤영하급은 고속함으로 부르고 있다. 해양경찰의 중소형 경비함과 체급이 겹치지만, 차이점은 해경에서는 경비정과 경비함의 구분이 약 200톤이며 그 이상은 5,000톤급 삼봉급까지 모두 경비함이라고 부른다.

역할[편집]

크기가 작아서 많은 보급품과 연료를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국토에서 멀리 출항하지 못한다.

  • 연안(Inshore)에서 경비용, 밀수 단속, 밀입국 단속, 불법 어선 단속 등 해양경찰에 가까운 역할을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이 역할을 강조하고자 연안고속정, 고속순찰정, 경비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바다 위의 게릴라: 약소국에서는 고속정에 값비싼 미사일을 몇발만 장비시키고, 이 고속정을 대량생산하여 주변 바다에 도배한다. 이렇게 되면 정찰이 어려운 해양전투의 특성 때문에 강대국도 상당한 출혈을 감수해야 한다. 이 출혈이 약소국을 군대로 공격하여 얻는 이득보다 커지게 만들어 강대국이 군사 개입 대신 외교 개입을 선택하게 만든다.
  • 범죄와 테러, 해적: 테러리스트들이 애용하는 선박 체급이다.

가장 민첩한 함선[편집]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관계처럼, 고속정은 대형 함선보다 민첩하다. 수천 톤짜리 구축함, 10만 톤짜리 항공모함도 최고속도는 28~30노트 정도 찍는데 보통 고속정들도 30~40노트 정도 찍으며 심지어 50노트가 넘어가는 고속정들도 존재한다.

최대속도에 이르면 물수제비처럼 수면에서 뛰어오르며 날아다닌다. 그리고 대형 함선에겐 불가능한 빠른 방향전환으로 구식 어뢰나 로켓 정도는 쉽게 피한다.

무장[편집]

고속정에도 상당한 고화력 무장을 장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안경비용 고속정에는 중기관총, 소구경 기관포, 미니건, 유탄기관총 정도를 기본 무장으로 장비한다. 이러한 고속정을 건보트라고 부른다.

그리고 건보트에서 더 나아가 대형 함선과 전투를 상정할 경우 어뢰와 대함미사일을 몇발 장비한다. 이러한 고속정을 어뢰정, 미사일 고속정이라고 부른다.

2006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당시 헤즈볼라가 항만 입출항 관리용 레이더를 이용해 이스라엘의 사르-5급 코르베트함 INS 하닛에 대함 미사일을 먹인 적이 있다. 중국제 C-802에 기반한 이란제 대함미사일이었는데, 당시 이스라엘 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상태여서 대공방어시스템을 꺼놨다가 일격을 맞은 것.

대함미사일이 실용화된 후, 제1차 세계 대전 전에 어뢰정 열풍이 분 것처럼 한때 미사일 고속정 열풍이 분 적이 있었다. 1,000톤도 안 되는 고속정이 주먹은 대형인 구축함이나 순양함과 같은 수준이고, 실제로 전적도 만만찮게 올렸다. 최초의 대함 미사일 전적인 이스라엘의 에일라트 침몰, 이를 완전히 설욕한 4차 중동전 당시의 라타키아 해전 등. 이 때문에 연안해군 성향이 강한 국가들은 미사일 고속정에 많이 의존했다. 구소련이나 독일, 노르웨이나 중동 국가 등.

그러나 마스트 높이가 낮아서 레이더 탐지거리가 짧고, 크기가 작아서 기타 전자장비도 후달리고, 결정적으로 대공방어능력이 전무에 가깝기 때문에 90년대 이후로 열풍이 확 사그라졌다. 걸프전 당시 영국의 링스가 시스쿠아 미사일로 이라크의 고속정들을 일방적으로 사냥해버린 게 결정적이었다.

공격력은 강하지만 방어력이 약하다는 이런 특성 때문에 '대포를 단 종이전차'나 'Eggshells armed with hammers'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이란 등 기타 약소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기도 한다. 근해에서의 힛앤런 용도로 쓰려는 모양이다.

애초에 이란 같은 경우는 대형함을 보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 게 압도적인 미해군의 전력 앞에서는 대형함이나 고속정이나 둘 다 탐지되는 순간 격침되는 것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나마 해안가에 은폐시켜서 기습 공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값싼 고속정을 다수 보유하는 것이 유리한 것. 이는 냉전 시기에 강력한 소련 해군을 상대해야했던 핀란드나 노르웨이 해군이 고속정을 다수 보유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높은 경제성[편집]

이때문에 남미, 아프리카 등 해군력이 중시되지 않고 해상 위협이 별로 없는 고만고만한 나라에서 각광받는다. 예외적으로 내륙국이지만 거대 호수(카스피해 등)를 두고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 일부도 고속정을 사용한다.

작은 체급의 한계[편집]

작은 덩치는 어디까지나 보조함에 위치에 머무를 수밖에 없고, 제해권,제공권을 빼앗기면 학살 당할 수밖에 없다. 어디까지나 기습, 방어 임무에 사용할 수밖에 없고, 제한된 임무 방식은 적은 유지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현대에 와서 다목적을 가진 적당한 크기의 함선이 작전 반경이나 시간, 승무원 피로도나 복지 등에 더 유리하고, 아무리 많은 고속정이 있어도 할 수 없는 임무들(장거리 초계 등)이 있기 때문에 강대국일수록 고속정을 덜 생산한다.

종류[편집]

건보트[편집]

대함 미사일도 어뢰도 장비하지 않은 고속정을 건보트라 부른다. 한문이나 한글로 포함(砲艦)이라 부르는데 대한민국의 참수리급이 대표적인 건보트라고 할 수 있다. 건보트는 고속정 중에서 최하위 단계의 전투력을 보유한다. 물론 대부분의 어뢰정은 구식이 많기에 참수리급의 경우에는 어뢰정보다는 좋을 수도 있다. 어쨌든 개념상으로 건보트는 최하위 단계다. 배틀필드 4 등 FPS 수준의 스케일이 아주 크진 못한 매체에서 등장하는 고속정이 대개 이런 물건이다. 참고로 배틀필드의 고속정은 그중에도 매우 작은 CB-90급, 20톤 급 고속정이다.

어뢰정[편집]

주무장이 어뢰인 해군 소형 함선이다.

미사일 고속정[편집]

고속정 중 주무장으로 대함 미사일을 장비한 함종을 부르는 명칭이다. 4~8발의 미사일을 장비하여 공격력은 대형 구축함과 비슷하지만 탐지능력, 원양작전능력, 악천후 극복능력, 방어력 등이 취약하기 때문에 해군력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그래도 거의 의미가 없는 건보트와 달리 연안거부에는 쓸 수 있고(=저항이라도 해볼 수 있고) 제대로 된 수상함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개발도상국 해군에서 각광받는다. 북한 해군이 미사일 고속정을 대량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한국 해군도 고속정의 보유를 강요받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주로 평시 해역관리와 전시 적 해군의 접근을 거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들 등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미사일 고속정을 주력함으로 이용하는 곳도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고속정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