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재공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
leejia1222 (토론 | 기여)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SUV=== | ===SUV=== | ||
[[SUV]]는 적재공간의 측면에서 일반 [[해치백]]과는 비교를 불허하고, [[세단]]에 비해서도 물건 적재공간이 여유롭다. 차체가 기본적으로 [[왜건]]이나 해치백형 바디의 전고를 높여 놓은 형태가 대부분이라 적재 높이가 세단보다 높고, 2열 시트를 접어서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다. 대형SUV는 3열까지 승객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SUV를 [[차박]]용으로 선택하거나 [[자전거]] 등 큰 짐을 적재해서 레저를 즐기는 용도에 적합하다. 하지만 트렁크와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세단과는 달리 SUV는 적재공간과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많은 양의 적재를 한 경우, 화물이 밀려들어오거나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같은 크기의 왜건보다 적재공간이 더 크지는 않다. SUV는 전고가 높은 만큼 바닥도 높기 때문이다.<ref>〈[https://namu.wiki/w/SUV#s-4.2 SUV]〉, 《나무위키》</ref> | [[SUV]]는 적재공간의 측면에서 일반 [[해치백]]과는 비교를 불허하고, [[세단]]에 비해서도 물건 적재공간이 여유롭다. 차체가 기본적으로 [[왜건]]이나 해치백형 바디의 전고를 높여 놓은 형태가 대부분이라 적재 높이가 세단보다 높고, 2열 시트를 접어서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다. 대형SUV는 3열까지 승객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SUV를 [[차박]]용으로 선택하거나 [[자전거]] 등 큰 짐을 적재해서 레저를 즐기는 용도에 적합하다. 하지만 트렁크와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세단과는 달리 SUV는 적재공간과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많은 양의 적재를 한 경우, 화물이 밀려들어오거나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같은 크기의 왜건보다 적재공간이 더 크지는 않다. SUV는 전고가 높은 만큼 바닥도 높기 때문이다.<ref>〈[https://namu.wiki/w/SUV#s-4.2 SUV]〉, 《나무위키》</ref> | ||
+ | |||
+ | ===화물차=== | ||
+ | 화물차에는 적재공간으로 [[적재함]]이 따로 탑재된다. 취급 화물 종류에 따라 일반용·액체용·자동차용·냉동용·보온용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크기도 수송 차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적재함은 일반 잡화 및 특수한 화물을 외포장 없이 쉽게 수송하므로 시간·비용이 절감되고, 화물의 파손·분실·도난 등 수송 중의 사고를 막을 수 있으며, 화차·자동차·선박 등의 적하가 인력노동 대신에 기계화되어 하역작업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수송기관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선박]]·[[철도]]·[[항공기]] 등이 모두 취급하며, 자동차와 철도 및 선박은 특수한 것을 만들어 운송하는 경우가 많다. 적재함 수송은 화물을 문에서 문까지, 형태의 변경 없이 운송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었다. 그 수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재함 터미널이라고 하는 특정한 장소적 설비가 필요하다. 그 장소는 서로 다른 수송기관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모든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보통 적재함 수송은 육상과 해상에 연계수송이 대부분을 이루는 만큼, 그에 맞는 적재함 터미널은 항구 앞에 위치를 잡아야 하며, 하역작업과 각종 관련 장비의 관리 보관을 하는 데 충분한 시설과 조직이 있어야 한다. 또한 많은 양의 적재함들을 신속하게 취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이 균형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국제무역의 발달에 따라 대한민국에서도 적재함 수송이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주로 자동차 수송에 의존해 왔다. 철도에서는 1969년부터 소형 적재함 수송이 부분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체계가 서지 않았으나, 1972년 9월 18일 해상 적재함 취급규칙이 마련됨으로써 적재함 수송의 문을 열었다. 1982년 5개 왕복 적재함 전용 열차를 운행하여 국내외 간 수송체제를 갖춤으로써 본격적인 적재함 수송시대가 열렸지만, 아직도 국내에 출입하는 적재함수의 10% 정도만 철도로 수송된다. 해상 적재함은 선박으로 국제간 운송하는 선박회사 소유의 대형 수송 용구이다. 국내의 해상 적재함은 ISO 규격에 의해 그 종류 및 제원이 정해져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0427&cid=40942&categoryId=31916 컨테이너]〉, 《네이버 지식백과》</ref> | ||
{{각주}} | {{각주}} | ||
39번째 줄: | 42번째 줄: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https://namu.wiki/w/SUV#s-4.2 SUV]〉, 《나무위키》 | * 〈[https://namu.wiki/w/SUV#s-4.2 SUV]〉, 《나무위키》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0427&cid=40942&categoryId=31916 컨테이너]〉, 《네이버 지식백과》 | ||
* 연못구름, 〈[https://blog.naver.com/xhojin/220656277232 자동차 트렁크 용량 믿을 수 있을까? luggage volume iso 3832]〉, 《네이버 블로그》, 2016-03-16 | * 연못구름, 〈[https://blog.naver.com/xhojin/220656277232 자동차 트렁크 용량 믿을 수 있을까? luggage volume iso 3832]〉, 《네이버 블로그》, 2016-03-16 | ||
* 슈프림, 〈[https://blog.naver.com/jint211/220929449667 오펠, 신형 인시그니아 스포츠 투어러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7-02-07 | * 슈프림, 〈[https://blog.naver.com/jint211/220929449667 오펠, 신형 인시그니아 스포츠 투어러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7-02-07 | ||
58번째 줄: | 62번째 줄: | ||
* [[트렁크]] | * [[트렁크]] | ||
* [[프렁크]] | * [[프렁크]] | ||
+ | * [[적재함]] | ||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
2022년 11월 21일 (월) 16:14 기준 최신판
적재공간은 짐을 두는 곳을 의미한다. 자동차의 경우 트렁크, 프렁크 등이 적재공간에 해당한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목차
종류[편집]
트렁크[편집]
트렁크(trunk)는 세단이나 3박스 차량에서 화물을 싣기 위하여 만든 적재공간이다.[1] 화물을 넣어 두는 트렁크에서 온 용어로, 트렁크룸이라고도 부른다. 트렁크는 필수 공구부터 시작해 점차 다양한 기능을 담는 공간으로 발전해 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동차들은 대부분 트렁크를 기본적으로 갖췄다. 처음에는 단순히 짐을 싣는 공간으로서 마련됐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동차가 고장났을 때에 대비한 공구와 스페어 타이어 등이 트렁크에 실리기 시작했다. 자동차는 늘 협소한 공간 안에 당대 최첨단의 장비들을 잔뜩 실어야 했기 때문에, 차의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트렁크에는 더 많은 장비들이 탑재되었다. 엔진룸 안에 위치하던 배터리를 트렁크 안으로 옮겨 전후 무게 배분을 개선하는 경우도 많아졌다.[2] 한편 세단의 트렁크는 거의 화물 전용이지만, 중대형SUV의 트렁크에는 접이식 의자가 설치되어 경우에 따라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경우도 있다. 또한 왜건, 해치백 및 패스트백 차량의 경우에는 세단의 트렁크 부분 위로 차량의 상부 구조물이 확장되어 있는 형태인데, 트렁크 부분에 덮개가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덮개를 열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세단보다 더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다.
프렁크[편집]
프렁크(frunk)는 프런트(fornt)와 트렁크의 합성어로, 차량 앞 엔진룸에 있는 적재공간이다. 전기차 플랫폼 구조를 가지는 신개념 전기차들은 앞·뒤 구동축 주변이 매우 콤팩트하다. 배터리를 승객석 아래 바닥에 평평히 깔고, 엔진에 비해 매우 작은 부피의 모터를 배치하면 끝나는 지극히 심플한 구조적 특성상 수납공간을 앞·뒤 모두에 둘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앞부분까지 트렁크가 된다는 점은 충전기를 항상 챙겨야 하는 전기차 차주들에게 많은 편익을 가져다준다. 땅바닥에 질질 끌리고 지저분한 상태이기 마련인 이동형 충전 케이블은 물론이고, 냄새나는 각종 음식물들을 프렁크에 따로 수납하기만 해도 뒤쪽 트렁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SUV 뒷좌석을 폴딩하여 평탄화한 후 차크닉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런 운전자에게는 특히 뒤쪽 트렁크를 항상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렁크가 필요하다. 반대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 설계가 아닌, 내연기관차 구조를 공용하는 전기차들 중에서도 프렁크를 갖춘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내연기관 플랫폼 설계 시작 단계에서부터 전동화 모델 파생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애매하게 높은 엔진마운트 위에 모터를 올리는 것이 아닌, 모터룸 자체를 최대한 낮게 배치할 수 있는 설계 구조를 시작 단계에서부터 적용하면 이와 같이 넓은 프렁크를 확보하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는 것이다.[3]
측정방식[편집]
자동차 트렁크의 용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유럽식으로 알려진 VDA(ISO 3832)와 미국식인 SAE 방식으로 나뉜다. 두 가지 방식은 각각 다른 용량 측정 방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한 자동차의 트렁크 용량을 측정한다고 해도 각각 다른 수치가 나올 수 있다.
유럽의 VDA 방식[편집]
유럽의 적재공간 측정방식은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에 의해 고안되었다. ISO 3832로도 잘 알려져 있다. VDA는 Verbund die Automobil Industrie의 약자로 원래는 독일자동차산업협회 기준의 측정 방법이다. 후에 국제표준인 ISO 3832 표준에 통합되었다. 또 독일 표준인 DIN(Deutsche Institut für Normung)의 일부로 DIN 70020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아직까지도 ISO 3832보다는 VDA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리거나 사용되고 있다. VDA는 200 × 100 × 50 mm 크기의 1리터 블록을 사용해 적재공간을 채워나가는 형식으로 트렁크 용량을 계산한다. 1리터 블록은 벽돌 크기라고 보면 되는데, 트렁크 용량을 확인할 때 1리터 블록을 하나하나 채우는 과정을 거친다. 아직 개발이 되지 않은 자동차라면 우측의 이미지와 같이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으로 실제 자동차에서 측정을 하는 것처럼 블록을 채워 넣어 측정을 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개발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1리터의 블록을 채우는 것이 마치 테트리스 블록을 쌓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가상으로 부피 테스트를 한 차량은 실제 차량이 개발된 뒤에 실제 차량의 트렁크에 1리터의 블록을 넣으면서 측정을 한다. 차곡차곡 쌓아 올린 블록은 사람마다 블록을 배치하는 방식,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여러 번 측정을 하고 또 사람을 교체해서 측정을 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데, 컴퓨터로 측정한 부피와 실제 측정한 부피의 평균값으로 트렁크 용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렁크 부피 측정을 진행한 오펠(Opel) 사의 인시그니아 스포츠 투어러(Insignia Sports Tourer) 차량은 1,665리터의 트렁크 용량을 가지고 있다.[4] 즉 1,665개의 블록이 들어갔다는 뜻이다. VDA 측정 방식은 독일 차량 브랜드뿐 아니라 유럽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도 사용하기도 한다. 쌍용자동차의 경우도 VDA를 기준으로 측정을 해서 트렁크 적재용량을 보여주었다.[5]
미국의 SAE 방식[편집]
미국의 적재공간 측정방식은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 의해 고안되었다. SAE J1100A으로 불리기도 한다. SAE 방식은 승용차 및 RV, SUV, 트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량의 적재 용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각 측정을 하는 방법이 다르다. 승용차는 최소 6리터에서 최대 67리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를 조합해서 트렁크에 배치해 크기를 계산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상자는 총 8가지의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최소 6리터에서 최소 67리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상자를 트렁크에 배치한 뒤 남은 공간은 6리터의 X 박스를 넣어 채운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차량 내부에 들어간 상자의 개수가 용량이 되는 것이다. SAE 측정 방식은 주로 미국에서 설계하는 자동차가 이 방식으로 트렁크 용량을 측정한다. SAE 측정 방식은 VDA 측정 방식과는 다르게 여러 크기의 상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1리터의 상자를 넣어 부피를 측정하는 VDA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로 측정될 수밖에 없다. 상자의 최소 단위가 VDA는 1리터인데 반해 SAE는 6리터기 때문에 6리터가 안 되는 여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정 방식에 따라 동일한 차량이라고 해도 어떤 측정법을 사용해서 측정을 했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수치가 나오기도 한다.[5]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의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트렁크 적재공간을 측정하는 기준은 유럽에서 사용하는 ISO3832:2002 대응 국제표준 방식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트렁크 적재공간을 측정하는 기준에는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많은 자동차 제조사는 소비자를 현혹할 수 있는 내용으로 지나치게 과장시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소형SUV 이스케이프가 대형SUV인 레인지로버보다도 더 크게 표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큰 돈을 지불하고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는 자신이 구입한 차량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마땅하다.[6]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트렁크 용량 표기는 안전이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지정된 법규가 따로 없고 인증을 받지 않아도 된다'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을 구입하는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즉, 별도의 인증을 받지 않고 자동차 제조사에서 발표한 내용을 그대로 믿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자료를 포털 사이트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결국 소비자가 피해를 입게 된다.[7]
차량[편집]
경차[편집]
적재공간을 확대한 경차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한층 강화된 공간 활용성을 제공하는 경차는 다양한 용도로 차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선택폭을 한층 넓혀줄 수 있다는 이유다.[8] 캐스퍼 밴은 기존 2열 시트 공간을 비워내 940ℓ의 적재 용량을 구현했다.[9] 가솔린 1.0 엔진을 탑재하고 복합연비 14.3km/ℓ를 달성했다. 선택 옵션인 터보엔진의 연비는 12.8km/ℓ다.[10] 레이 밴은 대한민국 최초의 최초 1인승 차량이다. 동승석 시트를 제거하고 하단에 별도 수납 공간을 마련하는 등 최대 화물 적재용량을 1628ℓ로 넓혀 현존하는 경차 밴 모델 중 최대의 공간성을 자랑한다.[11][12] 최대 적재 가능 무게 역시 315kg으로 26%(+65kg) 향상됐다. 사실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1톤트럭을 대부분 선호한다.[13] 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경차 판매량 자체는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형 상용차가 필요한 이유는 꽃집, 세탁소, 식자재 등 배달ㆍ물류는 물론 대리운전, 정비, 영업 등 소규모 비즈니스 수요가 꾸준해서다. 1톤 트럭에 비해 크기는 작지만 좁은 골목길이나 주차가 가능해 기동성이 뛰어난게 장점이다. 아울러 경형 상용차는 다마스와 라보가 단종된 탓에 이들의 적재공간을 대체할 수 있는 모델이 전무했다. 적재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성이 높은 경차는 사용자의 목적과 취향에 따라 물류 운송, 이동식 스토어, 레저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14][15]
SUV[편집]
SUV는 적재공간의 측면에서 일반 해치백과는 비교를 불허하고, 세단에 비해서도 물건 적재공간이 여유롭다. 차체가 기본적으로 왜건이나 해치백형 바디의 전고를 높여 놓은 형태가 대부분이라 적재 높이가 세단보다 높고, 2열 시트를 접어서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다. 대형SUV는 3열까지 승객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SUV를 차박용으로 선택하거나 자전거 등 큰 짐을 적재해서 레저를 즐기는 용도에 적합하다. 하지만 트렁크와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세단과는 달리 SUV는 적재공간과 사람이 타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많은 양의 적재를 한 경우, 화물이 밀려들어오거나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같은 크기의 왜건보다 적재공간이 더 크지는 않다. SUV는 전고가 높은 만큼 바닥도 높기 때문이다.[16]
화물차[편집]
화물차에는 적재공간으로 적재함이 따로 탑재된다. 취급 화물 종류에 따라 일반용·액체용·자동차용·냉동용·보온용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크기도 수송 차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적재함은 일반 잡화 및 특수한 화물을 외포장 없이 쉽게 수송하므로 시간·비용이 절감되고, 화물의 파손·분실·도난 등 수송 중의 사고를 막을 수 있으며, 화차·자동차·선박 등의 적하가 인력노동 대신에 기계화되어 하역작업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수송기관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선박·철도·항공기 등이 모두 취급하며, 자동차와 철도 및 선박은 특수한 것을 만들어 운송하는 경우가 많다. 적재함 수송은 화물을 문에서 문까지, 형태의 변경 없이 운송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었다. 그 수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재함 터미널이라고 하는 특정한 장소적 설비가 필요하다. 그 장소는 서로 다른 수송기관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모든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보통 적재함 수송은 육상과 해상에 연계수송이 대부분을 이루는 만큼, 그에 맞는 적재함 터미널은 항구 앞에 위치를 잡아야 하며, 하역작업과 각종 관련 장비의 관리 보관을 하는 데 충분한 시설과 조직이 있어야 한다. 또한 많은 양의 적재함들을 신속하게 취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이 균형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국제무역의 발달에 따라 대한민국에서도 적재함 수송이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주로 자동차 수송에 의존해 왔다. 철도에서는 1969년부터 소형 적재함 수송이 부분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체계가 서지 않았으나, 1972년 9월 18일 해상 적재함 취급규칙이 마련됨으로써 적재함 수송의 문을 열었다. 1982년 5개 왕복 적재함 전용 열차를 운행하여 국내외 간 수송체제를 갖춤으로써 본격적인 적재함 수송시대가 열렸지만, 아직도 국내에 출입하는 적재함수의 10% 정도만 철도로 수송된다. 해상 적재함은 선박으로 국제간 운송하는 선박회사 소유의 대형 수송 용구이다. 국내의 해상 적재함은 ISO 규격에 의해 그 종류 및 제원이 정해져 있다.[17]
각주[편집]
- ↑ 솔라스터, 〈자동차의 수납공간, 트렁크에 대해 알려주세요!〉, 《네이버 블로그》, 2018-11-09
- ↑ 〈자동차 발전사 (3. 여행가방에서 다목적 공간으로, 트렁크)〉, 《엠파크》, 2019-08-01
- ↑ EV라운지 파트너 아방가르드, 〈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동아닷컴》, 2022-05-19
- ↑ 슈프림, 〈오펠, 신형 인시그니아 스포츠 투어러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7-02-07
- ↑ 5.0 5.1 카스탯, 〈같은 트렁크라도 측정 방식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네이버 포스트》, 2019-09-23
- ↑ 연못구름, 〈자동차 트렁크 용량 믿을 수 있을까? luggage volume iso 3832〉, 《네이버 블로그》, 2016-03-16
- ↑ 연못구름, 〈자동차 제조사가 알려주지 않는 트렁크 적재공간의 비밀! SAE? ISO3832?〉, 《개인 블로그》, 2017-07-17
- ↑ 송민화 기자, 〈"적재용량 940리터 꼬마유령"…현대차, 캐스퍼 밴 출시〉, 《한국경제TV》, 2022-02-03
- ↑ 송승현 기자, 〈'다마스 대신할까' 현대차, '적재 특화' 캐스퍼 밴 출시…1375만원〉, 《이데일리》, 2022-02-03
- ↑ 박영국 기자, 〈현대차 '캐스퍼 밴' 출시…2열 떼고 940ℓ 담는다〉, 《데일리안》, 2022-02-03
- ↑ 이강준 기자, 〈캐스퍼·레이 밴, '자영업자 발' 다마스 대체할 수 있을까〉, 《머니투데이》, 2022-02-10
- ↑ 권혜정 기자, 〈국내 첫 1인승 다목적 모델 기아 '레이 밴' 출시…적재량 확 늘었다〉, 《뉴스원》, 2022-02-08
- ↑ 송민화 기자, 〈"적재용량 1,628리터"…기아, 레이 1인승 밴 출시〉, 《한국경제TV》, 2022-02-08
- ↑ 정치연 기자, 〈"단종된 다마스 시장 공략"…기아, '레이 1인승 밴' 출시〉, 《전자신문》, 2022-02-08
- ↑ 류정훈 기자, 〈기아, 다목적 모델 활용 가능한 레이 1인승 밴 출시〉, 《SBS비즈》, 2022-02-08
- ↑ 〈SUV〉, 《나무위키》
- ↑ 〈컨테이너〉,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SUV〉, 《나무위키》
- 〈컨테이너〉, 《네이버 지식백과》
- 연못구름, 〈자동차 트렁크 용량 믿을 수 있을까? luggage volume iso 3832〉, 《네이버 블로그》, 2016-03-16
- 슈프림, 〈오펠, 신형 인시그니아 스포츠 투어러 공개〉, 《네이버 블로그》, 2017-02-07
- 연못구름, 〈자동차 제조사가 알려주지 않는 트렁크 적재공간의 비밀! SAE? ISO3832?〉, 《개인 블로그》, 2017-07-17
- 솔라스터, 〈자동차의 수납공간, 트렁크에 대해 알려주세요!〉, 《네이버 블로그》, 2018-11-09
- 〈자동차 발전사 (3. 여행가방에서 다목적 공간으로, 트렁크)〉, 《엠파크》, 2019-08-01
- 카스탯, 〈같은 트렁크라도 측정 방식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네이버 포스트》, 2019-09-23
- 박영국 기자, 〈현대차 '캐스퍼 밴' 출시…2열 떼고 940ℓ 담는다〉, 《데일리안》, 2022-02-03
- 송민화 기자, 〈"적재용량 940리터 꼬마유령"…현대차, 캐스퍼 밴 출시〉, 《한국경제TV》, 2022-02-03
- 송승현 기자, 〈'다마스 대신할까' 현대차, '적재 특화' 캐스퍼 밴 출시…1375만원〉, 《이데일리》, 2022-02-03
- 권혜정 기자, 〈국내 첫 1인승 다목적 모델 기아 '레이 밴' 출시…적재량 확 늘었다〉, 《뉴스원》, 2022-02-08
- 류정훈 기자, 〈기아, 다목적 모델 활용 가능한 레이 1인승 밴 출시〉, 《SBS비즈》, 2022-02-08
- 송민화 기자, 〈"적재용량 1,628리터"…기아, 레이 1인승 밴 출시〉, 《한국경제TV》, 2022-02-08
- 정치연 기자, 〈"단종된 다마스 시장 공략"…기아, '레이 1인승 밴' 출시〉, 《전자신문》, 2022-02-08
- 이강준 기자, 〈캐스퍼·레이 밴, '자영업자 발' 다마스 대체할 수 있을까〉, 《머니투데이》, 2022-02-10
- EV라운지 파트너 아방가르드, 〈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동아닷컴》, 2022-05-19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