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퉁런시(중국어: 铜仁市 tóng rén shì)는 중국 구이저우성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퉁런시의 면적은 18,006.41km²이며 인구는 3,298,468명(2020)이다. 서쪽으로 쭌이시, 남쪽으로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북쪽으로 충칭시, 동쪽으로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화이화시에 접한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통런시는 2개의 시할구와 8개의 현을 관할하고 있다. 퉁런(铜仁)의 본래 명칭은 퉁런(铜人)이었으며, 해당 명칭은 원나라 대에 현 이름으로 교체되었다.
퉁런시는 행정구역 상으로는 일반 지급시이나, 실제로는 한족 인구가 30%가 채 되지 않는 소수민족 밀집지역이다. 그 중 토가족이 39%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며, 보통 이 수준이면 소수민족 자치구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퉁런시는 그냥 지급시로 남아있다.
통런시는 서예의 고장으로, 명·청(明清) 시기에 주면(周冕), 주이상(周以湘), 왕도행(王道行), 반등운(潘登云), 엄인량(严寅亮), 언사죽(鄢师竹) 등 6명의 서예가가 배출되었다. 국가급 자연보호구역 2곳, 국가급 풍경명승구 3곳, 성급 풍경명승구 9곳, 국가 광산공원 1곳, 국가급 카르스트 지질공원 1곳이 있다. [3][4][5]
자연환경[편집]
통런시는 윈구이 고원(云贵高原)에서 샹시 구릉(湘西丘陵)으로 넘어가는 경사지대에 위치하며,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다. 지역 내 지형은 산지가 전체 면적의 67.8%를 차지하며, 그다음으로 구릉이 28.3%, 평지 및 기타 지형은 3.9%에 불과하다. 우링산맥(武陵山脉)의 주봉인 범경산(梵净山)을 중심으로 동서부의 분수령이 형성되었으며, 시 내 최고 해발은 2,572m, 최저 해발은 205m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해 있다.
지질 구조는 양쯔 준대(扬子准地台) 남부에 속하며, 2차 구조 단위는 동에서 서로 강남대융(江南台隆)과 상양자대습대(上扬子台褶带)로 나뉜다. 강남대융은 다시 동시대요(铜施台凹)와 범경대융(梵净台凸) 두 개의 하위 구조 단위로 구분된다. 드러난 지층은 주로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페름기 지층이며, 그 외에도 진단계, 트라이아스기, 고제3계 지층이 있다.
통런시는 중아열대 습윤 기후 지역에 속하며, 계절풍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기본적인 기후 특징은 봄에는 온도 변화가 잦고 비가 많으며, 여름에는 더위가 심하고 일조량이 풍부하다. 가을에는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며 흐리고 비가 잦다. 겨울에는 심한 추위가 드물고 무상 기간이 길다. 연평균 기온은 약 18°C이며,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은 26°C, 가장 더운 7월 평균 기온은 24~28°C이다. 같은 고도에서 서부의 기온이 동부보다 높다. 연평균 강수량은 1,100~1,400mm로, 주로 48월에 집중되며, 이 기간 동안 전체 강수량의 60%~65%를 차지한다. 연간 일조 시간은 1,250시간이다.
통런시는 강수량이 풍부하고 하천이 밀집된 지역으로, 성내에서 수문학적 조건이 우수한 지역에 속한다. 시 경계 내에서 범립산(梵净山)에서 불정산(佛顶山)으로 이어지는 산맥이 주요 분수령 역할을 하며, 동쪽은 원수계(沅水系)로, 주요 하천으로는 금강(锦江), 송도하(松桃河), 차파하(车坝河) 등이 있다. 서쪽은 오강수계(乌江水系)로, 주요 하천으로는 육지하(六池河), 석천하(石阡河), 인강하(印江河), 마제하(马蹄河), 파타하(坝坨河), 홍도하(洪度河) 등이 있다.
통런시 전역의 하천 길이는 10km 이상이며, 유역 면적이 20㎢를 초과하는 하천은 221개에 달한다. 그중 원수계에 속하는 하천이 103개, 오강수계에 속하는 하천이 118개이다. 지역 내 지형 및 지모의 영향을 받아 기본적인 강수 유형은 지형성 강수이다. 동부는 강수량이 높은 지역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1300mm 이상이며, 서부는 강수량이 낮아 연평균 1200mm 미만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동서부 간 약 180mm 정도 차이가 난다.
통런시의 연평균 유출 총량은 약 128억㎥에 이르며, 그중 지표 유출량은 95.6억㎥, 지하수 총저장량은 32.3억㎥이다. 1인당 평균 수자원 보유량은 3671㎥로, 이는 성내 1위를 차지한다. 또한, 경유하는 유수량은 연간 약 328억㎥에 이르러 사회 생산과 주민 생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통런시는 풍부한 산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관내에는 627종의 수목이 있으며, 이는 89과 283속에 속한다. 주요 산림 자원은 목재림과 경제림이며, 땔감용, 방어용, 대나무림 등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다. 보호 가치가 높은 희귀 수종으로는 국가 1급 보호 식물인 공작단(珙桐)과 자위(紫薇), 2급 보호 식물인 종악목(钟萼木), 연향수(连香树), 거수포(鹅掌揪), 3급 보호 식물인 수화삼(穗花杉), 금산측(金杉槭), 두껍나무 등이 있다. 희귀 수종 대부분은 범립산 자연보호구에 집중되어 있다.
통런시는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이미 발견된 광물은 총 59종이다. 금속광물에는 수은, 망간, 금, 은 등이 포함되며, 그중 수은과 망간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원이다.
통런시는 유구한 역사적 연혁을 가지고 있다. 진(秦)나라 때는 전중군(黔中郡) 중심지였으며, 한(汉)나라 때는 무릉군(武陵郡)에 속했다. 촉한(蜀汉) 때부터 군현이 설치되었으며, 당(唐)나라 때는 사주(思州), 금주(锦州), 검주(黔州)로 나뉘어 있었다. 송말 원초(宋末元初)에는 사주(思州)와 사남(思南) 두 선위사(宣慰司)가 설치되었고, 원(元)나라 때는 동인대소강만이군민장관사(铜人大小江蛮夷军民长官司)가 설립되었다. 명(明)나라 영락(永乐) 11년, 사주(思州)와 사남선위사(思南宣慰司)가 폐지되고, 현재의 지역에 통런부(铜仁府), 사남부(思南府), 석천부(石阡府), 오라부(乌罗府) 4부가 설치되며 신설된 구이저우성 관할로 편입되었다.
중화민국 대에는 퉁런현(铜仁县)이 설치되었으며, 1950년에 퉁런전구(铜仁专区)가 설치되었고 1956년에 쑹타오 먀오족 자치현(松桃苗族自治县)으로 변경되었다가 1966년 완산특구(万山特区)를 거쳐 1970년에 퉁런지구(铜仁地区)로 변경되었으며, 1987년에 현급 퉁런시가 되었다가 2011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채광·전력·기계·담배·화학비료·피혁 등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부근 지역에서는 쌀·밀·고구마·옥수수·땅콩·유동(油桐) 등을 산출한다.
관내에 퉁런 펑황 공항(铜仁凤凰机场)이 있으며, 베트남 호치민, 하노이, 다낭을 잇는 국제선을 포함, 여러 국내선 노선들이 운영되고 있다. 상하이-쿤밍 철도, 상하이-쿤밍 고속도로, 항저우-루이리 고속도로, 통다(铜大) 고속도로, 사젠(思剑) 고속도로가 관통한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퉁런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충칭시 중심지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