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격기(bomber, 爆擊機)는 폭탄을 탑재하고 적의 시설에 투하하여 파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각종 폭탄, 소이탄, 공대지 미사일(ASM)을 탑재하고 적의 부대, 군함, 비행장, 군사시설, 산업시설, 교통시설, 도시 등에 투하 폭격하는 것을 주임무로 한다.
상세
1849년 오스트리아군이 베네치아(Venezia)군의 독립운동을 진압할 때, 무인의 열기구에 소형폭탄을 탑재해서 사용한 것이 최초의 폭격기라고 할 수 있다. 폭격기는 1차 세계대전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초창기 폭격기는 조종사나 부조종사가 직접 손으로 폭탄을 던지는 것도 있었다. 물론 명중률은 떨어지고 땅에 떨어지기도 하고, 땅에 떨어지기도 전에 터져 효과가 미미했으며, 이를 위해 저공비행을 하다가 총에 맞는 위험도 있었다. 전쟁 속에서 폭격기는 전투기와 함께 군용항공기의 중추로서 연구·개발이 계속되어 왔으며,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전쟁의 귀결을 좌우하는 무기로 발달하였다. 미국의 B-29 폭격기는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개발된 원자폭탄을 탑재하여 그것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함으로써 일본의 전력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하여 전쟁의 종결을 앞당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미사일의 개발·발달에 따라 폭격기의 임무 일부가 미사일에 대체되었다. 그러나 신뢰성이 높고, 융통성이 많은 무기라는 견해를 번복시키지는 못하였고, 각국에서 오히려 연구와 개발을 촉진하는 추세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까지는 크기·중량·탑재능력 등에 따라 중폭격기, 경폭격기로 나뉘고, 폭격하는 방법에 따라 수평폭격기, 급강하폭격기, 뇌격기 등으로 분류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항속거리에 따라 원거리폭격기, 중거리폭격기, 공격기 또는 근거리폭격기 등으로, 공격 목적에 따라 전략폭격기, 전술폭격기 등으로 분류된다. 원거리폭격기는 최대항속거리가 9,600km 이상인 것, 중거리폭격기는 최대항속거리 5,600~9,600km, 공격기는 그 이하의 것을 가리킨다. 전략폭격기는 적의 주요 군사시설, 도시, 산업, 교통시설 등 적의 전쟁수행능력과 직결된 전력의 근원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고, 전술폭격기는 군사작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군사시설을 공격하기 위한 것을 가리킨다. 원거리폭격기는, 때로는 전술목적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원칙적으로 전략목적에 사용되며, 중거리폭격기는 주로 전략공격에 사용되나 전술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고, 공격기는 전술공격에만 사용된다. 그 외에 초계임무를 겸해서 잠수함 공격용으로 사용되는 것, 국지의 게릴라 공격에만 사용되는 것 등도 넓은 의미의 폭격기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1]
유튜브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폭격기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교통 : 교통, 교통수단 □■⊕, 운전, 운송, 도로, 역, GTX역, KTX역, 수도권 전철역, 인천 도시철도역, 부산 도시철도역, 대구 도시철도역, 대전 도시철도역, 광주 도시철도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미국철도
|
|
교통수단
|
가마 • 개인형 이동장치 • 곤돌라 • 교통수단 • 놀이기구 • 대관람차 • 도보 • 레이싱카트 • 롤러코스터 • 리프트 • 바퀴 • 범퍼카 • 봅슬레이 • 삭도 • 선박편(배편) • 수레 • 스노보드 • 스노모빌 • 스카이콩콩 • 스케이트 • 스케이트보드 • 스키 • 썰매 • 운송도구 • 운송수단 • 이동수단 • 이동장치 • 인라인 스케이트 • 인력거 • 인편 • 전동스케이트보드 • 지게 • 차마 • 차편 • 철도편(기차편) • 케이블카 • 탈것 • 항공편(비행기편) • 회전목마
|
|
기차
|
GTX(광역급행철도) • ITX(도시간급행열차) • ITX-새마을 • ITX-청춘 • KTX(한국고속철도) • KTX-II • KTX-산천 • KTX-이음 • SRT (수서고속철도) • 강삭철도 • 객차 • 경전철 • 고속여객열차 • 고속열차 • 고속철도 • 공사열차 • 공항철도 • 관광열차 • 광궤 • 광역철도 • 국내열차 • 국제열차 • 국철 • 급행여객열차 • 급행열차 • 급행화물열차 • 기관차 • 기차 • 꼬마열차 • 노면전차 • 누리로 • 단행열차 • 도시철도 • 동차 • 디젤기관차 • 디젤동차 • 떼제베(TGV) • 레일 • 모노레일 • 무궁화호 • 보통여객열차 • 비둘기호 • 새마을호 • 선로 • 수소열차 • 시베리아 횡단철도 • 시운전열차 • 식당차 • 신칸센 • 야간열차 • 여객열차 • 열차 • 완행여객열차 • 완행열차 • 일반열차 • 일반철도 • 일반화물열차 • 자기부상열차 • 전기기관차 • 전기기차 • 전동열차 • 전동차 • 전용철도 • 전철 • 중전철 • 증기기관차 • 지상철 • 지하철 • 지하철노선 • 철도 • 철도노선 • 철도차량 • 침대차 • 침목 • 카페열차 • 통근열차 • 통근형 전동차 • 통일호 • 튜브트레인 • 트램 • 특급여객열차 • 특수철도차량 • 표준궤 • 하이퍼루프 • 해랑 • 해무 • 협궤 • 혼합열차 • 화물열차 • 화차 • 회송열차 • 중국철로고속
|
|
선박
|
LNG선 • 가스선 • 갤리선 • 거북선 • 견인선 • 경항공모함 • 고속정 • 구조선 • 구축함 • 군용수송선 • 군함 • 나룻배 • 노예선 • 닻 • 대형선박 • 돛 • 돛단배 • 뗏목 • 로로선 • 모터보트 • 바지선 • 배 • 벌크선 • 범선 • 병선 • 보트 • 상륙함 • 상선 • 서핑보드 • 선박 • 소방선 • 소형선박 • 쇄빙선 • 수륙양용차 • 수상스키 • 수상택시 • 수송선 • 순양함 • 시추선 • 어선 • 여객선 • 연락선 • 예인선 • 요트 • 원양상선 • 원양어선 • 웨이크보드 • 위그선 • 유람선 • 유조선 • 이지스함 • 자동차운반선 • 자율운항 선박 • 잠수함 • 잡화선 • 저인망어선 • 전기선박 • 전함 • 제트스키 • 준설선 • 중형선박 • 증기선 • 초계함 • 카누 • 컨테이너선 • 크루즈선 • 페리 • 통나무배 • 판옥선 • 함선 • 함정 • 항공모함 • 항해 • 해상드론 • 핵잠수함 • 호버크래프트 • 호위함 • 화객선 • 화물선
|
|
항공기
|
PAV • UAM • UFO • VTOL • 개인용 비행체 • 경비행기 • 국내선 • 국제선 • 군용기 • 군용수송기 • 궤도 • 글라이더 • 기구 • 낙하산 • 날개 • 단거리 이착륙기 • 도심항공교통 • 드론(무인기) • 드론카 • 로켓 • 로켓 일체형 우주선 • 멀티콥터 • 무인전투기 • 미사일 • 미확인비행체 • 바이콥터 • 발사체 • 버터플라이 • 비행 • 비행기 • 비행선 • 비행체 • 수송기 • 수직이착륙기 • 스카이다이빙 • 스타십 • 스텔스기 • 시제기 • 에어로모빌 • 에어택시 • 여객기 • 연 • 열기구 • 오토자이로 • 옥토콥터 • 우주발사체 • 우주선 • 우주왕복선 • 우주정거장 • 위성 • 유인드론 • 유인우주선 • 인공위성 • 전투기 • 정찰기 • 정찰풍선 • 제트기 • 추진체 • 쿼드콥터 • 탐사선 • 트리콥터 • 패러글라이더 • 패러세일링 • 폭격기 • 풍선 • 플라잉카 • 함재기 • 항공 • 항공기 • 항공노선 • 항공버스 • 항공택시 • 행글라이더 • 헥사콥터 • 헬리콥터 • 호버바이크 • 호버보드 • 화물기 • 활공 • 활공기 • 훈련기
|
|
동물 (교통수단)
|
가축 • 개 • 낙타 • 노새 • 달구지 • 당나귀 • 동물 • 마차 • 말 • 버새 • 소 • 우마 • 우마차 • 우차 • 코끼리 • 타조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