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근교농업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근교농업(近郊農業)

근교농업(近郊農業)은 도시 가까운 곳에서 집약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을 말한다.

개요[편집]

근교농업은 대도시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이다. 주로 신선도가 중요한 화훼, 채소, 과일, 우유 등 상업적 농업이 많이 이루어진다. 근교 농업은 교통이 편리한 지역인 도시의 외곽지대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농업 형태이다.

전통적으로 근교농업은 도시 근교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원예 등 집약적 농업을 가리키는 것이다. 고전적 농업입지론을 대표하는 튀넨(von Thünen, J. H.)의 '고립국 이론'에서는 도시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운송비가 늘어나 조방적인 토지이용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서 근교농업은 '자유식 농업'에 해당하는데, 도시 근교에서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부패성이 강한 작물 재배(낙농, 원예)가 발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 생산양식의 변화, 운송수단의 개선, 도시화의 진전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근교농업의 양상은 크게 변화하였다. 이와는 달리, 싱클레어Sinclair, R.는 도시에 근접할수록 토지의 이용이 조방적이며, 도시 외곽에서 원예농업 등의 집약적 농업이 이루어진다는 입지모형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도시화가 진전되거나 공업화가 이루어진 도시 주변지역에서는 지가 상승을 기대하는 투기자와 개발업자에 의해 농업적 토지이용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경작을 포기하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 농업에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단순히 집약적인 농업을 근교농업으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근교농업이라고 하는 것은 도시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편집]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곳의 주변에는 예로부터 소규모의 근교농업이 발달되어왔다. 그러나 본격적인 근교농업은 1958년부터 추진된 제2차 농업증산5개년계획에 채소생산이 반영되면서부터이다.

이 계획에 채소·과수5개년계획이 포함되면서 근교농업이 제도화되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 농사원(農事院) 산하 원예시험장에서 과수와 채소의 우량종묘 육성을 통해 종자개량이 현저히 진행되어, 도입에 의존하던 중요채소종자를 전부 자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1959년을 기점으로 한 군납 채소생산 및 공급 3개년계획의 수립과 더불어 청정재배(淸淨栽培)와 고등채소재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에 이르면서 근교농업은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간에 추진된 원예·양잠 및 축산 중심의 주산단지조성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강화, 그리고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와 도시화에 따른 수요 증대가 근교농업을 괄목할 만큼 발전시켰다.

그 가운데서도 채소원예작물은 국민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득수준이 차츰 고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소비수요도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예컨대, 1975년의 국민 1인당 채소소비량은 62.5㎏이었으나, 1985년에는 약 배에 가까운 119.9㎏으로 늘어나 있고 이어서 1995년에는 236㎏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는 채소소비량 증가추세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앞으로도 채소·과수 등의 1인당 수요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는 데, 그 까닭은 채소·과수가 일반 농산물에 비해 비교적 소득탄력성이 높은 품목일 뿐 아니라 근교농업으로 생산되는 채소는 비닐공업의 발전에 따라 도시의 주년수요(周年需要)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주년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근교농업의 특징의 하나는 저온기인 겨울철에도 생산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것과 경제적인 다모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85년 말의 비닐하우스 면적을 보면 1만 4500㏊에 이르고 있었으며, 이 시설 안에서 수확을 거듭한 파종면적은 시설면적의 배에 가까운 2만6600㏊에 이르고 있었다. 최근에 와서 근교농업은 채소중심에서 일부 화훼·관상수재배로 전환되고 있다.

근교농업은 채소·화훼 및 관상수, 열대과일 등의 수요 증대로 재배면적이 날로 확대되면서 재배지역도 도시화의 전국적 확산에 따라서 보다 광역화되고 있으며 그것은 곧 1996년 말 현재의 비닐하우스 재배면적이 4만 7597㏊에 달하였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오늘날 근교농업은 철책 및 유리비닐하우스에 의한 전자동전산화에 따른 근교시설농업으로 발달되어 첨단기술농업의 상징으로 부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업농(商業農) 또는 기업농(企業農)의 전형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고 있는 농업이 되고 있다. 이 근교농업은 소득탄력성의 작용이 높고 강한 품목농업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징 및 의의[편집]

근교농업은 도시에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하고 녹지를 제공하며 도시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화가 확대되는 가운데, 도시 가장자리에 위치함으로써 생태완충지 역할을 하여 도시 확장에 따른 환경 영향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이는 도시 생물 다양성의 주요 동인이 되고 도시 열섬 현상 등 도시문제 발생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식량 생산의 측면에서는 공급망을 단축하고 운송을 줄임으로써 식량안보와 식품안전에도 기여한다. 문화적이고 전통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여가의 한 형태로 인식되는 등 문화적, 전통적 농업 관행을 존속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근교농업 문서는 산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