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방향지시등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방향지시등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 또는 깜빡이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하는 램프이다. 간략히 지시등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turn signal lamp라고 부른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방향지시등은 현재 모든 차량이 사용하는 표준 신호 기능으로서 운전자의 주행 방향 및 의사를 표현하는 장치다. 좌·우측으로 방향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 시 차량의 전면, 후면 램프에 불이 들어와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1] 보통 출발, 좌회전, 우회전 시에 사용한다. 좌·우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등하여 비상등으로도 사용된다. 방향지시등은 오토바이를 포함한 모든 차량이 사용하는 표준 기능이다. 방향 지시등이 발명되기 이전, 운전자는 차의 방향을 돌릴 때 어느 방향으로 운전하겠다는 신호를 다른 운전자들에게 손으로 알려야 했다. 방향 지시등은 충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목적으로 운전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운송 수단을 이동하겠다는 사실을 알리는 필수 장치라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방향지시등 구조 및 작동에 관한 규칙이 정해져 있다. 국내는 방향지시등 규칙 위반 시 2만 원에서 3만 원 가량의 범칙금을 요구한다. 운전할 때 의사소통을 중요한 장치임에도 국내에서는 방향지시등을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들이 많아 이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2] 한편 방향지시등은 분당 60번에서 120번 사이의 비율로 깜빡인다.

역사[편집]

방향지시등은 현재 운전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신호로 모든 차량이 사용하는 표준기능이다. 방향지시등이 발명되기 전에는 운전자가 차의 방향을 돌릴 때 어느 방향으로 운전하겠다는 신호를 손짓으로 다른 운전자들에게 알려야 했다. 1907년 더글라스 해밀턴(Douglas Hamilton)이 최초의 자동 방향 신호기를 특허로 등록했다. 운송 수단의 의도된 움직임을 알려주는 장치로 등장해 그 당시 사용했던 수동 신호를 흉내 내기 위해 손 모양으로 제작되었다.[3] 손 모양의 조명을 밝히는 간단한 방식이었지만, 직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방식에 불편함을 느낀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USA)의 영화배우 플로렌스 로렌스(Florence Lawrence)는 1914년 좀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기계식 신호 전달 장치를 개발했다.[4] 그로부터 몇 년 후 1925년 에드가 왈츠 주니어가 깜빡이는 현대식 방향지시등을 특허로 등록했지만,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3] 미국의 오스카 심러(Oscar Simler)는 이 장치를 응용해 서행, 정치, 좌회전 및 우회전을 나타내는 4개의 조명등을 가진 방향 지시 장치를 발명하고 1929년에 특허 출원을 했다. 그러나 이때에는 유럽에서 철도 신호기의 방식을 적용해 개발된 방향지시기(Trafficators)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당 방향지시등은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방향지시기는 쉽게 깨지고 부러진다는 단점이 있었고 해결방안이 필요했다.[4] 이때 최초로 방향지시기 대신 '칼럼 시프트' 방식을 이용한 전기 방향지시등을 상업용 자동차에 부착한 회사는 뷰익(Buick)이었다. 뷰익은 안전 기능을 내장한 이 장치를 1938년에 소개하여 방향지시등을 '등이 깜빡대는 방식의 방향 지시'라고 광고했다. 스티어링 칼럼에 위치한 스위치를 운전자가 누르면 후방에 있는 방향 지시 화살표에 불이 들어오는 방식이었다. 1940년 뷰익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방향지시등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도 개발하였다. 이것이 현대에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의 모태다. 현대식 자동차는 전방과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방향지시등이 설치된 형태로 표준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황색 지시등 불빛으로 개선되어 눈 부신 햇살에서도 신호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스티어링 칼럼에 탑재된 레버를 위나 아래로 움직여서 오른쪽·왼쪽 방향 신호를 작동시킬 수 있다. 현대의 방향지시등은 작동 시 분당 60번에서 120번 사이의 비율로 깜빡인다.[3]

작동[편집]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계기판에서 해당 방향의 화살표 불빛이 표시된다. 비상등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계기판에 양쪽 화살표가 모두 불빛이 들어온다. 방향지시등 조작부는 대체로 스티어링휠 좌측에 있다. 우핸들 차량은 방향지시등 조작부가 우측에 있다.[2] 보통 방향지시등은 방향지시등 조작부를 위아래로 움직여서 작동시킨다. 좌측 방향지시등을 켤 때는 조작부를 아래쪽으로 밀어서 조작하고 우측 방향지시등을 켤 때는 위쪽으로 움직여서 조작하면 된다. 우핸들 차량은 방향지시등 조작부가 우측에 있기 때문에 이와 반대로 조작하면 된다.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킨 채 회전이 끝나고 돌아갔던 스티어링휠이 원위치로 풀리면 방향지시등이 자동으로 꺼진다. 자동으로 꺼지기 전에 수동으로 끌 수도 있다. 보통 방향지시등은 라이트 조작 레버와 같이 있어서 레버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해당 방향의 방향지시등이 작동한다. 최근에는 방향지시등을 라이트 조작 레버 끝에 버튼으로 놓기도 하고 핸들에 방향지시등 버튼을 부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방향지시등이 나오고 있다.[5]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 좌·우회전 및 유턴 : 좌회전 및 유턴은 왼쪽, 우회전은 오른쪽 깜빡이를 켜야 한다.
  • 회전교차로 진·출입 : 진입할 때는 왼쪽, 진출할 때는 오른쪽 깜빡이를 켜야 한다. 단순 우회전의 경우는 오른쪽 깜빡이를 켜야 한다.
  • 차로 변경 : 차로 변경을 하려는 방향으로 깜빡이를 켜야 한다.
  • 좌·우 합류 : 합류하려는 방향으로 깜빡이를 켜야 한다. 참고로 주유소 등 도로 바깥에서 도로로 나가는 것은 합류가 아니라 회전이기 때문에 오른쪽 깜빡이를 켜야 한다.
  • 차량 출발 혹은 정지 : 차량이 출발할 때는 왼쪽 깜빡이를 켜야 하며, 정지할 때는 오른쪽 깜빡이를 사용한다.
  • 주행 중 추월 : 왼쪽 깜빡이를 켜야 하고 원래 차로로 복귀할 때는 오른쪽 깜빡이를 켜야 한다.
  • 추월 유도 : 오른쪽 깜빡이를 사용한다. 자기는 오른쪽으로 비킬 테니 왼쪽으로 추월해 가라는 뜻이다.[2]

버스의 경우 방향지시등을 수신호용으로 쓰기도 한다. 버스가 차체가 크고 전방 시야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쓰는 경우가 많다.

  • 오른쪽 방향지시등 : 정류장에 정차할 때나 다른 버스에 추월을 유도할 때, 무인카메라 단속 지점일 때 사용한다. 정차 시에는 비상등과 우측 지시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왼쪽 방향지시등 : 정류장에서 출발할 때나 중앙버스전용차로 실시구간에서 다른 버스에 추월을 유도할 때 사용한다. 자신의 버스로 인해 버스 차로가 정체될 우려가 있을 때 안전한 상황에서 이를 피하고자 우측으로 추월하라는 의미로 사용한다.[2]

한편 비상등은 방향지시등 양쪽에 불이 모두 들어오는 형태로 발현된다. 주로 긴급한 상황이 있을 때 사용한다. 급제동하거나, 사고가 발생했거나 또는 전방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한다. 또는, 국내와 일본에 한해서 비상등을 고마움, 미안함의 표시로 사용하기도 한다.[2]

점멸 방식[편집]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신호수단이다. 오늘날은 대부분 점멸식 방향 지시등이 대부분이며, 점멸은 전원을 단속(ON-OFF)하는 방법으로 한다. 점멸주파수는 1분당 90±30 정도가 대부분이다. 방향 지시등의 색깔은 황색 또는 적색이어야 하며,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최장 1초 이내에 점멸신호가 발생되어야 한다. 그리고 작동상태 및 고장여부를 운전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방향 지시등 회로는 기본적으로 점멸 릴레이(flasher relay), 방향지시 레버 또는 스위치), 방향 지시등, 그리고 최소 1개 이상의 컨트롤 램프, 즉 표시등으로 구성된다. 방향 지시등의 점멸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존의 방식 중 바이메탈식, 축전기식, 열선식 등은 아직도 사용되고 있으나, 전자식이 대부분이다. 기본적으로 스위치 꺼짐 상태 즉, 방향 지시등을 동작시키지 않을 때 플래셔-릴레이 접점이 닫혀 있는 형식과 플래셔-릴레이 접점이 열려 있는 형식으로 구분된다. 스위치 꺼짐 상태에서 플래셔-릴레이 접점이 열려 있는 형식에서 냉각상태의 열선은 플래셔-아마추어의 스프링장력을 이기고, 플래셔-릴레이 접점을 열려 있도록 한다.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닫히면(운전자가 방향지시등 레버를 조작하여), 플래셔-릴레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의 양은 열선과 보호저항의 저항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전류는 ‘단자 → 릴레이 아마추어 → 열선 → 보호저항 → 마그넷 코일 → 방향지시등 스위치 → 전구 → 접지’ 로 흐른다. 그러나 전류가 약하기 때문에 방향지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열선이 가열, 팽창되어 열선의 장력이 감소하면 플래셔-아마추어의 스프링장력에 의해 플래셔-릴레이 접점은 닫히게 된다. 플래셔-릴레이 접점이 닫히면 전류는 열선과 보호저항을 바이패스(bypass)하여, 곧바로 플래셔-릴레이 접점을 통해 방향지시등에 공급되므로 방향지시등은 밝게 점등된다. 많은 전류가 흘러 큰 자장이 형성되므로, 플래셔-릴레이 접점은 그대로 켜짐(ON)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때 동시에 열선도 냉각된다. 열선이 냉각, 수축되면 열선의 장력은 증가한다. 열선의 장력이 플래셔-아마추어의 스프링장력과 자장에 의한 흡인력의 합보다 커지면 플래셔-릴레이 접점은 다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방향지시등은 점멸된다. 전자식에서는 전원전압의 변화나 부하의 변화가 방향 지시등의 점멸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점멸주파수 신호발생기로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astable multivibrator)를 사용한다. 그리고 출력 측에는 방향지시등에 흐르는 전류를 개폐시키기 위해 릴레이나 파워 트랜지스터 또는 사이리스터를 접속한다.[6]

교통 법규[편집]

국내 도로교통법은 방향지시등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도로교통법 제 38조 제1항에 따르면 모든 차의 운전자는 좌회전, 우회전, 횡단, 유턴, 서행, 정지, 후진, 진로 변경 시 손이나 방향지시기 또는 등화로 그 행위가 끝날 때까지 신호를 해야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신호하는 시기는 행위를 하려는 지점에 이르기 전 30m, 고속도로의 경우 100m 이상의 지점에 이르렀을 때 행한다. 이러한 조항을 불이행 시에는 범칙금이 부과된다. 승합자동차와 승용자동차는 3만 원이 부과되며 이륜자동차는 2만 원의 범칙금이 발생한다.[7] 국내 도로교통법에 따라 운행 시 신호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명시된 법령과 달리 방향지시등을 법 규정에 맞게 조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도로교통안전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차선을 변경할 때 52%만 방향지시등을 작동한 것으로 나타나며,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차량은 54%만 방향지시등을 작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방향지시등 작동률이 운전자 두 명 중 한 명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에 대한 이유를 들어보면, 뒤따르는 차가 없어서 또는 좌회전 및 우회전 전용 차선이라 의사표시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었고 방향지시등을 켜면 옆 차선에서 안 끼워주기 때문에 일부러 켜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8] 그러나 방향지시등은 도로 위에서 다른 차량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방향지시등을 점등하지 않을 때는 사고 발생비율이 현저하게 높아진다. 실례로 2017년 11월 경부고속도로에서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차선을 변경한 승용차 때문에 뒤따라오던 관광버스가 옆으로 넘어져 4명이 숨지고 약 20명의 사람이 부상을 당한 사건이 있었다.[9] 이렇게 방향지시등 위반으로 인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데에는 방향지시등 점등 위반 범칙금이 낮게 설정된 데에도 원인이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조사한 2018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는 방향지시등 미점등 시 범칙금이 3만 원 가량의 소액에 그치는 반면, 일본은 약 6만 원, 호주는 약 15만 5,000원이고 미국은 앨라배마주에 한하여 약 20만 원의 벌금이 발생한다.[10] 도로교통공단에서 2019년 5월 21일부터 9일간 성인남녀 운전자 600명을 대상으로 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방향지시등 미사용으로 인한 사고 경험이 꽤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인의 방향지시등 미사용으로 인해 사고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0.2%였으나 다른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미사용으로 인한 사고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7.7%에 달했다. 행위의 주체에 따라 응답비율이 2배 이상 차이 나는 이 자료는 방향지시등 점등 시 운전자가 주관성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보여주며, 방향지시등 미점등 시 절반에 가까운 확률로 다른 차량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11]

현황[편집]

방향지시등의 점멸 횟수와 색깔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지만, 자동차 국제표준인 세계자동차기술규격(GTR, Global Technical Regulation)에 따르면 분당 60~120번 정도 점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방향지시등의 색깔 역시 대부분 주황색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제동등과 같은 색상인 적색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방향지시등의 작동원리 및 장착 위치는 큰 변화 없이 유사한 형태로 정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LED 램프를 확대 적용하면서 방향지시등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우선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경우, 예전에는 릴레이의 작동음을 스피커를 통해 증폭해 들려줬지만, 최근에는 오디오 앰프를 통해 좀 더 부드러운 전자음으로 전환하여 예전과 달리 시동이 꺼진 후에는 비상등 작동음이 들리지 않는다. 또한, 벌브 타입 전구 방식의 경우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전조등과 후미등 램프의 좌·우측 끝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LED 라이트 시스템이 대중화되면서 디자인이 자유로워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사이드미러는 물론 전조등이나 후미등 위쪽 또는 아래쪽에 자리 잡는 경우가 많아졌다. 일부 차종의 경우 주간주행등이나 미등과 동시에 적용되어 모드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식으로 주간주행등이나 미등이 방향지시등 역할을 대신하는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 외에도 방향지시등의 기술은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방향지시등 레버를 살짝 건드리면 3~5회 정도만 방향지시등을 점멸 시켜 빠르게 방향지시등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과 디머 스위치(Dimmer switch)를 이용해 비상등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아도 짧게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어 운전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국내에서도 순차식으로 점멸 방향지시등을 적용한 수입차를 볼 수 있는데, 순차식 점멸 방향지시등은 여러 개의 LED 램프로 구성된 좌·우측 방향지시등이 바깥쪽으로 차례대로 점등해 방향과 운행 변경 여부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1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방향지시등〉, 《네이버 쇼핑용어사전》
  2. 2.0 2.1 2.2 2.3 2.4 방향지시등〉, 《나무위키》
  3. 3.0 3.1 3.2 잭 챌리너, 〈방향 지시등〉, 《네이버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상을 바꾼 발명품 1001》
  4. 4.0 4.1 다키포스트 디지털 뉴스팀, 〈“깜박이는 왜 깜박깜박 소리를 낼까?” 방향지시등에 숨겨진 이야기〉, 《다키포스트》, 2020-03-13
  5. 도로교통공단, 〈(점멸등, 와이퍼) 초보운전자들이 많이 실수하고 헷갈리는 방향지시등 조작,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 2014-01-06
  6.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 자동차과 김재휘 교수, 〈방향 지시등 (turn signal lamp)〉,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첨단자동차전기전자》, 2012-09-05
  7. 교통법규 QnA〉, 《도로교통공단》
  8. 양우일 기자, 〈운전할 때 방향지시등을 켜시나요?〉, 《소셜포커스》, 2019-12-07
  9. 자동차 방향지시등, 깜빡이는 언제 켜야할까?〉, 《불스원 블로그》, 2018-03-26
  10. 서형석 기자, 〈깜빡이 작은 배려가 큰 사고 막아줍니다〉, 《동아닷컴》, 2019-07-22
  11. 정호인 기자, 〈도로 위 언어 방향지시등 미사용 사고 경험 79.8%, 안전 운전 필수〉, 《오토헤럴드》, 2020-12-10
  12. 김아롱 기자, 〈방향지시등이 1분 동안 깜빡이는 횟수는〉, 《오토헤럴드》, 2017-08-21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방향지시등 문서는 자동차 전장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