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저(buzzer)는 전자석과 진동편을 조합해서 신호음을 발생시키거나, 직류전기로부터 교류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부저 또는 비퍼(beeper)라고도 부른다.
버저는 전자석으로 발음체를 진동시키는 음향기구로 경보나 신호용에 사용한다. 신호용 버저에는 직류식과 교류식이 있다. 직류식의 원리는 철심에 감은 코일·진동편, 진동편에 설치된 접점 등으로 되어 있으며,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진동편이 철심에서 떨어지도록 스프링으로 조절되어 있다. 교류식은 철심·코일·진동편이 있는 점에서는 직류식과 같으나 접점이 없으며 교류주파수의 2배의 속도로 생기는 흡인력에 의해서 진동편이 진동을 일으키므로 이것이 신호에 사용된다. 가정용의 교류 버저에서는 코일에 가해지는 전압을 낮추기 위해 소형 변압기를 사용해서 수 V~10V 정도의 교류를 가하게 되어 있다.
직류식 버저는 목욕탕에 물이 가득 차 있는지, 온도는 어떤지, 물 없이 불만 때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알려 주는 것과, 밤길을 혼자서 걸을 경우에 휴대하는 경보용 버저 등이 있는데, 1.5V의 전원으로도 작용하게 되어 있다. 직류식 버저에 흐르는 전류는 단속하는 직류이므로 같은 철심에 권수가 많은 2차 코일을 감아 놓으면 높은 전압의 교류를 얻게 되며, 이것을 정류하면 수 V의 직류전원에서 100V 또는 그 이상의 직류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이 자동차용 라디오에 진공관이 사용되던 시대에 라디오용 전원으로 사용된 일이 있다. 이밖에 트랜지스터를 내장한 무접점식 버저도 있다.[1]
버저는 누르면 소리를 내는 장치로, 실제 발음은 버저에 가깝고 외래어 표기법에 의해서도 버저가 맞는 표기이다. 하지만 일본식 표기(ブザー)가 남아있는 탓에 여전히 부저라 불리기도 한다. 실제로 오래된 버스 등에는 일본어 발음이 더 노골적으로 남아있는 부자로 적혀있기도 하다.[2]
전기적 버저는 1831년 미국의 물리학자인 조지프 헨리(Joseph Henry)에 의해 발명되었다. 1930년대 초 더 부드러운 톤을 가진 차임벨이 선호될 때까지 초기 초인종에 주로 사용되었다. 압전 방식의 버저 또는 피에조 버저는 일본의 제조업체들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되었다.[3]
스포츠[편집]
주심이 휘슬로 경기 종료를 알리는 축구, 하키 등의 스포츠와 달리 농구 경기에서는 버저음으로 경기의 종료를 알린다. 이로 인해 생긴 용어가 바로 버저비터인데, 버저나 경적이 울리기 직전에 성공하는 슛을 뜻한다. 소리를 내게 하는 신호장치를 뜻하는 버저(buzzer)와 두들기는 사람이라는 뜻인 비터(beater)의 합성어로, 두 단어를 합치면 버저를 때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렇게 버저비터는 버저음이 울리는 동시에 선수가 날린 슛을 일컫는 농구 용어가 됐다. 사실 미국 스포츠에서 버저라는 말은 야구에서 먼저 사용했다. 1918년 버저는 강속구의 의미로 처음 쓰였다. 한 기사에서 '짐 보그의 빠른 버저는 강풍같아서 타자가 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그 이후인 1965년, 농구에서 버저로 경기의 종료를 알리는 버저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농구에서더 버저비터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는 다양한 스포츠에서 버저비터라는 용어를 차용했는데, 농구를 비롯해 시간 제한을 갖는 종목에서 버저비터는 4쿼터, 전후반, 연장전에서 경기 시계가 종료된다는 부저가 올리기 전에 슛으로 득점이 이루어진 것을 뜻하게 되었다. 아이스하키, 럭비, 라크로스 등에서 농구와 같은 버저에 의해 경기가 끝나능 일부 종목에서도 버저비터라는 말을 쓴다. 하지만 한국의 일부 축구 해설자가 경기 종료 직전 들어간 골을 버저비터라고 말해 한동안 놀란이 일기도 했다. 축구에서는 심판의 휘슬에 의해 경기를 끝내기 때문에 굳이 따지자면 버저비터라는 말이 적절한 표현은 아니다.[4]
자동차[편집]
빽부저는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해 후진 기어와 연동되어 후진시에 자동으로 나오는 부저음이나 멜로디를 말한다. 버저가 표준어이나 빽부저라는 표현이 일상화되었다. 후진벨이라고도 불리는 빽부저는 대부분 대형차에 출고시부터 장착되어 있다. 일부 차량에서는 기본 옵션으로 제공되기도 하고 사용자가 장착하기도 한다. 원리는 후진시 전류가 흐르는 배선에 연결하여 작동하는 것인데, 주로 작업이 용이한 후진등에 연결한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사례가 저상버스의 리프트를 작동할 때 나오는 부저음이다. 트레일러의 경우 트랙터 트럭과 트레일러의 빽부저가 달라 둘이 별도의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다.
부저음 대신 멜로디가 나오는 차량도 있는데, 1963년 일본의 야마구치전자가 BA1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만들었으며 클래식 음악을 썼다. 주로 멜로디가 나오는 차량들은 대형트럭이나 지게차 같은 건설기계인 경우가 많다. 후방 시야가 생각보다 좁기 때문에 부저음으로 후진을 알려 보행자에게 알리는 신호로 작용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에서 생산되는 트럭들은 '엘리제를 위하여'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었다. 특히 과거 분뇨수거차가 후진시 빽부저와 확성기를 이용해 '엘리제를 위하여'의 앞부분을 재생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반복되는 곡조로 기억하기 쉽고 그 당시 단조로운 전자음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멜로디가 '엘리제를 위하여'였기에 채택하였다고 한다. 또 다른 가설로는 클래식 음악은 저작권이 없어서 부저음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후에는 비프음으로 바뀌어 거의 들을 수 없으나 간혹가다 여전히 엘리제를 위하여가 부저음으로 울리는 차량들이 있다.[5]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버저 문서는 자동차 전장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전장
|
2채널 블랙박스 • 4채널 블랙박스 • 360도 블랙박스 • CAN • CANdb • ECU • HMI 계층 • LVDS • MCU • OBD • OTA • SOS 버튼 • UVC • V2G • V2L • VCU •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 디지털 신호처리장치(DSP) • 마이크로컨트롤러 • 무선충전기 • 미들웨어계층 • 배선 • 배선도 • 블랙박스 • 블루링크 • 어드밴스드 케어 • 와이어링 하네스 • 운영체제계층 • 응용계층 • 자동차 전장 • 전자제어장치 • 접지 • 접지선 • 제어회로 • 중앙제어장치 • 집적회로(칩, IC) • 차량용 반도체 • 첨단안전장치 • 충전기 • 컨비니언스 패키지 • 컴포트 패키지 • 텔레매틱스 • 트랙패드 • 파퓰러 패키지 • 하네스 • 하드웨어계층 • 하이테크 패키지 • 하이패스 단말기 • 회로 • 회로도
|
|
운전보조
|
360도 카메라 • 3D 클러스터 • ADAS • AEB • AVM • DDREM • DMP • FCA • GPS • HDA • HDA2 • HDA3 • HDP • HSAC • LDWS • LKA • NSCC • SVM • V2X • 경사로 밀림 방지 • 경사로 저속주행 • 고속도로 자율주행(HDP) • 고속도로 주행보조 • 과속단속 카메라 감지 • 광각카메라 • 나이트비전 시스템 • 내비게이션 •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 능동형 전복방지(ARP) • 드라이브 와이즈 •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 모니터 • 모니터링 •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BOS) • 비상 자동제동 시스템 •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 • 사각지대 경보장치 • 서라운드 뷰 모니터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 스탑앤고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 스테레오 카메라 • 시티 세이프티 • 안드로이드오토 •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 •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 •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 어웨이 • 옴니뷰 기술 • 운전보조 • 운전자 주의 경고(DAW) • 원격 스마트 주차 • 자동긴급제동장치 • 자율주행 시스템 • 적외선 카메라 • 전기식 스티어링 컬럼 잠금(ESCL) • 전방 주시 경고 • 전방충돌방지보조 • 전방카메라 • 전후방카메라 •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차로 이탈방지 보조 • 차선변경지원 시스템 •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 차체 자세 제어장치(ESC, ESP, VDC)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 카메라 • 카플레이 • 콕핏 플랫폼 • 크루즈 컨트롤 • 크리핑 • 트래픽 사인 어시스트 •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 • 페이스커넥트 •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후방 교차 충돌방지 시스템 • 후방 긴급자동제동 • 후방모니터 • 후방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 후방카메라 • 후측방 모니터 • 후측방 모니터링 시스템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
|
|
조명
|
3차원 디지털 픽셀 • DRL • DTRL • LED • LED 라이트 • LED 램프 • LED 헤드라이트 • 경고등 • 경광등 • 경보등 • 등 • 등불 • 등화관제등 • 등화장치 • 라이트 • 라이트 캔버스 • 램프 • 레이저 • 레이저 라이트 • 룸램프 • 리어램프 • 멀티빔 • 무드등 • 미등 • 방향지시등(깜빡이) • 배니티램프 • 백열등 • 번호등 • 보조제동등 • 비상등 • 빔 • 사이드리피터 • 상단표시등 • 상향등 • 소등 • 손전등 • 실내등 • 실외등 • 안개등 • 앰비언트 라이트 •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 시스템 • 전구 • 전구색 • 전등 • 전등갓 • 전조등(헤드램프, 헤드라이트) • 점등 • 제동등(브레이크등, 정지등) • 조명 • 조명기구 • 조명기기 • 조명등 • 조명장비 • 조명장치 • 주간주행등 • 주광색 • 주백색 • 지능형 헤드램프 • 지도등 • 지시등 • 차폭등(마커램프) • 코너링 램프 • 콤비네이션 램프 • 파킹램프(주차등) • 팝업 헤드램프 • 표시등 • 픽셀 라이트 • 하이빔 어시스트 • 하향등 • 할로겐 램프 • 헤드램프 와이퍼 • 후미등(테일램프) • 후미안개등 • 후진등
|
|
인포테인먼트
|
3D 사운드 시스템 • 5.1 채널 • A/V • AVN • CD • CID • DMB • DVD • FaaS • LCD • LED • MBUX • OLED • RSE • USB • 고가 스피커 • 노이즈 캔슬링 • 돌비 • 돌비 비전 • 돌비 애트모스 • 뒷좌석 듀얼 모니터 • 디스플레이 • 디지털 디스플레이 • 라디오 • 렉시콘 사운드 • 리모컨 • 메르세데스 미 커넥트 프리미엄 패키지 • 메리디안 사운드 • 메리디안 엘리베이션 • 미드레인지 • 미드우퍼 • 바워스 앤 윌킨스 사운드 • 뱅앤올룹슨 사운드 • 보스 사운드 • 보이스 어시스턴트 • 부메스터 사운드 • 블루투스 • 빌트인캠 • 사운드 • 사운드 시스템 • 서라운드 사운드 • 서라운드 스피커 • 서브우퍼 • 센터 디스플레이 • 소너스 파베르 사운드 • 스크린 • 스피커 • 스피커 그릴 • 액티브사운드(전자배기음) • 앰프 • 오디오 • 온디맨드 • 온디맨드 인포테인먼트 • 우퍼 • 음성명령 • 음성인식 • 음성제어 • 음향기기 • 음향장비 • 인포테인먼트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컨트롤러 • 저가 스피커 • 중가 스피커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카PC • 카오디오 • 카폰 • 터치스크린 • 트위터 • 티박스 • 파워앰프 • 프로젝터 • 하만카돈 사운드 • 하이파이 • 하이퍼스크린 • 핸즈프리 • 햅틱 • 헤드유닛 • 화면
|
|
공조장치
|
PTC 히터 • 가습 • 가습기 • 공기청정기 • 난방 • 난방기(히터) • 냉각수 온도계 • 냉매 • 냉방기 • 도그모드(강아지모드, 애견모드) • 디포거(김 서림 방지 장치) • 선풍기 • 에어컨 • 에어컨필터 • 열교환기 • 예열 • 예열제상 • 온도계 • 응축기 • 이온발생기 • 제상 • 제습 • 제습기 • 증발기 • 컴프레서 • 투명히터 • 풀오토 에어컨
|
|
버튼과 스위치
|
근접스위치 • 레벨스위치 • 리드 스위치 • 리미트 스위치 • 마이크로 스위치 • 버저(부저) • 버튼 • 벨 • 볼륨 스위치 • 셀렉터 스위치 • 스위치 • 스피드 스위치 • 시동버튼(스타트 스위치) • 신호 • 신호음 • 썬루프 스위치 • 압력스위치 • 열선스위치 • 온도스위치 • 워크인 스위치 • 유량스위치 • 잠금장치 • 전기스위치 • 전조등 스위치 • 조이스틱 스위치 • 차일드락 • 창문 스위치 • 창문잠금장치 • 토글 스위치 • 트렁크 열림 버튼 • 파워윈도우 스위치 • 푸시버튼 스위치 • 하차벨 • 햅틱버튼
|
|
센서
|
MEMS센서 • 가상센서 • 가속도센서 • 가스센서 • 감압식 센서 • 공기질센서 • 광센서 • 근접센서 • 냉각수 온도센서 • 노크센서 • 녹스센서 • 라이다 • 레이다 • 레인센서(우적센서) • 바이오센서 • 배기가스온도센서 • 버클센서 • 산소센서 • 센서 • 소리센서 • 속도센서 • 스로틀 포지션 센서 • 습도센서 • 압력센서 • 액추에이터 • 에어백센서 • 에어플로우 센서 • 온도센서 • 유량센서 • 이미지센서 • 자율주행센서 • 자이로스코프(자이로센서) • 점유센서(점유감지센서) • 정전식 센서 • 조도센서(일사센서) • 조향각센서 • 주차보조센서 • 중력센서 • 지문센서 • 지자기센서 • 차량용 센서 • 초음파센서 • 충격센서 • 충돌방지센서 • 카메라센서 • 크랭크각 센서 •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 타이어 공기압 센서 • 타이어 압력 경고등 • 토크센서 • 하이트센서(차고센서) • 후방감지센서 • 흡기 온도센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