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왕복조류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복조류(往復潮流, reversing current, rectilinear current)는 대략 같은 길이의 시간 동안 반대 방향의 흐름이 교호하는 조류를 말한다. 각 흐름의 변환시에 흐름이 정지되는 정체시간이 존재를 말한다. 왕복조류는 염하구(estuaries), 한정된 수로(restricted channels), 육지부의 해수체(inland bodies of water)에서 주로 발생한다.[1]

개요[편집]

왕복조류는 창 낙조류의 방향이 완전히 반대인 조류를 말한다. 또한, 같은 수로를 약 6시간은 한 방향으로 흐르고 다음의 약 6시간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조류를 왕복성 조류라 부르며, 왕복성 조류는 방향을 바꿀 때 흐름이 일시 정지된다. 왕복조류는 우리가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조류로 주기적이며 각 지역의 조석표에 의해 쉽게 알 수 있고 이것은 방향과 속도의 변화주기가 조석표와 일치한다. 물흐름이 정체된 정류에서 3시간 지난 후가 가장 흐름이 강하고 이어서 점차 약해지다가 약 6시간 후엔 정류가 되었다가 다시 흐름이 시작돼 약 9시간 후 다시 흐름이 강한 때가 되는 형식을 반복한다.(반일주조) 또 이 흐름은 대양에서는 약하나 연안이나 장애물이 있는 지역은 매우 강하다. 우리 해안의 경우 남해안에서는 들물(밀물)은 서쪽으로, 날물(썰물)은 동쪽으로, 서해안에서 들물 때 북쪽으로, 날물 때는 남쪽으로 흐르며 동해안은 별 영향이 없다. 예를 들면 남해안 A직역 잠수활동의 경우 간조 후 5시간이 지난 뒤 약 1시간 정도의 선박이동거리를 가지는 서쪽 섬으로 간다면 이 때는 들물로 물흐름이 서쪽이니 배가 쉽게 갈 수가 있다. 도착 후 정류(짜배기)에 잠수를 하고 날물이 시작될 때 승선 후 귀환하면 물흐름이 이번에는 동쪽이므로 쉽게 올 수 있는 방식이 된다.[2][3]

조류[편집]

조류(潮流, tidal current)는 바다에서 밀물썰물에 의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해수흐름을 말한다. 바닷물태양인력지구 자전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승하고 하강한다. 이를 조석(潮汐)현상이라 한다. 조석현상은 12시간25분의 주기를 가진다. 대략 하루에 두 번씩의 만조와 간조가 생긴다. 조석에 의해 물이 들거나 나면서, 그 물의 높이 차이에 의해 바닷물의 흐름이 생기는데 이것이 조류이다. 지역에 따라 조류가 강해지기도 한다. 가장 좁은 부분의 너비가 293미터 정도인 명량해협은 폭이 좁아짐으로 인해 조류의 흐름이 굉장히 빨라지는 곳이다.

조류는 조석에 의해 생성된 해수의 주기적인 흐름이다. 연안해에서는 보통 조류가 해류보다 더 강하다. 조류는 조석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조석의 원인이 되는 외력을 기조력(起潮力)이라 하며, 지구 주변 천체의 인력작용이 기조력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구 주변 천체 중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과 질량이 가장 큰 태양에 의한 기조력이 가장 크다. 그 밖의 천체에 의한 기조력은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조류는 해면에서 해저까지의 전 수심에 걸쳐 거의 같은 속도로 흐른다. 이러한 사실은 강한 조류가 흐르고 있는 해협이나 수로의 해저에 진흙이 쌓이지 않고 암반이 노출되어 있는 현상을 통해 알 수 있다. 해양에 작용하고 있는 힘 중에서 기조력만큼 크고 일정한 힘은 없다. 해양의 흐름은 해류, 조류 및 기상의 영향에 의한 일시적 흐름 등이 겹쳐져 이루어진다.불규칙한 해안이나 해저지형의 영향에 대해서는 조류가 조석보다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조류의 변화는 조석의 변화보다 복잡하다. 조석은 해수면의 승강이라는 1차원적인 운동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조류는 3차원적인 운동이다. 해안지형이나 해저지형으로 제한되어 물 입자가 한 방향의 운동밖에 허용되지 않는 해협이나 수로에서 조류는 반(半) 조석주기(潮汐週期)의 사이에는 한 방향으로, 다음의 반 조석주기에는 반대방향으로 흘러 거의 정해진 범위를 왕복한다. 이와 같은 조류를 왕복조류(往復潮流)라 한다. 그러나 조류는 해협이나 수로의 어느 부분에서나 똑같이 흐르는 것은 아니고 중요한 유로(流路)가 정해져 있어 중앙 부분에서는 빠르지만 가장자리에서는 약하거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흐른다. 해안선이나 해안지형의 영향이 작은 넓은 만(灣)이나 외해(外海)에서는 코리올리(Coriolis)의 힘, 즉 편향력(偏向力)이 작용해 1조석주기 사이에 유향(流向)이 연속적으로 360° 변화한다. 이러한 형태의 조류를 회전조류(回轉潮流)라 한다.

조석과 조류는 조석파에 수반되는 두 가지의 현상이기 때문에 그 변화의 주기는 같다.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외해에서 해안으로 밀려들어오는 조석의 흐름을 창조류(漲潮流) 또는 밀물이라 하며, 반대로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연안에서 외해 방향으로 빠져 나가는 조석의 흐름은 낙조류(落潮流) 또는 썰물이라 한다. 또 밀물과 썰물 사이의 평균수면이 되었을 때, 즉 수평방향의 유속이 0인 상태를 정조(停潮)라 한다. 해안에는 창조류와 낙조류가 교대로 나타나는 왕복조류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타원을 그리는 회전조류가 나타난다. 가기.png 조류 (바다)에 대해 자세히 보기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왕복 조류〉, 《해양과학용어사전》
  2. 왕복성 조류〉, 《해양과학용어사전》
  3. 새덕이, 〈조석과 조류란 무엇인가? - 다이빙 상식〉, 《제주바다하늘 다이브센터》, 2009-02-1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왕복조류 문서는 날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