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봄장마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봄장마봄철에 여러 날 계속해서 오는 를 말한다.

개요[편집]

국어사전에서 봄에 여러 날 계속 내리는 비를 봄장마라고 했다. 비가 너무 많은 봄인데, 기상청장마가 아니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여러 날 계속 내리는 비를 장마라고 했다. 기상청은 4월 하순~5월 상순에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 영향으로 많은 비가 와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다고 예보한 바 있다. 한달 동안(3월11일~4월10일)의 강수량은 82.6㎜로 평년(61.0㎜)에 비해 36%가 증가한 터여서 계속되는 비는 저온현상이나 생장저해 등 농작물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봄장마'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봄철 강수량은 1981~1990년에는 연평균 35㎜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 1991년을 전환점으로 2008년까지 연평균 25㎜씩 증가했다. 1980년대 봄철 강수량이 줄어든 것은 한반도 서쪽에 고기압, 동쪽에 저기압이 놓여 차가운 북풍이 한반도로 불어오면서 북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의 확장을 막아 따뜻하고 습한 남서류의 유입이 막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90년대 이후에는 대기구조에 변화가 생겨 한반도 북서쪽에 고기압, 북동쪽에 저기압이 위치하면서 서풍계열의 기류가 한반도 남쪽으로 유입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2020~2040년대에 이르면 북태평양고기압이 과거보다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해 북태평양고기압 주변의 아열대지역 수증기를 한반도에 공급할 것으로 연구팀은 예측했다.

한편, 봄철 강수량의 증가와 봄꽃 개화시기는 상관관계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봄꽃 개화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는 것은 1980년대에 비해 2000년대의 평균기온이 2월에는 1.6도, 3월에는 0.8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봄꽃 개화는 2~3월 강수량이 평년에 비해 60% 미만이거나 150% 이상이어야 하루가 늦어질 정도로 강수량 영향을 덜 받는다.[1][2]

장마[편집]

장마는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의 여름에 걸쳐서 동아시아에서 습한 공기가 전선을 형성하며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많은 비를 내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로, 그 시기를 장마철이라 한다. 또한, 장마는 동아시아에서 주로 여름철에 여러 날 비가 내리는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의 일종으로, 그 원인인 정체전선(장마전선), 우기(雨期)를 가리키거나 또는 그 시기의 비 자체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임우(霖雨)', '구우(久雨)', '매우(梅雨)', '매림(梅霖)'이라고도 불린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겨울 동안 하와이 부근에 있다가, 여름이 가까워지면 점차 서쪽으로 세력을 키워 6월 말경에 한국의 남쪽 바다까지 그세력에 영향이 간다. 한편 겨울에 얼음으로 덮여 있다가 봄이 되면서 녹기 시작하는 오호츠크해는 시베리아대륙에서도 눈이 녹은 물이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대륙에 비해 온도가 10°C 정도 낮다. 따라서 이 지역에 찬공기가 쌓여서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만들어진다. 이 고기압은 한랭습윤한 해양성기단이다.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은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두 고기압 사이에 뚜렷한 전선이 생기며 수렴대(收斂帶)가 만들어져 한국 상공에 머물면서 장마가 시작된다.

장마전선은 규칙적으로 북쪽으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고, 남쪽과 북쪽의 고기압 세력에 따라 남쪽과 북쪽을 오르락내리락하게 된다. 장마 초기에는 보슬비가 계속 내려 저온현상이 나타난다. 그 뒤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커져서 장마전선이 한국에 상륙하면 강한 비가 내리기도 한다. 장마 기간에도 북쪽 고기압의 세력이 한때 커지면 시원하고 맑은 날씨가 된다. 그러나 맑은 날씨는 오래 가지 않는다. 특히 장마전선이 태풍과 만나서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집중호우가 내려 홍수를 일으키므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3][4]

봄장마의 영향[편집]

'봄가뭄'을 늘 걱정하던 한반도 기후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며칠간 장마철에 준할 정도로 막대한 양의 비가 쏟아지면서 제한적으로 쓰이던 '봄장마'란 표현이 점차 일상용어로 굳어질 전망이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이면에는 급격히 진행 중인 지구온난화가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2018년 5월 16일 수도권 일대에 내린 많은 비로 피해가 속출했으며 특히 호우특보가 내려졌던 강원지역의 피해가 컸다. 18일 오전 1시께 폭우가 몰아친 대관령 일대에서는 62가구가 침수됐으며 홍천에서는 56번 국도에 토사가 덮쳐 교통통이 통제되기도 했다. 새벽까지 내렸던 비는 서쪽 해안지대부터 점차 그치고 있으며 강원도에 내려졌던 호우특보는 해제된 상태다.

전통적으로 봄은 곧 가뭄을 걱정했던 시기로 알려졌지만, 올봄은 봄장마라 불릴 정도로 많은 비가 장기간에 걸쳐 쏟아지고 있다. 이 봄장마는 단순히 일시적인 기상변화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추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기상청의 봄철 강수량 추이자료를 살펴보면, 1981년 이후 2010년까지 30년간 내린 전국의 봄철 평균강수량은 236.6mm 정도로, 많을 때는 400mm 이상이고 적을 때는 100mm 이하가 나타나는 등 편차가 매우 심했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서서는 줄곧 200mm를 넘어서 예년 평균과 비슷하거나 웃돌고 있다. 올해는 이미 지난 3개월간 내린 비의 양이 350mm를 넘어서 평년대비 148% 이상 더 많은 비가 쏟아졌다.

봄철 강수량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감소추세에 있었으나 2010년대로 들어서면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한반도 주변 기압배치가 달라지면서 봄철 강수량이 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 지역 평균기온은 상승추세에 있으며 최근 10년간 약 0.5도 이상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기온상승이 온난습윤한 해양성 기단의 봄철 확장을 유발하면서 강수량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봄철까지도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건조하고 화창한 날씨가 오랫동안 지속됐으나, 6월 장마철 이후에나 북상하던 북태평양고기압이 과거보다 더 세력이 확장돼 아열대 지역 수증기를 한반도에 계속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로 한반도 일대 기온상승이 계속될 경우, 봄철 강수량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

봄비의 역할과 가치[편집]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시기이자 1년 농사를 시작하는 계절로 봄 꽃나들이를 기대했던 이들에게도, 봄을 맞이해 1년 농사를 준비하는 농부에게도 추운 겨울 내내 몸을 웅크려 보냈던 우리 모두에게도 반가운 계절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인지 매년 봄이 되면 '봄비'가 화두가 되기도 한다. 막 화사하게 피어난 벚꽃이 봄비 때문에 금방 떨어져 속상할 때도 있지만 봄비는 우리에게 꼭, 필요하고 또 좋은 영향을 주는 고마운 손님이란다. 그 이유는 봄비가 봄 날씨의 단점을 보완해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5년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봄비의 경제적 가치를 2,300억 원으로 추산했을 만큼, 봄비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들을 제공해준다.

겨울 가뭄을 해소하는 봄비

봄철은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로 물이 굉장히 많이 필요한 시기이다. 봄가뭄이 오래도록 지속되면 농사 뿐 아니라 공업, 수자원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부분에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작년 한 해 전국 강수량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 12월부터 2월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봄비는 가뭄을 해갈하는 데 꼭 필요한 존재다. 봄가뭄의 원인으로 꼽는 이유 중 하나가 온난화로 이야기 되는 만큼, 물부족 국가로서 물을 아껴쓰는 것 또한 봄비를 기다리는 센스있는 자세다.

산불을 예방하는 봄비

봄철이 되면 국립공원 등의 주요 산으로 들어가는 등산로에 입산통제를 한다. 그 이유는 봄철 발생하는 산불이 전체 산불의 58%를 차지할 만큼, 봄에는 산불이 발생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산불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394회 발생하며 111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주었다고 한다.

산불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원인은 사람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봄의 기후적 특성이 산불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점도 있다. 산림청은 실효 습도 45% 이하가 이틀 이상 지속될 때 대형 산불 주의보를 발령한다. 12월부터 2월까지 3달 동안은 봄철 습도가 유난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건조한 날씨 때문에 조그만 불씨에도 산불로 쉽게 이어지는 것이다.

봄비는 봄철 메마른 산림을 적셔 산불 위험을 낮추고, 실제 산불이 발생했을 때도 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립기상과학원에 따르면 산불 피해를 복구하는 데 드는 비용이 헥타르당 540만 원이라고 한다. 2018년 봄 산불로 피해 입은 면적이 712ha였으니, 봄비만 잘 내려준다면 약 38억 규모의 산불을 막을 수 있는 재원이 될 수 있는 셈이다.

미세먼지 걱정 싹! 깨끗한 공기를 만드는 봄비

온 국민이 가장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기상으로는 바로 '미세먼지'에 대한 이슈다. 매년 봄에 찾아오던 황사와 맞물려 봄에보다 더 주의가 요구되는데, 외출 시에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봄비가 내려 대기 중의 먼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면 쾌적한 공기를 만들어 주어 맑은 하늘을 만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가 한 번 내릴 때마다 공기 중 미세먼지의 60%를 씻어낼 수 있다고 하는데, 황사로 인해 더 뿌연 하늘이 자주 나타나는 봄에는 특히 봄비의 역할이 커진다.

모처럼의 봄 나들이를 앞두고 봄비 소식을 듣는다면 사실 조금 속상할 것 같다. 따뜻한 봄 날씨도 쌀쌀해지고 자유로운 야외활동도 어려우니 말이다. 벚꽃 구경을 하는 날이면 항상 봄비가 내려 속상했던 적도 한 두번이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꽃이 지는 아쉬움보다 봄비가 전해주는 다양한 이로움이 더 크다는 점이다. 산불의 위협 속에서 수많은 생명이 자라는 원동력이 되어 생명의 씨앗이 되는 가치도 더욱 크다.[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향천, 〈봄 장마〉, 《네이버 블로그》, 2021-06-03
  2. 이근영 선임기자, 〈'봄장마' 점점 심해진다〉, 《한겨레》, 2019-10-19
  3. 장마〉, 《위키백과》
  4. 장마〉, 《나무위키》
  5. 이현우 기자, 〈"봄은 곧 가뭄" 등식 깨진다... '봄장마' 시대의 도래〉, 《아시아경제》, 2018-05-18
  6. 배유미 기자, 〈봄비의 가치 - '2300억' 귀하신 봄비! 우리만 몰랐던 봄비의 역할과 가치〉, 《네이버 블로그》, 2019-04-1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봄장마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