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비
개요[편집]
'가을비는 늙은이 수염 밑에서도 그어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가을비는 나뭇잎이 무성한 나무가 아니고 노인 수염같이 엉성하여도 비를 피할 만큼 적게 내리고 일찍 그친다는 말이다. 가을비는 천둥과 번개가 없다. 여름비처럼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이 겹치면서 내리는 비가 아니고 난층운에서 넓은 범위에 뿌리면서 내리기 때문에 부슬비 형태이다. 그런데 요즘 가을비는 좀 수상하다. 여름비 형태로 내리고 요즘은 늦은 장마와 같이 흐린 날씨를 지속하고, 급기야 태풍의 영향으로 흐리기까지 하다. 가을 하늘은 천고마비라고 할 만큼 맑고 투명한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요즘 날씨는 비가 오고 흐리고, 거기에 무더위가 아직도 가시지 않았으며 습기와 늦더위는 습도를 높인다. 이런 가을비는 많은 곳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우선 농사에 좋지 않다. 벼가 마르면서 품질이 확보되어야 하는 상황에 비가 오게 되면 볏단이 썩거나 알곡의 품질이 많이 떨어져서 밥맛에 문제를 준다. 밭에 심은 배추나 무의 경우에 수분함량이 높아지고 광합성량이 적어져서 맛이 떨어지게 된다. 더불어 병충해의 우려도 커진다. 과일도 볕의 양이 줄어들어서 당도가 떨어지며 품질이 저하된다.
이런 가을비는 사람의 마음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여름에 한창이었던 더위와 장마에 지친 몸과 마음은 청량한 가을 기운과 맑은 하늘로 치유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요즘은 아직도 서울의 낮 기온이 30도까지 오르도록 더위가 남아있고, 가을비가 여름 소나기처럼 내린다. 하늘은 마치 장마철처럼 흐린 날이 지속한다. 결국, 이런 현상은 습도를 높이고 불쾌지수를 높인다. 청량하여야 할 시기에 반대로 불쾌지수가 올라가니 그 정도는 배가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유난히도 더웠는데 그 끝이 보이지 않고 흐린 날씨에 가을비까지 강하게 내려 우울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요즘 가을비의 의미는 '우울'이다. 근래 외래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예민해져 있고 쉽게 짜증 내는 것을 목격한다. 대부분 사람이 만성적인 우울증에 시달리는 듯해 보인다. 이는 마치 영국과 같은 유럽성 기후 지역을 처음 방문하는 한국 사람들이 초기에 대부분 만성 우울증에 시달리는 것과 유사하다. 어쩌면 요즘의 극단적인 정치 상황이나 비윤리적인 사회상도 이런 기후와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1]
가을비 대처방법[편집]
가을비가 내리는 시기에는 두 가지 해야 할 일이 있다. 우선 만나는 사람들이 우울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사소한 일에도 감정적인 분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가까운 사람일수록 조심하여야 한다. 가장 가까운 가족에서 직장 동료, 친구 등등에서 우울증의 징후를 파악하고 현명하게 대처하여야 한다. 즉 예민하게 반응할 사건을 피하고 공격적인 반응에 직접적인 대응을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병원 외래에서 만나는 환자들도 우울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좀 더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본인 스스로 우울해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해결책은 쉬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다. 과감하게 휴식시간을 늘려 육체적인 피로를 줄여야 한다. 다음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나 취미를 늘려야 한다. 셋째로 사람을 통하여 위안을 받으려는 노력은 조금 자제하여야 한다. 타인의 마음상태에 따라 영향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넷째는 본인이 스스로 우울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스스로 극복할 정도라면 긍정적인 생각이나 행동, 여행이나 운동, 독서나 종교 생활 등으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힘들다면 카운슬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가까이에 멘토가 있다면 만나서 조언을 받고 없다면 심리상담사를 찾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1]
가을비의 영향[편집]
어떤 날은 비가 올 때마다 찝찝함만 더해지는 날도 있지만, 가을이 되면 비가 그치고 난 후 공기가 차가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여름에는 아무리 비가 세게 내려도 기온은 그대로인데 습도만 높게 올라가서 불쾌감만 더해진다. 반면 가을에는 '가을비 한 번에 내복 한 벌'이라는 속담이 있듯이, 비가 한 번씩 올 때마다 공기가 차가워지고 으슬으슬해진다.
서~서북서쪽에서 접근해오는 비구름의 영향
먼저 서~서북서쪽에서 다가오는 구름과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비구름 간의 차이를 봐야 한다. 여름철에는 주로 남~남서풍이 우세하게 불어오면서 장마전선 또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게 되지만, 계절이 가을로 접어들게 되면 서쪽 내지는 서북서쪽으로부터 접근해오는 비구름대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여름철 대한민국은 남동쪽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이라는 덥고 습한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한반도 주변(또는 상공)으로 장마전선이 위치하거나 저기압이 통과하는 경우,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려오는 덥고 습한 공기로 인해 많은 양의 비가 내린뒤라 하더라도 기온은 유지되거나 오히려 더 오르는 경우가 많아 찝찝함(불쾌지수)만 더해지게 된다. 반면, 가을이 되면 태양의 남중고도(태양이 내리쬐는 각도)가 낮아지면서 일사량이 줄어들게 되고, 비열이 작은 몽골, 중국 북동부 지역부터 빠르게 식어 기온이 낮아진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고위도까지 북상했던 한대제트도 남하하기 시작해 북쪽 지역은 더욱 추워지게 된다. 가을철이 다가오는 저기압의 후면에는 이러한 추운 지역으로부터 기원한 찬 공기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저기압이 통과하고 난뒤에는 저기압이 빠져나간 자리로 찬 공기가 남하하게 되면서 추워지는 것이다.
한랭전선의 영향
가을철 저기압 후면에 동반되어 있는 차고 건조한 공기의 특성이 뚜렷한 경우, 저기압 후면으로(북서쪽으로부터) 남하하는 차갑고 무거운 공기가 이미 자리잡고 있던 따뜻하고 가벼운 공기를 파고들면서(들어올리면서) 위 모식도와 같이 한랭전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전선면(불연속면)에서 연직적으로 높게 발달한 적란운에 의해 뇌우나 우박이 동반되기도 한다. 한랭전선이 통과하고 나면 차고 건조한 공기 영향권 내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면서 날씨가 맑아지고 찬 바람에 의해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가을이 되면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찬 공기가 이미 대한민국에 영향을 주고 있던 더운 공기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도 내리고, 이 비가 그치고 나면 파란 하늘과 함께 쌀쌀한 날씨가 찾아오게 되는 것이다.[2]
관련 속담[편집]
'가을비는 빗자루로도 피한다'는 속담의 의미는 보통 가을에 내리는 비는 여름비와 다르게 양이 적고, 빗자루 하나만으로도 피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는 여름에 비가 오는 날은 잠자기가 좋고, 가을에 비가 오는 날은 잘 먹게 된다는 말이다. 여름에 비가 오면 일을 쉬게 되고 다른 할 일이 없이 낮잠을 자게 되므로 잠자기 좋고, 가을에 비가 오면 일을 쉬면서 풍성한 수확물로 떡을 해서 먹게 된다는 뜻이다. 우리 조상들이 계절별로 내리는 비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사고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속담으로 자연을 해석하는 낙관적인 태도가 잘 나타나 있다. 비슷한 속담으로 "여름비는 더워야 오고 가을비는 추워야 온다.", 봄에는 식량이 귀해 비 오는 낮에 낮잠을 자지만 가을에는 곡식이 흔해 쉬면서 떡을 해먹을 수 있음을 이르는 "봄비는 잠비요 가을비는 떡비라.", 봄비가 자주 오면 풍년이 들 것으로 예상되어 부인들 인심이 후해진다는 뜻으로 "봄비가 잦으면 마을 집 지어미 손이 크다.", "가을비는 시아버지의 수염 밑에서도 긋는다."가 있다.[3][4]
또한, '가을비는 내복 한 벌'이라는 이 속담은 의미는 가을비가 내리고 나면 기온이 갑자기 확 떨어져서 쌀쌀해진다. 그 추위가 옷 안에 내복 한 벌을 껴입어야 할 정도로 춥게 느껴진다는 뜻이다. '가을비는 장인(丈人)의 나룻 밑에서도 긋는다'는 가을비는 잠깐 오다 말기 때문에 장인 영감의 턱수염 밑에서도 비를 피할 수 있다는 의미의 속담이다. 이 속담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가을비는 많이 오지 않는다는 말이고 또 하나는 잔걱정은 오래 가지 않으므로 우려할 바가 못 된다는 말이다. 장인의 턱수염이 비를 피할 수 있을 만큼 많지도 길지도 않지만 가을비는 피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가을비는 잠시 오다 그친다는 뜻이다. 가을비를 인체의 부분에 대비한 해학적인 속담으로 가을비는 적게 오므로 걱정하지 말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가을비와 관련된 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신라시대 최치원(崔致遠)의 '추야우중(秋夜雨中)'은 가을비 내리는 밤을 노래한 것인데 "가을바람에 다만 괴로이 시를 짓나니, 세상에는 내 시를 아는 이 적다. 창밖에는 한밤에 비가 내리고, 등불 앞에 도사린 나그네 심사"라고 하여 가을의 바람과 비 그리고 밤의 정서를 표현하기도 했다. 또 정철(鄭澈)은 '산사야우(山寺夜雨)'라는 시에서 "우수수 떨어지는 나뭇잎 소리 성글은 빗방울로 그릇 알고서 중 불러 문 바깥 나가보라 했더니 시냇가 나뭇가지에 달이 걸려 있다네."라는 표현으로 낙엽이 지는 소리를 묘사하기도 했다.[5][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1.0 1.1 〈가을비의 의미〉, 《치과신문》, 2016-10-06
- ↑ 기상청, 〈여름비와 가을비의 차이 - 가을비는 왜 오고나면 추워질까?〉, 《네이버 블로그》, 2017-09-15
- ↑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 《한국세시풍속사전》
- ↑ 〈가을비는 빗자루로도 피한다〉, 《어린이백과》
- ↑ 〈가을비는 내복 한 벌〉, 《어린이백과》
- ↑ 〈가을비는 장인(丈人)의 나룻 밑에서도 긋는다〉, 《한국세시풍속사전》
참고자료[편집]
- 〈가을비〉, 《네이버 국어사전》
-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을비는 빗자루로도 피한다〉, 《어린이백과》
- 〈가을비는 내복 한 벌〉, 《어린이백과》
- 〈가을비는 장인(丈人)의 나룻 밑에서도 긋는다〉, 《한국세시풍속사전》
- 〈가을비의 의미〉, 《치과신문》, 2016-10-06
- 기상청, 〈여름비와 가을비의 차이 - 가을비는 왜 오고나면 추워질까?〉, 《네이버 블로그》, 2017-09-15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