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너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너울'''(swell)은 바다의 크고 사나운 물결을 말한다. == 개요 너울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사납고 큰 물결을 말한다. 풍랑이 바람...)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너울'''(swell)은 [[바다]]의 크고 사나운 [[물결]]을 말한다.
 
'''너울'''(swell)은 [[바다]]의 크고 사나운 [[물결]]을 말한다.
  
== 개요
+
== 개요 ==
 
너울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사납고 큰 물결을 말한다. [[풍랑]]이 [[바람]]이 부는 지역을 벗어나 더 이상 진폭이 발달하지 않고 감쇠해가는 [[파도]]다. 파고가 뾰족한 풍랑에 비해 파고가 둥글며, 파장이 길어 멀리까지 전파된다. 또한, 너울은 풍파(wind wave)가 바람이 멈추거나 바람이 불고 있는 해역을 떠나서 직접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해파(sea wave)를 말한다. 즉, 풍랑이 전파되어 잔잔한 해면이나 해안에 온 경우, 또는 바람이 갑자기 그친 후 파도의 마루가 둥그스름하고 완만하게 변한 해파를 말한다. 너울은 마루(crest)와 골(trough)이 둥그스름하고 사인곡선 모양으로 진행한다. 진행됨에 따라 파고가 낮아지고 파장과 주기는 길어진다.
 
너울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사납고 큰 물결을 말한다. [[풍랑]]이 [[바람]]이 부는 지역을 벗어나 더 이상 진폭이 발달하지 않고 감쇠해가는 [[파도]]다. 파고가 뾰족한 풍랑에 비해 파고가 둥글며, 파장이 길어 멀리까지 전파된다. 또한, 너울은 풍파(wind wave)가 바람이 멈추거나 바람이 불고 있는 해역을 떠나서 직접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해파(sea wave)를 말한다. 즉, 풍랑이 전파되어 잔잔한 해면이나 해안에 온 경우, 또는 바람이 갑자기 그친 후 파도의 마루가 둥그스름하고 완만하게 변한 해파를 말한다. 너울은 마루(crest)와 골(trough)이 둥그스름하고 사인곡선 모양으로 진행한다. 진행됨에 따라 파고가 낮아지고 파장과 주기는 길어진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유의파고는 일정한 시점 동안 관측한 파고 중 높은 파고로부터 1/3 이내의 파도에서 구한 평균 파고(주기 포함)를 가진 규칙파다. 해상에서는 [[해일]]과 너울, 풍랑 등 여러 개의 파고가 중첩이 돼 나타난다. 태풍 등의 중심에서 높은 풍랑에 의한 파고가 우세하면 해안 지역에서의 파도가 높게 나타난다. 위험도를 비교하면 해안에서의 물결은 해일이 가장 크고 너울, 풍랑 순이다. 특별히 태풍이 자주 오는 8~9월엔 이들 물결을 주의해야 한다.<ref>정창현 기자, 〈[http://thegnnews.com/View.aspx?No=2531031 풍랑과 너울 차이]〉, 《더경남뉴스》, 2022-09-11</ref>  
 
유의파고는 일정한 시점 동안 관측한 파고 중 높은 파고로부터 1/3 이내의 파도에서 구한 평균 파고(주기 포함)를 가진 규칙파다. 해상에서는 [[해일]]과 너울, 풍랑 등 여러 개의 파고가 중첩이 돼 나타난다. 태풍 등의 중심에서 높은 풍랑에 의한 파고가 우세하면 해안 지역에서의 파도가 높게 나타난다. 위험도를 비교하면 해안에서의 물결은 해일이 가장 크고 너울, 풍랑 순이다. 특별히 태풍이 자주 오는 8~9월엔 이들 물결을 주의해야 한다.<ref>정창현 기자, 〈[http://thegnnews.com/View.aspx?No=2531031 풍랑과 너울 차이]〉, 《더경남뉴스》, 2022-09-11</ref>  
 +
 +
== 너울과 해일의 차이 ==
 +
'파도'라고 하면 보통 고요한 바다에서 바위에 철썩철썩 부딪히는 소리나, 백사장에 몰려 들어왔다가 빠지는 모습이 연상되지만,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지닌 것이 파도이기도 한다. 우리는 뉴스를 통해 파도로 인해 선박이 전복되기도 하고, 해안가 인근 지역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파도라고 해서 다 같은 파도가 아니다. 날씨 예보를 보면, '너울성 파도가 높게 일겠다', '해일로 높은 파도가 치겠다' 하는데, '너울'과 '해일'은 그 원인도 다르고, 피해의 정도도 다르다.
 +
 +
'''쉽게 눈에 띄지 않지만 고요한 파괴력을 지닌 '너울''''
 +
 +
너울과 해일의 차이점을 알아보기에 앞서, 먼저 풍랑과 너울의 차이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풍랑은 말 그대로 바람 때문에 생기는 파도를 뜻한다면, 너울은 현장의 바람이 아닌 먼 바다의 기상현상이 영향을 주며 만들어진 파도라 할 수 있다. 즉, 국부적인 저기압이나 태풍 중심 등 기상현상에 의해 해면이 상승하면서 만들어진 큰 물결을 너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발생 원인 자체부터가 다른 풍랑과 너울은 모양도 다르다. 풍랑은 대체로 파도와 파도 사이의 간격이 짧고, 파도의 꼭대기가 뾰족하며 불규칙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너울은 파도 사이의 간격이 길고 파도의 꼭대기가 둥그스름하며 규칙적으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 너울은 풍랑보다 주기가 훨씬 길어 전파력도 큰 편인데, 너울이 일기 시작하면 그 전파력이 2,000~3,000해리까지 도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전 세계 기상청에서도 가장 예보하기 어렵다고 말하는 게 바로 '너울'이라고 한다. 
 +
 +
너울성 파도는 파도의 폭과 주기가 길어 육안으로 식별하는 게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고(wave height, 波高)도 그리 높지 않아 겉보기엔 잠잠한 듯 보여서 그렇다는데, 하지만 방파제나 해안에 부딪히면 위력이 수십 배 커지게 되는 게 너울이라, 대형 선박을 전복시키기도 하고, 항구 파손과 도로 유실, 인명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실제로 바닷가를 산책하던 한 관광객이 너울성 파도에 휩쓸려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처럼 너울성 파도는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다. 특정 계절과 시기에 관계없이 해변가나 갯바위 부근 그리고 방파제 주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게 너울성 파도다. 그래서 해안가 파도가 조금이라도 높은 날에는 이 주변의 출입을 삼가는 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란다.
 +
 +
'''예측 가능하지만 후폭풍이 무시무시한 '해일''''
 +
 +
너울이 직간접적으로 바람에 일어난 물결이라면, 해일은 폭풍이나 지진, 화산 폭발 등에 의해 바닷물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육지로 넘쳐 들어오는 현상을 한다. 그 원인에 따라 폭풍해일, 지진 해일로 나누기도 한다. 폭풍해일은 태풍이나 저기압의 기압 강하에 따라 해수면이 높아져 피해를 주는 것을 뜻한다면, 지진해일은 해저에서 지진, 해저 화산 폭발, 단층운동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돼 피해를 주는 것을 뜻한다. 이 지진해일은 흔히 쓰나미라고도 부른다. 지진해일의 대표적인 피해 사례로는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서 발생했던 사건을 들 수 있다. 당시 30m가 넘는 높은 파도가 해안을 강타해 23만 명이라는 전대미문의 사망자를 만들어낸 사건이 있었다. 이 해일은 너울과는 달리 어느 정도는 예보가 가능해 사전 대비가 가능했다. 해일 관련 예보가 뜨면,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어업활동은 중단하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둬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ref>해양환경공단, 〈[https://m.blog.naver.com/koempr/220973738288 다 같은 파도가 아니다 … '너울'과 '해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7-04-03</ref>
  
 
== 동영상 ==
 
== 동영상 ==
35번째 줄: 48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6081&cid=40942&categoryId=32300 너울]〉,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6081&cid=40942&categoryId=32300 너울]〉, 《두산백과》
 
* 정창현 기자, 〈[http://thegnnews.com/View.aspx?No=2531031 풍랑과 너울 차이]〉, 《더경남뉴스》, 2022-09-11
 
* 정창현 기자, 〈[http://thegnnews.com/View.aspx?No=2531031 풍랑과 너울 차이]〉, 《더경남뉴스》, 2022-09-11
 +
* 해양환경공단, 〈[https://m.blog.naver.com/koempr/220973738288 다 같은 파도가 아니다 … '너울'과 '해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7-04-0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4년 6월 26일 (수) 17:27 기준 최신판

너울(swell)은 바다의 크고 사나운 물결을 말한다.

개요[편집]

너울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사납고 큰 물결을 말한다. 풍랑바람이 부는 지역을 벗어나 더 이상 진폭이 발달하지 않고 감쇠해가는 파도다. 파고가 뾰족한 풍랑에 비해 파고가 둥글며, 파장이 길어 멀리까지 전파된다. 또한, 너울은 풍파(wind wave)가 바람이 멈추거나 바람이 불고 있는 해역을 떠나서 직접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해파(sea wave)를 말한다. 즉, 풍랑이 전파되어 잔잔한 해면이나 해안에 온 경우, 또는 바람이 갑자기 그친 후 파도의 마루가 둥그스름하고 완만하게 변한 해파를 말한다. 너울은 마루(crest)와 골(trough)이 둥그스름하고 사인곡선 모양으로 진행한다. 진행됨에 따라 파고가 낮아지고 파장과 주기는 길어진다.

바다에 이는 물결을 한자말로는 단순히 '파도(波濤)'라 하지만, 우리말에서는 물결의 세기와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별하여 부른다. '너울'은 물결 중에서 가장 거칠고 사나운 것이다. 바람이 세게 불 때 뱃전이나 방파제 따위에 부딪치면서 하얀 물기둥처럼 솟구쳐 오르다가 물보라를 일으키는 거친 파도를 말한다. 또 그런 물결이 일어나는 것을 '너울(이) 지다', 또는 '너울이 치다'라고 한다. 너울을 줄여서 '놀'이라고도 한다.[1][2][3]

특징[편집]

해파의 종류

너울은 바람에 의해 발생한 풍랑이 바람의 영향권을 벗어나면서, 진폭이 더 이상 발달하지 못하고 점점 감쇠해가는 물결을 말한다. 풍랑과 연안쇄파의 사이에서 관찰된다.

풍랑이 발생역(發生域)인 저기압이나 태풍의 중심 부근을 떠나서 잔잔한 해면이나 해안에 온 경우, 또는 바람이 갑자기 그친 후의 남은 파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너울은 감쇠해 가는 파도이며, 일반적으로 그 장소와는 다른 방향을 가진다. 풍랑과는 달리 너울은 파도의 마루가 둥그스름하고 파도의 산의 폭이 꽤 넓으며 파고가 완만하게 변화하여 잇닿는 파고가 거의 같다. 그러므로 하나의 파도에 주목하면 오랫동안 이를 추적할 수가 있다. 너울은 쇠퇴해 가는 파도이기 때문에 진행함에 따라 파고가 낮아진다.

또 진행하는 데 따라서 파장과 주기가 길어진다. 그 이유는 발생역에서는 파장과 주기에 대해서 넓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으나, 진행함에 따라 장주기의 성분파가 차차 탁월해지기 때문이다. 즉, 발생역에서의 풍랑의 주기는 6∼10초이지만, 2,000∼3,000해리를 진행하면 너울의 주기가 15∼20초로 길어진다. 양적 예보법(量的豫報法)이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 해결되지 않은 점이 있어서 풍랑을 예보하는 것보다 어렵다.[4]

풍랑과 너울 차이[편집]

너울성 파도는 태풍이 잦은 초가을에 기척없이 덮치는 '공포의 파도'로 알려져 있다. 풍랑은 바람이 부는 해상에서 이 바람에 의해 생기는 파도이며, 해풍의 속도, 해풍이 불어온 거리와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바람이 불면 짧은 주기의 표면 파가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 파고가 높아지면서 긴 주기의 파도로 변한다. 반면 너울은 먼 해역에서 발생한 '강한 저기압'이나 '태풍권' 안에서 일어난 풍랑이 발생 지역으로부터 육지의 해면으로 밀려오는 파랑이다. 일반적으로 발생 장소의 바람과 다른 방향으로 분다. 강한 저기압이나 태풍은 중심과 인접 지점 간의 기압차가 커 중심 부근의 바람이 강하고 해상 물결도 높다. 너울의 특징은 해면 멀리서 오기 때문에, 오면서 물결머리가 둥그렇고 긴 파장을 그린다. 해안가에서 너울이 강해진다는 뜻이다. 태풍과 저기압 중심의 높은 파고가 풍랑이며, 풍랑이 발생한 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서 풍랑파가 전달돼 해안으로 이어지면서 너울이 된다.

강한 저기압(태풍 포함)이 아닌 고기압에서는 주변 해역과의 기압차가 크지 않아 너울이 발생하지 않는다. 캄차카반도, 홋카이도 부근 등 한반도 북동쪽으로 강한 저기압이나 태풍이 통과할 때 너울이 자주 발생하며, 통과한 이후에 너울이 오래 유지되거나 2차 너울이 발생한다. ​따라서 태풍이나 풍랑특보가 해제된 이후에도 종종 너울이 발생해 특보가 해제됐다고 안심하면 안 된다. 강한 풍랑은 눈에 보이기에 위험하다며 해안으로 나가지 않지만, 너울이 올 때는 날씨가 화창하고 바람도 잔잔해 위험성을 느끼지 못할 때가 많다. 강한 너울성 파고는 5m를 넘어 방파제 위나 해안도로에 있어도 안심할 수 없으며 특히 해안가에서 낚시를 할 때 주의해야 한다. 대한민국 너울 사고는 해상 면적이 넓은 동해에서 90% 이상 발생한다. 동해상에서는 유의파고(有意波高) 2m 이상, 유의파 주기 8초 이상일 때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

유의파고는 일정한 시점 동안 관측한 파고 중 높은 파고로부터 1/3 이내의 파도에서 구한 평균 파고(주기 포함)를 가진 규칙파다. 해상에서는 해일과 너울, 풍랑 등 여러 개의 파고가 중첩이 돼 나타난다. 태풍 등의 중심에서 높은 풍랑에 의한 파고가 우세하면 해안 지역에서의 파도가 높게 나타난다. 위험도를 비교하면 해안에서의 물결은 해일이 가장 크고 너울, 풍랑 순이다. 특별히 태풍이 자주 오는 8~9월엔 이들 물결을 주의해야 한다.[5]

너울과 해일의 차이[편집]

'파도'라고 하면 보통 고요한 바다에서 바위에 철썩철썩 부딪히는 소리나, 백사장에 몰려 들어왔다가 빠지는 모습이 연상되지만,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지닌 것이 파도이기도 한다. 우리는 뉴스를 통해 파도로 인해 선박이 전복되기도 하고, 해안가 인근 지역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파도라고 해서 다 같은 파도가 아니다. 날씨 예보를 보면, '너울성 파도가 높게 일겠다', '해일로 높은 파도가 치겠다' 하는데, '너울'과 '해일'은 그 원인도 다르고, 피해의 정도도 다르다.

쉽게 눈에 띄지 않지만 고요한 파괴력을 지닌 '너울'

너울과 해일의 차이점을 알아보기에 앞서, 먼저 풍랑과 너울의 차이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풍랑은 말 그대로 바람 때문에 생기는 파도를 뜻한다면, 너울은 현장의 바람이 아닌 먼 바다의 기상현상이 영향을 주며 만들어진 파도라 할 수 있다. 즉, 국부적인 저기압이나 태풍 중심 등 기상현상에 의해 해면이 상승하면서 만들어진 큰 물결을 너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발생 원인 자체부터가 다른 풍랑과 너울은 모양도 다르다. 풍랑은 대체로 파도와 파도 사이의 간격이 짧고, 파도의 꼭대기가 뾰족하며 불규칙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너울은 파도 사이의 간격이 길고 파도의 꼭대기가 둥그스름하며 규칙적으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 너울은 풍랑보다 주기가 훨씬 길어 전파력도 큰 편인데, 너울이 일기 시작하면 그 전파력이 2,000~3,000해리까지 도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전 세계 기상청에서도 가장 예보하기 어렵다고 말하는 게 바로 '너울'이라고 한다.

너울성 파도는 파도의 폭과 주기가 길어 육안으로 식별하는 게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고(wave height, 波高)도 그리 높지 않아 겉보기엔 잠잠한 듯 보여서 그렇다는데, 하지만 방파제나 해안에 부딪히면 위력이 수십 배 커지게 되는 게 너울이라, 대형 선박을 전복시키기도 하고, 항구 파손과 도로 유실, 인명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실제로 바닷가를 산책하던 한 관광객이 너울성 파도에 휩쓸려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처럼 너울성 파도는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다. 특정 계절과 시기에 관계없이 해변가나 갯바위 부근 그리고 방파제 주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게 너울성 파도다. 그래서 해안가 파도가 조금이라도 높은 날에는 이 주변의 출입을 삼가는 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란다.

예측 가능하지만 후폭풍이 무시무시한 '해일'

너울이 직간접적으로 바람에 일어난 물결이라면, 해일은 폭풍이나 지진, 화산 폭발 등에 의해 바닷물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육지로 넘쳐 들어오는 현상을 한다. 그 원인에 따라 폭풍해일, 지진 해일로 나누기도 한다. 폭풍해일은 태풍이나 저기압의 기압 강하에 따라 해수면이 높아져 피해를 주는 것을 뜻한다면, 지진해일은 해저에서 지진, 해저 화산 폭발, 단층운동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돼 피해를 주는 것을 뜻한다. 이 지진해일은 흔히 쓰나미라고도 부른다. 지진해일의 대표적인 피해 사례로는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서 발생했던 사건을 들 수 있다. 당시 30m가 넘는 높은 파도가 해안을 강타해 23만 명이라는 전대미문의 사망자를 만들어낸 사건이 있었다. 이 해일은 너울과는 달리 어느 정도는 예보가 가능해 사전 대비가 가능했다. 해일 관련 예보가 뜨면,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어업활동은 중단하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둬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너울〉, 《위키백과》
  2. 너울〉, 《용어해설》
  3. 너울〉,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4. 너울〉, 《두산백과》
  5. 정창현 기자, 〈풍랑과 너울 차이〉, 《더경남뉴스》, 2022-09-11
  6. 해양환경공단, 〈다 같은 파도가 아니다 … '너울'과 '해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7-04-0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너울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