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의견.png

"트레일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세미 트레일러)
잔글 (풀 트레일러)
50번째 줄: 50번째 줄:
  
 
===풀 트레일러===  
 
===풀 트레일러===  
 +
[[파일:로드트레인.png|썸네일|200픽셀|'''로드 트레인''']]
 +
 
[[풀 트레일러]]는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완전 분리되어있으며, 트랙터 자체도 보디를 가지고 있고, 총 하중을 트레일러만으로 지탱되도록 설계되어 트랙터를 갖춘 트레일러이다. 풀 트레일러의 경우 일반적인 트럭 뒤에 견인 장치로 연결하는 형태인데 곡선 구간이 많은 국내에서는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많이 찾아보기 힘들며, 주로 미국, 캐나다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ref name="나무위키"></ref>
 
[[풀 트레일러]]는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완전 분리되어있으며, 트랙터 자체도 보디를 가지고 있고, 총 하중을 트레일러만으로 지탱되도록 설계되어 트랙터를 갖춘 트레일러이다. 풀 트레일러의 경우 일반적인 트럭 뒤에 견인 장치로 연결하는 형태인데 곡선 구간이 많은 국내에서는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많이 찾아보기 힘들며, 주로 미국, 캐나다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ref name="나무위키"></ref>
[[파일:로드트레인.png|썸네일|200픽셀|'''로드 트레인''']]
 
  
*'''로드 트레인''' - 명칭에서 알 수 있다시피 기차처럼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철도가 발달하지 않았거나, 철도를 가설할 수 없는 환경에서 화물철도의 포지션을 대체하는 운송수단이다. 실제로 초창기 [[로드 트레인]]은 철도망이 미비하던 시절 증기 자동차에 트레일러를 연결했었다. 국내에서는 세미 트레일러 뒤에 풀 트레일러를 달거나 풀 트레일러를 줄줄이 단 로드 트레인을 운행할 수 없다.<ref> 〈[https://namu.wiki/w/%EB%A1%9C%EB%93%9C%20%ED%8A%B8%EB%A0%88%EC%9D%B8 로드 트레인]〉, 《나무위키》 </ref>
+
*'''로드 트레인''' : 명칭에서 알 수 있다시피 기차처럼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철도가 발달하지 않았거나, 철도를 가설할 수 없는 환경에서 화물철도의 포지션을 대체하는 운송수단이다. 실제로 초창기 [[로드 트레인]]은 철도망이 미비하던 시절 증기 자동차에 트레일러를 연결했었다. 국내에서는 세미 트레일러 뒤에 풀 트레일러를 달거나 풀 트레일러를 줄줄이 단 로드 트레인을 운행할 수 없다.<ref> 〈[https://namu.wiki/w/%EB%A1%9C%EB%93%9C%20%ED%8A%B8%EB%A0%88%EC%9D%B8 로드 트레인]〉, 《나무위키》 </ref>
  
 
==제동장치==
 
==제동장치==

2021년 8월 17일 (화) 17:22 판

트레일러(trailer)란 트럭 또는 트랙터의 뒷부분에 견인되는 차, 즉 부수차(附隨車)라는 뜻이다. 동력을 갖지 않고 다른 견인차에 이끌려 화물이나 여객을 운반하는 차이다. 사람 및(또는) 물품을 수송하는 목적을 위하여 설계 및 장비된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을 말한다. 과거 츄레라라고 불렸으며 어르신들은 흔히 그렇게 부르곤 한다.[1]

개요

트레일러는 헤드(트랙터)와 테라(트레일러)로 구분이 가능한데 일반 자동차로 피견인자동차(750kg 이상)를 같이 운전할 경우에는 일반 자동차에 해당하는 면허(1종 대형, 1종 보통, 2종 보통 중 하나)와 1종 특수(대형견인차)나 1종 특수(소형견인차, 견인자동차는 3.5t 이하, 피견인자동차는 3t 이하일 때만) 운전면허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피견인자동차 면허만 취득해도 2종보통(수동)면허에 해당하는 차량이 운전 가능하기 때문. 견인형 특수자동차로 운전할 경우에는 트레일러 부착 여부와 상관없이 1종 특수(대형견인차 또는 소형견인차)면허가 있어야 한다. 법제처 유권해석 하지만 12t 이상의 트럭 등 대형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트랙터로 쓰면 1종 대형면허도 함께 필요하다.[2]

종류

트레일러는 형식 자체는 단순하지만,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조합에 따라 무궁무진한 경우의 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당장 트레일러만 놓고 봐도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평판 트레일러를 비롯해 고중량물 운송에 특화된 저상 트레일러, 적재함을 개조한 카고·덤프·탱크 트레일러 등 특색 있는 차량이 즐비하다.이처럼 갖가지 특색을 갖춘 트레일러는 견인 방식에 따라 ‘풀(Full) 트레일러’와 ‘세미(Semi) 트레일러’로 구분된다. 풀 트레일러는 일반 트럭 뒤에 별도의 견인 장치를 이용해 연결하는 트레일러로 화물의 무게를 트레일러가 단독으로 지지하는 형태, 세미 트레일러는 트랙터 후미에 트레일러의 앞부분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화물의 무게를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나눠서 지지하는 형태다[3]

세미 트레일러

세미 트레일러는 트랙터에 연결한 뒤 화물을 운반하는 트레일러로, 총 하중의 일부분이 견인하는 자동차에 의해서 지탱되도록 설계된 트레일러를 말한다. 1개 혹은 그 이상의 후륜 축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 차량 중량과 적화의 전 중량 중 상당 부분을 연결 장치가 끼워진 세미 트레일러 트랙터에 지탱시키는, 하나 이상의 차축을 갖추고 있다. 세미 트레일러는 조작하기가 비교적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4] 풀 트레일러에 비해 길이가 짧고, 회전 시 트레일러가 트랙터 후미에 맞물려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운전이 용이하다. 폭이 좁고 곡선 주행이 잦은 국내 도로 환경에 적합한 셈이다. 일을 주는 화주 입장에서도 편리하다. 세미 트레일러를 활용하면 별다른 제약 없이 아무 트랙터 운전사에게 운송을 맡길 수 있어 탄력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법규 또한 세미 트레일러 사용에 힘을 싣는다. 국내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연결차는 전체 길이 16.7m를 초과할 수 없다. 세미 트레일러 뒤에 풀 트레일러를 달거나, 풀 트레일러를 줄줄이 잇단 채 운행하는 트럭의 모습을 국내 도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유다.[3]

종류 [5]
스텐션형.png
틸트형.png
스텐션 트레일러 틸트 트레일러
선저형.png
컨테이너형.png
선저 트레일러 컨테이너 트레일러
벤형.png
탱크형.png
벤 트레일러 탱크 트레일러
자동차운반형.png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
  • 스텐션 트레일러 : 스텐션 트레일러는 주로 강재와 원목이나 콘크리트 제품 등의 운반에 사용된다. 플랫 트레일러를 기반으로 앞으로 전 세로 측변에는 정해진 수의 스텐션 와이어 후크를 설치한다. 최대 적재량 및 무게 중심높이에 따라 그 높이와 스텐션의 수가 결정된다.[5]
  • 틸트 트레일러 : 틸트 트레일러는 채널 차라고도 부른다. 묶는 것을 전제로 한 것과 묶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것이 있다. 묶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은 주로 잡화 등의 운반에 사용된다. 바닥의 앞과 측면 후방에는 문처럼 열리도록 되어 있고 중간 기둥, 와이어 후크를 설치한다. 묶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것은 주로 스크랩 운반에 사용된다. 바닥의 4면이 사각 파이프를 층층이 쌓거나 또는 고장력 강판을 사용하여 상자 모양으로 한다.[5]
  • 선저 트레일러 : 선저 트레일러(Ship's bottom-type semi-trailer)는 플랫 트레일러를 기반으로 바닥 중앙을 적하가 안정되도록 중앙을 배 밑바닥 모양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코일 등의 원통형 화물 운송에 사용된다.[5]
  • 컨테이너 트레일러 : 컨테이너 트레일러는 주로 해상 컨테이너의 운반에 사용된다. 컨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해 섀시 프레임의 모서리에 트위스트 잠금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해상 컨테이너 수송은 20ft 컨테이너 전용 단척 자동차와 40ft 컨테이너의 긴 차가 있다. 후자의 가운데는 20ft 컨테이너 1개 쓸 쌓아도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5]
  • 벤 트레일러 : 벤 트레일러는 가장 기본적인 상형 사양의 트레일러이다. 크게 측면이 크게 위쪽으로 열리는 윙바디 타입과 후면, 측면에 문이 열리는 방형으로 나뉜다. 냉동 냉장 사양 트레일러는 후자의 형태가 많다. 해상 컨테이너 트레일러를 개조한 트레일러로 사용하는 예도 있다.[5]
  • 탱크 트레일러 : 탱크 트레일러는 액체 연료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소위 탱크와 분립체 운반에 사용되는 벌크 차량이라는 유형이다.[5]
  •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 : 자동차 운반에 사용된다. 이른바 자동차 전용 세미 트레일러다. 하나라도 더 운반할 수 있도록 트랙터 측에 적재할 수 있는 것도 있다.[5]

풀 트레일러

로드 트레인

풀 트레일러는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완전 분리되어있으며, 트랙터 자체도 보디를 가지고 있고, 총 하중을 트레일러만으로 지탱되도록 설계되어 트랙터를 갖춘 트레일러이다. 풀 트레일러의 경우 일반적인 트럭 뒤에 견인 장치로 연결하는 형태인데 곡선 구간이 많은 국내에서는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많이 찾아보기 힘들며, 주로 미국, 캐나다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2]

  • 로드 트레인 : 명칭에서 알 수 있다시피 기차처럼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철도가 발달하지 않았거나, 철도를 가설할 수 없는 환경에서 화물철도의 포지션을 대체하는 운송수단이다. 실제로 초창기 로드 트레인은 철도망이 미비하던 시절 증기 자동차에 트레일러를 연결했었다. 국내에서는 세미 트레일러 뒤에 풀 트레일러를 달거나 풀 트레일러를 줄줄이 단 로드 트레인을 운행할 수 없다.[6]

제동장치

대부분 트레일러는 선회 시 트레일러가 견인 차량을 따라오지 못하고 관성을 따라 선회방향 바깥으로 진행하여 견인 차량 후미가 미끄러지면서 연결 부위가 급격히 꺽이는 잭나이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 차량과 별도로 제동장치를 달고 있다. 경량 트레일러는 국내 법상 장착하지 않아도 되며 그래서 달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동장치가 있으면 견인차량에 부담이 덜 가며 트레일러 전용 주차 브레이크를 장착할 수 있다. [1]

  • 관성 제동장치 : 트레일러 연결 부위에 고무 주름관이 씌여져 있다면 이쪽 부류이다. 주름관 속에는 유압 실린더가 있고, 이것이 제동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견인 차량제동 시 트레일러가 앞으로 쏠리면서 실린더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때 실린더에서 유압이 생성되면서 제동을 잡는 구조다.[1]
  • 전기식 제동장치 : 견인차량에 마스터 장치를 달고, 마스터 장치에서 제동신호를 받아 트레일러의 전기장치가 제동을 잡는 구조. 미국식 소형 트레일러에 많이 보인다.[1]
  • 공압식 제동장치 : 견인 차량의 공기제동 시스템이 트레일러의 제동 장치를 같이 잡는 구조. 대형 트레일러는 이 구조이며 견인 차량에도 연결 부위가 마련되어 있다.[1]

전망

수소 튜브트레일러

국내 수소 튜브트레일러(카트리지) 시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수소 충전소와 수소 생산기지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수소 운송에 필요한 튜브 트레일러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소 튜브트레일러의 압력·용적 기준 제한 완화[200bar→350bar/150L(복합재료용기)→2020년 450bar/450L(복합재료용기)→2024년까지 700bar/1,400L] 및 경량화(40톤→20톤) 관련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소 튜브트레일러의 압력·용적 기준 제한이 완화되면 대량의 수소 운송이 가능해진다. 또 경량화되면 서울 시내 같은 도심지에 수소 튜브트레일러 진입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신시장을 창출한다. 기존 수소 튜브트레일러 200bar 기준으로 운영돼 왔지만, 압력과 용량이 400bar, 450L이하로 확대됨으로써 이에 맞는 새로운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개발하고 상용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체 간 신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2030년까지 수소생산기지 25개 구축 목표를 세운 한국가스공사는 2022년까지 140대, 2025년까지 100대, 2030년까지 260대를 구매해 총 500대의 수소 튜브트레일러를 운영할 계획이다.[7]

각주

  1. 1.0 1.1 1.2 1.3 1.4 트레일러〉, 《리브레위키》
  2. 2.0 2.1 트레일러〉, 《나무위키》
  3. 3.0 3.1 최양해 기자, 〈고효율·중장거리의 매력 덩어리 트레일러, 적재물에 따라 무한변신〉, 《상용차신문》, 2018-08-24
  4. 트레일러 종류 – 풀 트레일러(full trailer), 세미 트레일러 (Semi-Trailer)〉, 《트레드링스》, 2021-05-31
  5. 5.0 5.1 5.2 5.3 5.4 5.5 5.6 5.7 kmozzart, 〈세미 트레일러(Semi-trailer)〉, 《다음 블로그》, 2018-02-03
  6. 로드 트레인〉, 《나무위키》
  7. 이종수 기자, 〈수소 튜브트레일러 시장 변화②기업들, 시장 진출 열기 뜨겁다〉, 《월간수소경제》, 2020-06-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의견.png 이 트레일러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