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소형택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역사==
 
==역사==
 
서울시가 1988년까지 [[소형차|소형]]·[[중형차|중형]]으로 나눠져 있던 요금체계를 [[일반택시]]와 [[모범택시]]로 고치면서 소형택시가 1992년부터 서울 도로에서 사라졌다. 이후 소형택시는 일반 [[중형택시]]로 분류돼 중형택시와 똑같은 요금을 받았다.<ref>강병철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6846415#home 19년만에 부활 소형택시, 트렁크를 열었는데!]〉, 《중앙일보》, 2011-12-08</ref> 2011년 12월 3일, 소형택시가 23년만에 부활해 첫 운행에 들어갔다. 1,600cc 이하 [[차종]]을 소형택시로 분류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2009년 12월 통과된 후 2년간의 유예기간이 끝남에 따라 소형택시의 요금 체계가 바뀌게 되었다. 당시 기본요금은 2,100원으로, 이 금액은 당시 보통의 택시보다 15% 저렴한 요금으로 단거리를 이용하는 승객을 위한 소형택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ref>조재휘 기자, 〈[https://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267 (10년 전 오늘) 서울 소형택시 23년 만에 부활해 운행 시작...기본요금 2100원]〉, 《시선뉴스》, 2011-12-03</ref> 하지만 일반택시보다 요금이 싼 소형택시 확대 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택시업체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았고,<ref>기성훈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3090914184079336 기본요금 2100원 소형택시 왜 없나 봤더니...]〉, 《머니투데이》, 2013-09-10</ref> 결국 소형택시 도입 2년 만에 서울시는 운행 중인 소형택시를 중형택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였다. 인기를 끌 것이라 기대했던 나홀로 승객 마저도 기존 차량과 비교해 좁은 내부 등으로 외면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중형급 대비 30% 가량 [[연비]]가 절감된다는 예측도 장기적으로 손님이 뚝 끊기면서 실효성 측면을 따져보면 의미가 적었다.<ref>최보윤 기자,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7/19/2013071901505.html (Why) (알랑가 몰라) 소형택시야 어딨니]〉, 《조선일보》, 2013-07-20</ref> 소형택시비 원가의 상당수(약 60%)를 인건비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운영비는 단순 연비 절감은 별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가 [[보조금]] 지원 혜택은 커녕 2013년 10월 중형택시 기본료를 600원 올리면서도 소형의 경우 동결시켜, 해당 업체의 반발이 가중됐다.<ref>노유진 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010813 일반 택시보다 요금 싼 '소형택시' 퇴출 위기]〉, 《SBS 뉴스》, 2013-10-03</ref> 이처럼 주요 수요자층과 더불어 운수 종사자들의 시큰둥한 반응으로 도입 1년만에 그 대수는 절반 이하까지 줄었고 2년 뒤 없어지게 됐다. 그러자 일각에서는 소형택시가 실패한 제도란 지적이 나왔다. 승객 선택의 폭만을 넓힌다는 취지로 대시민 홍보는 물론이고 통보부터 시행까지 불과 수 개월에 모든 절차를 마쳤다. 다시 말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ref>강승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50802112404879 서울시 소형택시 도입 2년여 만에 슬그머니 사라져...왜(?)]〉, 《아주경제》, 2015-08-02</ref>
 
서울시가 1988년까지 [[소형차|소형]]·[[중형차|중형]]으로 나눠져 있던 요금체계를 [[일반택시]]와 [[모범택시]]로 고치면서 소형택시가 1992년부터 서울 도로에서 사라졌다. 이후 소형택시는 일반 [[중형택시]]로 분류돼 중형택시와 똑같은 요금을 받았다.<ref>강병철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6846415#home 19년만에 부활 소형택시, 트렁크를 열었는데!]〉, 《중앙일보》, 2011-12-08</ref> 2011년 12월 3일, 소형택시가 23년만에 부활해 첫 운행에 들어갔다. 1,600cc 이하 [[차종]]을 소형택시로 분류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2009년 12월 통과된 후 2년간의 유예기간이 끝남에 따라 소형택시의 요금 체계가 바뀌게 되었다. 당시 기본요금은 2,100원으로, 이 금액은 당시 보통의 택시보다 15% 저렴한 요금으로 단거리를 이용하는 승객을 위한 소형택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ref>조재휘 기자, 〈[https://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267 (10년 전 오늘) 서울 소형택시 23년 만에 부활해 운행 시작...기본요금 2100원]〉, 《시선뉴스》, 2011-12-03</ref> 하지만 일반택시보다 요금이 싼 소형택시 확대 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택시업체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았고,<ref>기성훈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3090914184079336 기본요금 2100원 소형택시 왜 없나 봤더니...]〉, 《머니투데이》, 2013-09-10</ref> 결국 소형택시 도입 2년 만에 서울시는 운행 중인 소형택시를 중형택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였다. 인기를 끌 것이라 기대했던 나홀로 승객 마저도 기존 차량과 비교해 좁은 내부 등으로 외면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중형급 대비 30% 가량 [[연비]]가 절감된다는 예측도 장기적으로 손님이 뚝 끊기면서 실효성 측면을 따져보면 의미가 적었다.<ref>최보윤 기자,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7/19/2013071901505.html (Why) (알랑가 몰라) 소형택시야 어딨니]〉, 《조선일보》, 2013-07-20</ref> 소형택시비 원가의 상당수(약 60%)를 인건비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운영비는 단순 연비 절감은 별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가 [[보조금]] 지원 혜택은 커녕 2013년 10월 중형택시 기본료를 600원 올리면서도 소형의 경우 동결시켜, 해당 업체의 반발이 가중됐다.<ref>노유진 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010813 일반 택시보다 요금 싼 '소형택시' 퇴출 위기]〉, 《SBS 뉴스》, 2013-10-03</ref> 이처럼 주요 수요자층과 더불어 운수 종사자들의 시큰둥한 반응으로 도입 1년만에 그 대수는 절반 이하까지 줄었고 2년 뒤 없어지게 됐다. 그러자 일각에서는 소형택시가 실패한 제도란 지적이 나왔다. 승객 선택의 폭만을 넓힌다는 취지로 대시민 홍보는 물론이고 통보부터 시행까지 불과 수 개월에 모든 절차를 마쳤다. 다시 말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ref>강승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50802112404879 서울시 소형택시 도입 2년여 만에 슬그머니 사라져...왜(?)]〉, 《아주경제》, 2015-08-02</ref>
 +
 +
==구분==
 +
택시운송사업은 운행하는 자동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형, 소형, 중형, 대형, 모범형 및 고급형으로 구분된다.
 +
:{|class=wikitable width=700
 +
|+택시운송사업의 종류<ref>〈[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749&ccfNo=1&cciNo=1&cnpClsNo=1 개인택시운전 이해하기]〉,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ref>
 +
!align=center|경형
 +
|align=light|
 +
* 배기량 1,000CC 미만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길이 3.6m 이하이면서 너비 1.6m 이하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
!align=center|소형
 +
|align=light|
 +
* 배기량 1,600CC 미만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길이 4.7m 이하이면서 너비 1.7m 이하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
!align=center|중형
 +
|align=light|
 +
* 배기량 1,6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길이 4.7m 초과이면서 너비 1.7m를 초과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
!align=center|대형
 +
|align=light|
 +
* 배기량 2,000CC 이상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6인승 이상 10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 배기량 2,000CC 이상이고 승차정원이 13인승 이하인 승합자동차
 +
|-
 +
!align=center|모범형
 +
|align=light|
 +
* 배기량 1,9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를 사용하는 택시운송사업
 +
|-
 +
!align=center|고급형
 +
|align=light|
 +
* 배기량 2,8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를 사용하는 택시운송사업
 +
|}
  
 
{{각주}}
 
{{각주}}

2022년 2월 16일 (수) 10:46 판

소형택시배기량 1000~1600cc 규모 차량의 택시이다. 2011년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높이겠다며 서울에 전격 도입되었으나 협소한 실내 공간 및 수익성 저하 등 이용객과 업계 불만이 쌓이면서 운행 중단으로 이어졌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역사

서울시가 1988년까지 소형·중형으로 나눠져 있던 요금체계를 일반택시모범택시로 고치면서 소형택시가 1992년부터 서울 도로에서 사라졌다. 이후 소형택시는 일반 중형택시로 분류돼 중형택시와 똑같은 요금을 받았다.[1] 2011년 12월 3일, 소형택시가 23년만에 부활해 첫 운행에 들어갔다. 1,600cc 이하 차종을 소형택시로 분류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2009년 12월 통과된 후 2년간의 유예기간이 끝남에 따라 소형택시의 요금 체계가 바뀌게 되었다. 당시 기본요금은 2,100원으로, 이 금액은 당시 보통의 택시보다 15% 저렴한 요금으로 단거리를 이용하는 승객을 위한 소형택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2] 하지만 일반택시보다 요금이 싼 소형택시 확대 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택시업체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았고,[3] 결국 소형택시 도입 2년 만에 서울시는 운행 중인 소형택시를 중형택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였다. 인기를 끌 것이라 기대했던 나홀로 승객 마저도 기존 차량과 비교해 좁은 내부 등으로 외면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중형급 대비 30% 가량 연비가 절감된다는 예측도 장기적으로 손님이 뚝 끊기면서 실효성 측면을 따져보면 의미가 적었다.[4] 소형택시비 원가의 상당수(약 60%)를 인건비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운영비는 단순 연비 절감은 별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가 보조금 지원 혜택은 커녕 2013년 10월 중형택시 기본료를 600원 올리면서도 소형의 경우 동결시켜, 해당 업체의 반발이 가중됐다.[5] 이처럼 주요 수요자층과 더불어 운수 종사자들의 시큰둥한 반응으로 도입 1년만에 그 대수는 절반 이하까지 줄었고 2년 뒤 없어지게 됐다. 그러자 일각에서는 소형택시가 실패한 제도란 지적이 나왔다. 승객 선택의 폭만을 넓힌다는 취지로 대시민 홍보는 물론이고 통보부터 시행까지 불과 수 개월에 모든 절차를 마쳤다. 다시 말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6]

구분

택시운송사업은 운행하는 자동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형, 소형, 중형, 대형, 모범형 및 고급형으로 구분된다.

택시운송사업의 종류[7]
경형
  • 배기량 1,000CC 미만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길이 3.6m 이하이면서 너비 1.6m 이하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소형
  • 배기량 1,600CC 미만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길이 4.7m 이하이면서 너비 1.7m 이하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중형
  • 배기량 1,6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길이 4.7m 초과이면서 너비 1.7m를 초과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대형
  • 배기량 2,000CC 이상인 승용자동차(승차정원 6인승 이상 10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
  • 배기량 2,000CC 이상이고 승차정원이 13인승 이하인 승합자동차
모범형
  • 배기량 1,9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승차정원 5인승 이하의 것만 해당)를 사용하는 택시운송사업
고급형
  • 배기량 2,800CC 이상의 승용자동차를 사용하는 택시운송사업

각주

  1. 강병철 기자, 〈19년만에 부활 소형택시, 트렁크를 열었는데!〉, 《중앙일보》, 2011-12-08
  2. 조재휘 기자, 〈(10년 전 오늘) 서울 소형택시 23년 만에 부활해 운행 시작...기본요금 2100원〉, 《시선뉴스》, 2011-12-03
  3. 기성훈 기자, 〈기본요금 2100원 소형택시 왜 없나 봤더니...〉, 《머니투데이》, 2013-09-10
  4. 최보윤 기자, 〈(Why) (알랑가 몰라) 소형택시야 어딨니〉, 《조선일보》, 2013-07-20
  5. 노유진 기자, 〈일반 택시보다 요금 싼 '소형택시' 퇴출 위기〉, 《SBS 뉴스》, 2013-10-03
  6. 강승훈 기자, 〈서울시 소형택시 도입 2년여 만에 슬그머니 사라져...왜(?)〉, 《아주경제》, 2015-08-02
  7. 개인택시운전 이해하기〉,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소형택시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