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헝가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헝가리'''(헝가리어: Magyarország, 영어: Hungary)는 중앙쥬럽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쪽으로는 ...)
 
잔글 (같이 보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헝가리'''(헝가리어: Magyarország, 영어: Hungary)는 [[중앙쥬럽]]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쪽으로는 [[슬로바키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루마니아]], 남쪽으로는 [[세르비아]], 남서쪽으로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비셰그라드 그룹의 일원이자, [[유럽 연합]]의 정회원국이다.  
+
{{동유럽 위치 지도}}
 +
[[파일:헝가리 국기.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헝가리''' 국기]]
 +
 
 +
'''헝가리'''(헝가리어: Magyarország, 영어: Hungary)는 [[중앙유럽]]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쪽으로는 [[슬로바키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루마니아]], 남쪽으로는 [[세르비아]], 남서쪽으로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비셰그라드 그룹]]<ref>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C%85%B0%EA%B7%B8%EB%9D%BC%EB%93%9C_%EA%B7%B8%EB%A3%B9 비셰그라드 그룹]〉, 《위키백과》 </ref>의 일원이자, [[유럽 연합]]의 정회원국이다.  
  
 
== 개요 ==
 
== 개요 ==
[[파일:헝가리 국기.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헝가리''' 국기]]
 
 
* 수도: [[부다페스트]]
 
* 수도: [[부다페스트]]
 
* 면적: 93,030 km2
 
* 면적: 93,030 km2
10번째 줄: 12번째 줄:
 
* 대통령: [[아데르 야노시]]
 
* 대통령: [[아데르 야노시]]
 
* 총리: [[오르반 빅토르]]<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5%B4%EB%B0%98_%EB%B9%85%ED%86%A0%EB%A5%B4 오르반 빅토르]〉, 《위키백과》 </ref>
 
* 총리: [[오르반 빅토르]]<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5%B4%EB%B0%98_%EB%B9%85%ED%86%A0%EB%A5%B4 오르반 빅토르]〉, 《위키백과》 </ref>
 
== 지도 ==
 
{{지도|헝가리}}
 
  
 
== 역사 ==
 
== 역사 ==
52번째 줄: 51번째 줄:
  
 
또 헝가리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이것은 언어적으로는 영어로의, 경제적으로는 독일로의 급속한 편입을 막기 위한 측면도 있다. 영어는 상용어나 제2언어 등으로 구사자가 소수 사용한다.
 
또 헝가리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이것은 언어적으로는 영어로의, 경제적으로는 독일로의 급속한 편입을 막기 위한 측면도 있다. 영어는 상용어나 제2언어 등으로 구사자가 소수 사용한다.
 
{{각주}}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D%97%9D%EA%B0%80%EB%A6%AC 헝가리아헝가리'''(헝가리어: Magyarország, 영어: Hungary)는 [[중앙쥬럽]]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쪽으로는 [[슬로바키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루마니아]], 남쪽으로는 [[세르비아]], 남서쪽으로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비셰그라드 그룹의 일원이자, [[유럽 연합]]의 정회원국이다.
 
 
== 개요 ==
 
[[파일:헝가리 국기.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헝가리''' 국기]]
 
* 수도: [[부다페스트]]
 
* 면적: 93,030 km2
 
* 인구: 9,798,000명 (2017년1월)
 
* 공용어: 헝가리어
 
* 정치체제: 공화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 대통령: [[아데르 야노시]]
 
* 총리: [[오르반 빅토르]]<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5%B4%EB%B0%98_%EB%B9%85%ED%86%A0%EB%A5%B4 오르반 빅토르]〉, 《위키백과》 </ref>
 
  
 
== 지도 ==
 
== 지도 ==
 +
{{헝가리 행정 지도|800}}
 
{{지도|헝가리}}
 
{{지도|헝가리}}
 
+
{{다단2
== 역사 ==
+
|{{벌러톤호 행정 지도}}
헝가리의 국토는 헝가리 평원이라 불리는 광대한 평원을 중심으로 하여, 예부터 다양한 민족이 침입하여 정착하여 왔다. 고대에는 판노니아라 불리고, 판노니아족 등이 거주하였다.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에 점령되어, 속주 일리리쿰에 편입되었다가, 1세기 중엽 속주 판노니아로 분할되었다.
+
|{{중앙유럽 국가 지도}}
 
+
}}
헝가리인이 10세기 말 [[헝가리 왕국]]을 수립하여, 14세기부터 15세기경에는 주변의 여러 왕국과 동군 연합을 맺고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을 때까지는 중앙 유럽의 강국으로 군림하였다. 헝가리는 15세기 후반까지 오스만 제국의 강력한 압력을 받게 되었다. 1526년에 헝가리는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 패배하여, 국왕 러요시 2세가 전사하였다. 1541년에 부다가 함락되어, 그 결과 동남부와 중부의 3분의 2를 오스만 제국(오스만 제국령 헝가리), 북서부의 3분의 1을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에 의하여 분할 지배되어(왕령 헝가리), 양 제국이 충돌하여 만나는 최전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군사적으로 후퇴하자, 1699년에 체결된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헝가리 및 헝가리 국왕령의 크로아티아와 트란실바니아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었다.
+
{{다단2
 
+
|{{동유럽 국가 지도}}
헝가리 측에서는 지배자가 합스부르크 왕가로 변한 것일 뿐, 꾸준히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반복되었다. 1848년 3월 혁명에서는 [[코슈트 러요시]]가 지도한 독립운동은 러시아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였으나, 오스트리아에 민족독립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타협을 결단케하여, 1867년에 아우스글라이히(화협)가 맺어졌다. 이렇게 하여,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왕국에서 이중군주로서 군림하였으나, 양국은 외교 등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정부를 가지고 연합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에 헝가리는 제국으로부터 분리독립(1918년)하면서 공화국이 되었다. 1918년에 헝가리 최초의 공화제국가인 헝가리민주공화국이 성립하여, 사회민주당계의 카로이 미하이(Károlyi Mihály)가 초대 대통령 및 수상을 맡았다. 1920년에 체결된 트리아농 조약에 의해, 헝가리는 트란실바니아 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시대의 왕국령 가운데, 면적의 72%, 인구의 64%를 잃고, 헝가리인의 전인구 중 반 수 가량이 헝가리 국외로 남겨지게 되었다. 합스부르크가를 대신하는 왕이 선출되지 않음에 따라, 1920년 3월 1일 호르티 미클로시가 섭정으로서 통치하는 헝가리 왕국의 성립을 선언하였으나, 영토를 상실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츰 우경화되었다.
+
|{{동유럽 (넓은 범위) 국가 지도}}
 
+
}}
헝가리는 나치 [[독일]]의 후원하에 1930년대 말, 뮌헨 협정과 빈 중재,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등으로 일부 영토를 회복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잃은 땅을 회복하기 위해, 또한 나치 독일의 압박을 받아, 추축국에 가담하였으나, 전쟁의 국면은 서서히 열세가 되어, 1944년에는 호르티는 추축국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였으나, 나치 독일군의 판처파우스트 작전, 화살십자당에 의한 쿠데타로 저지되어, 1945년 5월 8일의 패전까지 추축국으로서 전쟁을 치렀다. 1945년 5월 8일의 패전에 의해 [[소비에트연방]]<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B%A0%A8 소련]〉, 《위키백과》 </ref>
 
에 점령된 헝가리에서는 공산화가 추진되었다. 1946년 2월 1일에 군주제가 폐지되고, 헝가리 왕국은 명실공히 붕괴하였다. 소비에트연방 점령하의 헝가리에서는, 1949년 사회주의공화국을 표방한 헝가리 공화국(제2공화국)이 성립하였다. 1989년 10월 공산당 일당지배체제를 청산하고 자유민주주의로 선회했다.
 
 
 
===헝가리 인민 공화국===
 
1956년 10월 23일 발발한 1956년 헝가리 혁명<ref> 〈[https://ko.wikipedia.org/wiki/1956%EB%85%84_%ED%97%9D%EA%B0%80%EB%A6%AC_%ED%98%81%EB%AA%85 1956년 헝가리 혁명]〉, 《위키백과》 </ref> 이후 10월 24일 수상으로 임명된 임레 너지는 소련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바르샤바 조약 기구 탈퇴와 코메콘 탈퇴를 선언했다. 그러자 소련군이 개입, 독자노선 추구를 이끈 임레 너지를 사형시키고, 반공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하지만 이후 헝가리는 중앙유럽의 민주화를 주도한다. 1980년대 후반이 되자,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공산당(헝가리사회주의노동자당) 독재의 한계가 드러났다. 1980년대 후반의 헝가리 자유민주화운동 결과, 1989년 5월, 헝가리는 서방측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의 "철의 장막"을 구성하던 철조망을 철거하고 국경을 개방하였다. 1989년 8월에는 헝가리 사회주의노동자당이 하야하고, 1989년 10월 23일에는 신헌법(헝가리공화국헌법)의 시행으로, 다당제와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도입하고 국호를 "헝가리 공화국"(Magyar Köztársaság)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헝가리 인민 공화국은 명실 공히 붕괴되었다. 헝가리는 1980년대 말 바르샤바 조약 폐지와 코메콘 폐지도 주도하였다.
 
 
 
===헝가리 공화국===
 
1991년 소련이 해체되자 헝가리는 서유럽 국가들과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하며 1996년에는 [[OECD]],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2004년 5월 1일에는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헝가리 제3공화국의 국기와 국장에는, 공산당 시대의 붉은 별의 문장이 제거되었다. 또한 나치 독일, 화살십자당,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일당 독재에 의한 압제의 반발로서 하켄크로이츠, 화살십자, 낫과 망치, 붉은 별의 사용이 1993년 개정 형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2009년 3월 15일에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선 혁명기념일에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2011년 4월 18일 헝가리 의회에서 새 헌법인 《헝가리 기본법》이 통과되었다. 새 헌법은 2012년 1월 1일을 기해 효력이 발생했으며 정식 국호도 "헝가리 공화국"에서 "헝가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헝가리의 이러한 헌법 개정은 국체의 변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헝가리 공화국의 체제와 자유민주주의를 계승한다. 또한 헝가리는 헝가리 공화국과 동일한 명칭임을 의미한다.
 
 
 
2002년 사회당 출신의 주르차니 페렌츠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8년 뒤인 2010년, 총선에서 피데스가 압승함에 따라 피데스의 당수 오르반 빅토르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 지리 ==
 
헝가리는 [[동남유럽]]에 있다. 남북 길이는 250km, 동서 길이는 524km이다. 2,258km의 국경을 이루며 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남서부로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북쪽에는 [[슬로바키아]]와 국경을 접한다. 국토의 중앙부는 해발 고도 약 100m 전후의 헝가리 분지가 차지하고, 도나우 강 중앙 유역에 위치하는 내륙국이다. 서부에는 중앙유럽 최대의 벌러톤 호(湖)가 있어, 그 남쪽에는 옛 사구열(砂丘列)과 넓은 계곡이 발달되어 있다. 사구간에는 푸스타라고 불리는 스텝이 펼쳐져 있고, 관개로 비옥한 경지를 이루고 있다. 티서 강(Tisza 江) 동쪽에는 비사지(飛砂地)나 저습지가 많다.
 
 
 
가리 국토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기슭에 넓게 펼쳐진 카르파티아 분지의 가운데 평야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헝가리 평원 또는 헝가리 분지라고도 불리는 국토의 중심은 중앙을 흐르는 도나우 강에 의해 거의 양분되어 있다. 동쪽에는 큰 지류인 티사강도 흐르고 있다. 국토의 서부에도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큰 호수인 발라톤호가 있다. 또한 각지에 온천이 용출되어 공중 욕탕이 오래 전부터 건설, 이용되어 왔다. 유럽 유수의 온천 대국이어서, 많은 관광객이 온천을 목적으로 몰려든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에 속하여 비교적 온화하고 사계절도 있다. 중부유럽의 해양성 기후와 러시아 남부의 스텝기후와의 접점(接點)에 있다. 위도가 비교적 높고, 겨울은 춥지만 지중해로부터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받아, 겨울에도 습윤하고 흐린 경향이 있다. 최저 기온인 1월은 평균 영하 1℃이며 심한 경우 영하 20℃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있으며, 최고인 7월은 22℃이다. 연간 평균 기온은 10℃ 전후이다. 연강수량은 500∼700mm로 서부에 약간 많고, 활엽수가 무성한데, 동부에는 초지가 많다.
 
 
 
== 정치 ==
 
헝가리는 의원내각제를 실시한다. 대통령은 임기 5년으로 의회에 의해 선출되며, 수상을 임명하는 등 의례적인 직무를 수행하는 국가 원수이다. 자신이 각료를 선택해서 행정을 행한다. 총리는 4년에 한번씩 총선을 통해 뽑으며 헝가리의 실질적 국정을 운영한다.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8년에 치러졌으며, 현재 총리는 오르반 빅토르이다. 폴란드와 달리 점진적 개혁정책을 수행, 중앙유럽에서 가장 안정적인 민주화과정을 밟고 있다. 대통령의 임기는 의회가 5년마다 선출한다. 총리를 임명하거나, 의회 선거의 날짜를 잡는 것은 대통령의 몫이다. 입법부인 국민의회(Országgyűlés)는 일원제이며, 민선이고 임기 4년이다. 정원은 386명이다. 국민의회는 국가의 최고권위기관이고, 모든 법은 국민의회를 거치지 않고는 성립되지 않는다. 순수한 사법권을 행사하는 최고재판소와는 별도로 헌법재판소가 존재하여, 법률의 합헌성을 심사하고 있다.
 
 
 
== 인구 ==
 
대부분의 민족은 우랄족의 후예인 헝가리인이 거의 대부분이며, 언어도 슬라브어군이나 게르만어군, 로망스어군도 아닌 우랄어족의 언어인, 헝가리어를 거의 대부분 사용한다. 또한, 집시라고 불리는 로마인이 5.3%를 차지한다. 기타 민족(독일인, 루마니아인, 터키인, 슬라브계의 슬로바키아인,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 우크라이나인, 크로아티아인, 유대인)도 거주한다. 부다페스트에는 화교도 거주한다.
 
 
 
공용어는 헝가리어다. 소수민족의 거의 대부분도 헝가리어를 말하여, 헝가리어 인구는 98%에 이른다. 지식인들은 러시아어, 영어, 독일어를 구사하며,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국가의 공용어인 헝가리어를 사용한다. 독일어, 영어는 소수가 사용하며, 제2언어등으로 사용한다.
 
 
 
또 헝가리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이것은 언어적으로는 영어로의, 경제적으로는 독일로의 급속한 편입을 막기 위한 측면도 있다. 영어는 상용어나 제2언어 등으로 구사자가 소수 사용한다.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D%97%9D%EA%B0%80%EB%A6%AC 헝가리아]〉,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D%97%9D%EA%B0%80%EB%A6%AC 헝가리]〉, 《위키백과》
 
* 〈[https://baike.baidu.com/item/%E5%8C%88%E7%89%99%E5%88%A9/191888?fr=aladdin 匈牙利]〉, 《百度百科》
 
* 〈[https://baike.baidu.com/item/%E5%8C%88%E7%89%99%E5%88%A9/191888?fr=aladdin 匈牙利]〉, 《百度百科》
  
119번째 줄: 72번째 줄:
 
* [[부다페스트]]
 
* [[부다페스트]]
 
* [[중앙유럽]]
 
* [[중앙유럽]]
 +
* [[동유럽]]
 +
 +
{{:동유럽 같이 보기}}
  
{{국가|토막글}}
+
{{국가|검토 필요}}
 +
[[분류:중앙유럽]]
 +
[[분류:동유럽]]

2023년 10월 21일 (토) 23:29 기준 최신판

헝가리 국기

헝가리(헝가리어: Magyarország, 영어: Hungary)는 중앙유럽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쪽으로는 슬로바키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루마니아, 남쪽으로는 세르비아, 남서쪽으로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비셰그라드 그룹[1]의 일원이자, 유럽 연합의 정회원국이다.

개요[편집]

역사[편집]

헝가리의 국토는 헝가리 평원이라 불리는 광대한 평원을 중심으로 하여, 예부터 다양한 민족이 침입하여 정착하여 왔다. 고대에는 판노니아라 불리고, 판노니아족 등이 거주하였다.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에 점령되어, 속주 일리리쿰에 편입되었다가, 1세기 중엽 속주 판노니아로 분할되었다.

헝가리인이 10세기 말 헝가리 왕국을 수립하여, 14세기부터 15세기경에는 주변의 여러 왕국과 동군 연합을 맺고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받을 때까지는 중앙 유럽의 강국으로 군림하였다. 헝가리는 15세기 후반까지 오스만 제국의 강력한 압력을 받게 되었다. 1526년에 헝가리는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 패배하여, 국왕 러요시 2세가 전사하였다. 1541년에 부다가 함락되어, 그 결과 동남부와 중부의 3분의 2를 오스만 제국(오스만 제국령 헝가리), 북서부의 3분의 1을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에 의하여 분할 지배되어(왕령 헝가리), 양 제국이 충돌하여 만나는 최전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군사적으로 후퇴하자, 1699년에 체결된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헝가리 및 헝가리 국왕령의 크로아티아와 트란실바니아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었다.

헝가리 측에서는 지배자가 합스부르크 왕가로 변한 것일 뿐, 꾸준히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반복되었다. 1848년 3월 혁명에서는 코슈트 러요시가 지도한 독립운동은 러시아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였으나, 오스트리아에 민족독립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타협을 결단케하여, 1867년에 아우스글라이히(화협)가 맺어졌다. 이렇게 하여,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왕국에서 이중군주로서 군림하였으나, 양국은 외교 등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정부를 가지고 연합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에 헝가리는 제국으로부터 분리독립(1918년)하면서 공화국이 되었다. 1918년에 헝가리 최초의 공화제국가인 헝가리민주공화국이 성립하여, 사회민주당계의 카로이 미하이(Károlyi Mihály)가 초대 대통령 및 수상을 맡았다. 1920년에 체결된 트리아농 조약에 의해, 헝가리는 트란실바니아 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시대의 왕국령 가운데, 면적의 72%, 인구의 64%를 잃고, 헝가리인의 전인구 중 반 수 가량이 헝가리 국외로 남겨지게 되었다. 합스부르크가를 대신하는 왕이 선출되지 않음에 따라, 1920년 3월 1일 호르티 미클로시가 섭정으로서 통치하는 헝가리 왕국의 성립을 선언하였으나, 영토를 상실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츰 우경화되었다.

헝가리는 나치 독일의 후원하에 1930년대 말, 뮌헨 협정과 빈 중재,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등으로 일부 영토를 회복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잃은 땅을 회복하기 위해, 또한 나치 독일의 압박을 받아, 추축국에 가담하였으나, 전쟁의 국면은 서서히 열세가 되어, 1944년에는 호르티는 추축국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였으나, 나치 독일군의 판처파우스트 작전, 화살십자당에 의한 쿠데타로 저지되어, 1945년 5월 8일의 패전까지 추축국으로서 전쟁을 치렀다. 1945년 5월 8일의 패전에 의해 소비에트연방[3] 에 점령된 헝가리에서는 공산화가 추진되었다. 1946년 2월 1일에 군주제가 폐지되고, 헝가리 왕국은 명실공히 붕괴하였다. 소비에트연방 점령하의 헝가리에서는, 1949년 사회주의공화국을 표방한 헝가리 공화국(제2공화국)이 성립하였다. 1989년 10월 공산당 일당지배체제를 청산하고 자유민주주의로 선회했다.

헝가리 인민 공화국[편집]

1956년 10월 23일 발발한 1956년 헝가리 혁명[4] 이후 10월 24일 수상으로 임명된 임레 너지는 소련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바르샤바 조약 기구 탈퇴와 코메콘 탈퇴를 선언했다. 그러자 소련군이 개입, 독자노선 추구를 이끈 임레 너지를 사형시키고, 반공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하지만 이후 헝가리는 중앙유럽의 민주화를 주도한다. 1980년대 후반이 되자,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공산당(헝가리사회주의노동자당) 독재의 한계가 드러났다. 1980년대 후반의 헝가리 자유민주화운동 결과, 1989년 5월, 헝가리는 서방측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의 "철의 장막"을 구성하던 철조망을 철거하고 국경을 개방하였다. 1989년 8월에는 헝가리 사회주의노동자당이 하야하고, 1989년 10월 23일에는 신헌법(헝가리공화국헌법)의 시행으로, 다당제와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도입하고 국호를 "헝가리 공화국"(Magyar Köztársaság)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헝가리 인민 공화국은 명실 공히 붕괴되었다. 헝가리는 1980년대 말 바르샤바 조약 폐지와 코메콘 폐지도 주도하였다.

헝가리 공화국[편집]

1991년 소련이 해체되자 헝가리는 서유럽 국가들과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하며 1996년에는 OECD,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2004년 5월 1일에는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헝가리 제3공화국의 국기와 국장에는, 공산당 시대의 붉은 별의 문장이 제거되었다. 또한 나치 독일, 화살십자당,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일당 독재에 의한 압제의 반발로서 하켄크로이츠, 화살십자, 낫과 망치, 붉은 별의 사용이 1993년 개정 형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2009년 3월 15일에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선 혁명기념일에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2011년 4월 18일 헝가리 의회에서 새 헌법인 《헝가리 기본법》이 통과되었다. 새 헌법은 2012년 1월 1일을 기해 효력이 발생했으며 정식 국호도 "헝가리 공화국"에서 "헝가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헝가리의 이러한 헌법 개정은 국체의 변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헝가리 공화국의 체제와 자유민주주의를 계승한다. 또한 헝가리는 헝가리 공화국과 동일한 명칭임을 의미한다.

2002년 사회당 출신의 주르차니 페렌츠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8년 뒤인 2010년, 총선에서 피데스가 압승함에 따라 피데스의 당수 오르반 빅토르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지리[편집]

헝가리는 동남유럽에 있다. 남북 길이는 250km, 동서 길이는 524km이다. 2,258km의 국경을 이루며 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남서부로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북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북쪽에는 슬로바키아와 국경을 접한다. 국토의 중앙부는 해발 고도 약 100m 전후의 헝가리 분지가 차지하고, 도나우 강 중앙 유역에 위치하는 내륙국이다. 서부에는 중앙유럽 최대의 벌러톤 호(湖)가 있어, 그 남쪽에는 옛 사구열(砂丘列)과 넓은 계곡이 발달되어 있다. 사구간에는 푸스타라고 불리는 스텝이 펼쳐져 있고, 관개로 비옥한 경지를 이루고 있다. 티서 강(Tisza 江) 동쪽에는 비사지(飛砂地)나 저습지가 많다.

가리 국토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기슭에 넓게 펼쳐진 카르파티아 분지의 가운데 평야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헝가리 평원 또는 헝가리 분지라고도 불리는 국토의 중심은 중앙을 흐르는 도나우 강에 의해 거의 양분되어 있다. 동쪽에는 큰 지류인 티사강도 흐르고 있다. 국토의 서부에도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큰 호수인 발라톤호가 있다. 또한 각지에 온천이 용출되어 공중 욕탕이 오래 전부터 건설, 이용되어 왔다. 유럽 유수의 온천 대국이어서, 많은 관광객이 온천을 목적으로 몰려든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에 속하여 비교적 온화하고 사계절도 있다. 중부유럽의 해양성 기후와 러시아 남부의 스텝기후와의 접점(接點)에 있다. 위도가 비교적 높고, 겨울은 춥지만 지중해로부터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받아, 겨울에도 습윤하고 흐린 경향이 있다. 최저 기온인 1월은 평균 영하 1℃이며 심한 경우 영하 20℃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있으며, 최고인 7월은 22℃이다. 연간 평균 기온은 10℃ 전후이다. 연강수량은 500∼700mm로 서부에 약간 많고, 활엽수가 무성한데, 동부에는 초지가 많다.

정치[편집]

헝가리는 의원내각제를 실시한다. 대통령은 임기 5년으로 의회에 의해 선출되며, 수상을 임명하는 등 의례적인 직무를 수행하는 국가 원수이다. 자신이 각료를 선택해서 행정을 행한다. 총리는 4년에 한번씩 총선을 통해 뽑으며 헝가리의 실질적 국정을 운영한다.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8년에 치러졌으며, 현재 총리는 오르반 빅토르이다. 폴란드와 달리 점진적 개혁정책을 수행, 중앙유럽에서 가장 안정적인 민주화과정을 밟고 있다. 대통령의 임기는 의회가 5년마다 선출한다. 총리를 임명하거나, 의회 선거의 날짜를 잡는 것은 대통령의 몫이다. 입법부인 국민의회(Országgyűlés)는 일원제이며, 민선이고 임기 4년이다. 정원은 386명이다. 국민의회는 국가의 최고권위기관이고, 모든 법은 국민의회를 거치지 않고는 성립되지 않는다. 순수한 사법권을 행사하는 최고재판소와는 별도로 헌법재판소가 존재하여, 법률의 합헌성을 심사하고 있다.

인구[편집]

대부분의 민족은 우랄족의 후예인 헝가리인이 거의 대부분이며, 언어도 슬라브어군이나 게르만어군, 로망스어군도 아닌 우랄어족의 언어인, 헝가리어를 거의 대부분 사용한다. 또한, 집시라고 불리는 로마인이 5.3%를 차지한다. 기타 민족(독일인, 루마니아인, 터키인, 슬라브계의 슬로바키아인,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 우크라이나인, 크로아티아인, 유대인)도 거주한다. 부다페스트에는 화교도 거주한다.

공용어는 헝가리어다. 소수민족의 거의 대부분도 헝가리어를 말하여, 헝가리어 인구는 98%에 이른다. 지식인들은 러시아어, 영어, 독일어를 구사하며,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국가의 공용어인 헝가리어를 사용한다. 독일어, 영어는 소수가 사용하며, 제2언어등으로 사용한다.

또 헝가리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이것은 언어적으로는 영어로의, 경제적으로는 독일로의 급속한 편입을 막기 위한 측면도 있다. 영어는 상용어나 제2언어 등으로 구사자가 소수 사용한다.

지도[편집]

각주[편집]

  1. 비셰그라드 그룹〉, 《위키백과》
  2. 오르반 빅토르〉, 《위키백과》
  3. 소련〉, 《위키백과》
  4. 1956년 헝가리 혁명〉,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유럽 같이 보기[편집]

동유럽 국가
동유럽 도시
동유럽 지리
동유럽 문화
동유럽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헝가리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