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입석 금지 제도) |
(→입석 금지 제도) |
||
477번째 줄: | 477번째 줄: | ||
==문제점== | ==문제점== | ||
===입석 금지 제도=== | ===입석 금지 제도=== | ||
− | 입석은 열차, | + | 입석은 열차, 버스에서 지정된 자리가 없어 서서 타는 자리를 뜻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7월 16일부터 국토교통부의 훈령에 따라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의 [[광역급행버스]]·광역버스·경기 순환버스·[[간선급행버스]]·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에서 입석 승객을 태우지 못하게 한 정책이다. |
*'''수익성 문제''' : 광역버스 요금은 [[시외버스]]보다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고,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따른 환승 할인과 거의 없다시피 한 구간 요금 제도, 점점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는 신도시로 인해 늘어나는 노선길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광역버스의 수익률은 심각하게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석 금지로 인해 더 많은 차량을 운용해야 한다면 버스 회사 측에서는 매우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는 평일에는 저수요이지만 주말에는 과수요이며, 시외버스 업체와의 알력다툼과 다른 광역버스와는 달리 해상구간을 통과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주말에 입석을 태울 수 없어 승객들은 줄을 선 상태에서 1시간~1시간 반 정도 기다려서 타야 된다. 수요가 더 늘어난다 해도 더 이상 수익성 면에서 좋아질 수 없다. | *'''수익성 문제''' : 광역버스 요금은 [[시외버스]]보다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고,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따른 환승 할인과 거의 없다시피 한 구간 요금 제도, 점점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는 신도시로 인해 늘어나는 노선길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광역버스의 수익률은 심각하게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석 금지로 인해 더 많은 차량을 운용해야 한다면 버스 회사 측에서는 매우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는 평일에는 저수요이지만 주말에는 과수요이며, 시외버스 업체와의 알력다툼과 다른 광역버스와는 달리 해상구간을 통과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주말에 입석을 태울 수 없어 승객들은 줄을 선 상태에서 1시간~1시간 반 정도 기다려서 타야 된다. 수요가 더 늘어난다 해도 더 이상 수익성 면에서 좋아질 수 없다. | ||
2021년 8월 20일 (금) 10:24 판
광역버스는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시·도를 통과하는 노선을 운행하며 주변 도시와 대도시의 도심 및 부도심을 연결하는 버스를 가리킨다.
목차
개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른 직행 좌석형 시내버스나 좌석형 시내버스도 광역버스에 해당하며 예전부터 운행됐지만, 2004년 7월 서울시에서 버스 운행체계를 간선버스·지선버스·순환버스 등의 기능별 노선으로 개편할 때 기존의 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광역버스로 통합 분류하면서 공식 도입되었다. 서울시 외에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수도권 지역에서도 광역버스를 운행하며,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등에서는 급행버스 또는 급행 좌석버스 등의 형태로 운행하고 있다.[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버스로,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4자리 숫자로 되어있고 간선버스와 같이 3자리 행선지가 새겨져 있으며 바탕색은 연한 빨간색이고 겉면에 영어 머리글자 RED의 R이 새겨져 있다. 1, 2, 3, 5, 6권역에 광역버스 노선이 단 하나도 살아남지 못하고 간선버스로 형간 전환되거나 경기 버스로 이관된 상태다. 개편 당시 43개에 달했던 광역버스가 9개밖에 남지 않았고 이 과정은 7권역 광역버스의 감소로 진행 중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정류장과 함께 승차할 수 있는 정류장이 있지만, 아예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와 따로 떨어져 있는 광역버스 전용 정류장이 있기도 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는 지역과 관계없이 한 정류장에서 승차할 수 있다. 4권역 광역버스는 모두 현대 유니버스, 자일대우버스 FX 같은 고급좌석버스가 투입되는 반면 7권역 광역버스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버스가 투입되어 차급 다운그레이드에 일조하고 있다.[2]
노선
서울시 운행 노선[2][3] 구분 노선번호 운행구간 배차 간격 인가 대수 입석 금지 기점 종점 4권역 9401 구미동 서울역 4~10분 53대 O 9403 구미동 동대문 7~13분 28대 X 9404 구미동 신사역 6~10분 28대 O 9408 구미동 영등포역 10~14분 24대 X 7권역 9701 일산 가좌동 회현역 10~26분 22대 X 9703 탄현역 숭례문 16~25분 14대 X 9703 일산 가좌동 영등포 4~16분 29대 O 9711 탄현역 양재 시민의 숲 12~20분 24대 O 9714 파주 교하동 숭례문 30~70분 7대 X
요금
서울시 광역버스 요금[4] 구분 기존 변경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일반인 1,850원 1,950원 2,300원 2,400원 청소년 1,360원 1,800원 1,360원 1,800원 어린이 1,200원 1,200원 1,200원 1,200원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이다. 시내버스와는 다르게 준공영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민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인천지역 광역버스 운행은 2003년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던 서울역행 시외버스, 용일여객에서 운행하던 강남행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시작됐다. 그 뒤로 인천 각지에서 서울역, 종로, 강남역으로 가는 광역버스가 추가로 신설되었다. 인천 면허 광역버스의 노선번호는 천 번대 숫자가 해당 노선의 목적지를 의미하는데, 1000번대 노선은 서울역행, 6000번대 노선은 인천공항행, 7000번대는 강서구행, 9000번대 노선은 강남(양재)행 노선이다. 인천 광역버스의 특징은 9100번, 7700번에 투입된 전중비형 3대를 제외하고 도어가 전비형, 즉 앞문 하나뿐이라는 점이다. 노선의 연혁이 시외버스에서 전환된 것인 데다가, 승하차 지점의 구분이 대부분 명확하고, 다른 경기도 직행 좌석버스에 비해 운행 거리가 긴 편이다. 대부분 수요는 인천-서울 수요지만 인천 시내 수요나 인천-경기도 수요가 어느 정도 있다. 인천 시내에서 대부분의 노선이 굴곡이 있어 빠르게 가질 못하다 보니, 비싼 광역버스 요금을 내더라도 더 빠르게 가고자 하는 승객들이 있다. 특히 이 점은 심야에서 크게 부각되는데, 인천이나 경기도나 00시가 지나면 거의 유일한 심야 대체 노선이 되기 때문이다. 거의 대부분의 광역버스가 회차지인 서울에서 00시 30분 이후에 회차하는지라 종점 근처에서는 2시까지도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덕분에 제대로 된 심야버스가 없는 인천에서는 심야 구간 수요가 꽤 있다.[5]
노선
인천시 운행 노선[6] 노선번호 운행구간 배차 간격 운영 업체 인가 대수 기점 종점 1000 석남동 서울역 25~35분 마니교통 11대 1100 단봉초등학교 서울역 25~35분 신강교통 12대 1101 마전지구 서울역 40~50분 신강교통 7대 1200 가좌동 서울역 30~60분 신동아교통 6대 1300 송도 서울역 30~60분 더월드교통 10대 1301 송도차고지 서울역 30~60분 더월드교통 12대 1302 극지연구소 서울역 25~60분 더월드교통 9대 1400 인천터미널 서울역 25~35분 마니교통 12대 1500 계산동 서울역 30~35분 마니교통 12대 1601 인하대학교 서울역 30~40분 신강교통 9대 6770 광명역 인천 국제공항 20~60분 한국철도공사 11대 9100 숭의역 강남역 13~25분 인강여객 13대 9200 송도유원지 강남역 16~12분 인강여객 16대 9201 청학동 강남역 12~25분 인강여객 12대 9300 청라 국제업무단지 강남역 40~60분 선진여객 9대 9500 청라 국제업무단지 양재 시민의 숲 30~40분 마니교통 10대 9501 마전지구 양재 시민의 숲 20~30분 신강교통 12대 9802 검단산업단지 양재 시민의 숲 40~50분 신강교통 7대
요금
인천시 광역버스 요금[5] 구분 교통카드 조조할인(카드) 현금 일반인 2,650원 2,120원 2,650원 청소년 1,500원 1,200원 1,500원 어린이 1,100원 880원 1,100원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시는 2016년 7월에 1000번을 시작으로 2017년에 1004번, 2018년에 1005번 운행을 개시하여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1만4549명, 연간 531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467만 명에서 2019년 531만 명으로 행복도시와 대전-청주 간 대중교통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이다. 광역버스들은 시계외 요금을 징수하며, 이외의 노선들은 단일 요금제로 운영된다. 연동면 방향 30, 300번대 노선들이 연동면 주간선도로인 청연로가 조치원으로 연결되어있지 않고 오송읍 봉산리, 서평리 방향으로 연결되어있어 서평삼거리에서 서평리 미호교 회전교차로까지 어쩔 수 없이 충북 청주시 오송읍 서부 구간을 지나는데, 시계외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이 구간은 시계외 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운행 구간 중간이기 때문에, 따로 추가 요금을 받기도 애매하기 때문이다. 소정면이 목천읍과 광덕면 사이에 끼어있기 때문에 천안 시내버스가 기본운임을 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7]
노선
세종시 광역버스 노선[8] 노선번호 운행구간 배차 간격 운영 업체 인가 대수 기점 종점 1000 조치원 신안2리 반석역 15~20분 세종교통 14대 1004 장기중학교 반석역 15~20분 세종 도시교통공사 11대 1005 은하수공원 반석역 20분 세종 도시교통공사 8대
요금
세종시 광역버스 요금[8] 구분 일반인 청소년 어린이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세종 시내 구간 1,400원 1,500원 1,100원 1,200원 600원 700원 세종↔반석역 1,700원 1,800원 1,300원 1,400원 800원 900원 세종↔오송역 1,700원 1,800원 1,300원 1,400원 800원 900원 오송역↔반석역 2,000원 2,100원 1,600원 1,700원 1,000원 1,100원
부산광역시
별도로 광역버스를 분류하지는 않으나 부산-거제(2000번) 노선이 광역버스 역할을 한다. 자동차전용도로인 거가대로를 다니므로 관련 법령에 따라 입석 금지로 운행하고 있다. 왕복 운행 거리는 110km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중 최장 거리다. 시간대별로 수요의 편차가 심하다. 평일에는 대우조선해양 조선소 출퇴근 승객이 많은 편인 데다 동아대학교 통학수요가 있으며, 주말에는 관광객, 등산객 및 낚시객 수요가 많다. 평일 첨두시의 경우 출퇴근 등으로 수요가 많은 편이나, 평일 비 첨두시에는 수요가 저조한 편으로 적자가 심하다. 부산, 거제 시내버스 노선 모두 통틀어서 표정속도가 가장 빠르다. 일반적인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표정속도는 27~30km/h 정도지만 2000번은 44~47km/h대로 운영한다. 정해진 운행 시간을 준수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표정속도가 47.14km/h이며 더 빨리 밟을 경우 50km/h대 초반까지도 나온다. 거가대교를 넘어서면 시계외 요금이 적용되고, 이 노선은 부산 도시철도/시내버스/마을버스, 거제 시내버스 및 김해시 시내버스와 교통카드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9]
노선
부산 2000번 버스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배차 간격 운영 업체 인가 대수 입석 금지 기점 종점 2000 사하구 하단동 거제시 맑은샘병원 25~30분 세일교통 12대 O
요금
부산시 2000번 버스 요금[10] 구분 교통카드 현금 시내 일반인 1,700원 1,800원 청소년 1,350원 1,700원 어린이 1,200원 1,300원 시계외 일반인 4,200원 4,500원 청소년 3,550원 4,000원 어린이 3,200원 3,500원
울산광역시
울산의 광역버스는 직행 좌석버스로 불린다. 준공영제는 시행되지 않고 있지만, 울산여객, 남성여객, 신도여객, 학성버스, 한성교통, 유진버스, 대우여객 등 7개 업체가 공동배차를 시행했었다. 부산·경남(특히 양산, 김해) 교통국 및 업체들과 사이가 좋지 않다. 이는 여러 복잡한 사정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동남권 통합 요금체계로 인해 규모가 감소하고 부산에 종속되기 싫어하는 울산시와 업체들의 이해관계를 이유로 들 수 있다. 한 이웃 도시인 부산과는 달리 1982년부터 시내버스 공동 운수협의회가 설립되어 개별노선제 전면시행이 되는 2019년까지 공동 배차를 실시했다. 덕분에 공동 운수 소속 회사들은 대체로 한 차량에 여러 노선을 돌려쓰고, 회사들의 본사도 공영차고지 쪽에 몰려 있는 기형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노선도 울산광역시 교통과에서 관리하여 준공영제와 비슷한 방식이다.[11] 교통카드 사용자가 하차 후 40분 이내 다른 노선으로 환승 시 무제한 환승 가능하며 일부 노선은 1시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광역버스 현황
광역버스 현황[12] 구분 종류 울산관할 - 양산 : 704, 714, 817, 1127, 1703, 1713, 1723
- 경주 : 112, 308, 402, 412, 482, 708, 802
양산관할 12, 63, 67, 2100, 2300 경주관할 355, 500, 600, 604, 605, 608, 609
요금
울산시 광역버스 요금[13] 구분 교통카드 현금 일반인 2,080 2,300 청소년 1,700원 2,000원 어린이 1,300원 1,300원 시계외 2,700원 2,900원
문제점
입석 금지 제도
입석은 열차, 버스에서 지정된 자리가 없어 서서 타는 자리를 뜻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7월 16일부터 국토교통부의 훈령에 따라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의 광역급행버스·광역버스·경기 순환버스·간선급행버스·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에서 입석 승객을 태우지 못하게 한 정책이다.
- 수익성 문제 : 광역버스 요금은 시외버스보다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고,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따른 환승 할인과 거의 없다시피 한 구간 요금 제도, 점점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는 신도시로 인해 늘어나는 노선길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광역버스의 수익률은 심각하게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석 금지로 인해 더 많은 차량을 운용해야 한다면 버스 회사 측에서는 매우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는 평일에는 저수요이지만 주말에는 과수요이며, 시외버스 업체와의 알력다툼과 다른 광역버스와는 달리 해상구간을 통과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주말에 입석을 태울 수 없어 승객들은 줄을 선 상태에서 1시간~1시간 반 정도 기다려서 타야 된다. 수요가 더 늘어난다 해도 더 이상 수익성 면에서 좋아질 수 없다.
- 기점 만차 문제 : 가장 크게 드러난 문제로 출퇴근 시간에 기점과 그 근처에서 버스에 사람이 다 차 버려서 뒷 정류장 승객들은 지나가는 버스를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되자 중간정류장 승객들은 기점으로 거슬러 가서 버스를 타는 방법을 택했고, 그렇게 되니 중간정류장을 통과하는 차량은 더더욱 많아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었다. 이 때문에 편하게 버스를 타려는 사람들이 몰려 광영급행버스 종점 근방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는 등 부동산 시장에까지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노선이 1~2개밖에 없는 지역에서는 대체 노선이 없어 한 노선으로 집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더욱 큰 문제다.[14] 이 같은 문제가 서울과 경기의 대결구도로 비치는 것도 문제이다. 흔히 알려진 바에 의하면 경기도에서는 버스 내 혼잡도 감소를 위해 서울행 광역버스를 증차를 하려고 하는데, 서울시에서는 이를 반대하여 버스가 늘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광역버스 입석문제가 해결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버스를 증차하기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일단 경기도 광역버스들은 서울 시내 특정지 점으로 모여드는 형태의 노선망을 갖는데, 이러한 교통결절점들은 이미 포화상태이다. 대표적인 곳이 강변역, 강남역, 사당역, 잠실역 등이다.[15]
수도권 광역 대중교통 시설의 문제
광역 대중교통 시설은 지하철과 간선급행버스체계와 같은 선적인 시설과 광역 환승시설, 환승센터 및 환승주차장과 같은 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선적인 시설과 점적인 시설이 일체화되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효율적인 연계 환승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나, 각각의 시설들을 구축하기 위한 근거법이 서로 다르고 추진방식 및 체계가 일관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효율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철도와 버스의 노선별로 위계와 기능이 새롭게 정립되고 정류장, 철도역 등의 결절점들도 연계되는 노선과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역할과 기능이 재정립되었을 때 대중교통 네트워크 전체가 조화롭고 효율적으로 구축,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16]
각주
- ↑ 〈광역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 ↑ 2.0 2.1 〈광역버스(서울)〉, 《나무위키》
-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위키백과》
- ↑ 교통정책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현황〉, 《서울특별시청》, 2021-01-25
- ↑ 5.0 5.1 〈광역버스(인천)〉, 《나무위키》
- ↑ 〈인천광역시_광역버스 노선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 8.0 8.1 세종특별자치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ejong.go.kr/life/index.do
- ↑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나무위키》
- ↑ 〈시내버스 요금적용 기준〉,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 〈시내버스〉, 《울산교통관리센터》
- ↑ 〈버스요금표〉, 《울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 ↑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 《나무위키》
- ↑ 한우진, 〈(하이서울뉴스) 광역버스를 둘러싼 논쟁〉, 《네이버 블로그》, 2010-10-18
- ↑ 박준식 외 4명, 〈출퇴근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대중교통 서비스 정책〉, 《한국교통연구원》, 2014-10
참고자료
- 〈광역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 〈광역버스(서울)〉, 《나무위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위키백과》
- 교통정책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현황〉, 《서울특별시청》, 2021-01-25
- 〈광역버스(인천)〉, 《나무위키》
- 〈인천광역시_광역버스 노선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세종특별자치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ejong.go.kr/life/index.do
-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나무위키》
- 〈시내버스 요금적용 기준〉,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 〈시내버스〉, 《울산교통관리센터》
- 〈버스요금표〉, 《울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 《나무위키》
- 한우진, 〈(하이서울뉴스) 광역버스를 둘러싼 논쟁〉, 《네이버 블로그》, 2010-10-18
- 박준식 외 4명, 〈출퇴근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대중교통 서비스 정책〉, 《한국교통연구원》, 2014-10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