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청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청명'''(淸明, Pure Brightness)은 24절기(이십사절기)의 하나이다.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의 사이에 들며, 4월 5일 무렵이다. == 개요 ==...)
 
잔글
22번째 줄: 22번째 줄:
 
이 무렵을 전후해 찹쌀로 빚은 술을 청명주(淸明酒)라 하여 담근 지 7일 뒤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신다. 또 이때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그기도 하고, 서해에서는 곡우 무렵까지 작지만 연하고 맛이 있는 조기잡이로 성시(盛市)를 이루기도 하였다. 청명과 관련된 속담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가 있는데, 청명과 한식이 겹치거나 하루 차이밖에 나지 않아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낼 때 흔히 쓴다. 24절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무렵을 전후해 찹쌀로 빚은 술을 청명주(淸明酒)라 하여 담근 지 7일 뒤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신다. 또 이때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그기도 하고, 서해에서는 곡우 무렵까지 작지만 연하고 맛이 있는 조기잡이로 성시(盛市)를 이루기도 하였다. 청명과 관련된 속담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가 있는데, 청명과 한식이 겹치거나 하루 차이밖에 나지 않아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낼 때 흔히 쓴다. 24절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입춘]](立春) : 2월 4일 경, 봄의 시작.
 
* [[입춘]](立春) : 2월 4일 경, 봄의 시작.
* [[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 [[우수 (절기)|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淸明) : 4월 5일 또는 6일, 봄 농사준비.
 
* [[청명]](淸明) : 4월 5일 또는 6일, 봄 농사준비.
 
*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 [[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
* [[입하 (절기)|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 [[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 [[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35번째 줄: 35번째 줄:
 
*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
* [[백로 (절기)|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 [[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의 시작.
 
* [[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의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
* [[소설 (절기)|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 [[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
* [[대설 (절기)|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
* [[대한 (절기)|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이용해 만들어졌으므로 실제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태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하다. 앞서 말했듯이 농사를 위해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24절기의 명칭을 보면 기후, 그중에서도 농사에 필요한 행위들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이용해 만들어졌으므로 실제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태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하다. 앞서 말했듯이 농사를 위해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24절기의 명칭을 보면 기후, 그중에서도 농사에 필요한 행위들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2024년 1월 20일 (토) 02:15 판

청명(淸明, Pure Brightness)은 24절기(이십사절기)의 하나이다.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의 사이에 들며, 4월 5일 무렵이다.

개요

청명은 24절기 중 하나이자 다섯 번째 절기에 속하며, 봄철에 존재하는 절기이다. 매년 4월 4일에서 5일 사이가 된다. 한식과 같은 날 또는 하루 전날이 된다. 때로는 식목일과 겹치기도 한다. 청명이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작업이 된다. 다음 절기인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농사를 많이 짓는 경우에는 일꾼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청명·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기도 하였다.[1][2]

상세

청명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다. 국가공인 기념일상으로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며 한식(寒食)과도 자주 겹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라는 말도 있다. 북한에서는 2012년부터 4월 4일을 청명절로 공휴일로 하였다. 이는 식목일을 공휴일로 한 맥락과 비슷한 점이 있는데 천도교가 이날 쉬기 때문이다. 최제우가 경신년(1860년) 한식에 동학의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중국과 대만에서도 휴일이다. 단, 대만의 어린이날은 4월 4일인데, 해에 따라서 어린이날과 청명이 겹치는 경우가 있다. 이 해는 4월 3일도 휴일로 한다. 단, 4월 4일이 목요일이면 3일이 아닌 5일을 휴일로 하여 연휴를 만든다. 2013년, 2024년이 좋은 예이다. 2019년은 4월 5일 금요일이 청명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2013년도 4월 5일이 청명이였다. 이후 한국도 2017년부터는 윤년이 아닌 해에도 4월 4일 청명이 나타났다. 현대 중국에서는 청명절은 성묘하는 날로 통한다. 그래서 공동묘지 근처는 차가 엄청나게 막힌다. 또한 전국의 인민해방군 묘지에서 참배행사가 열린다.

일본의 오키나와에서는 시미(シーミー)라고 부르며 휴일은 아니지만 중요한 명절로, 일가족이 문중의 묘소에 성묘를 가는 날이다. 오키나와의 무덤은 마당이 넓은데, 이곳에서 일가 친척이 피크닉 분위기로 음식을 나누어먹는다. 주로 전통요리를 들고가지만, 주일미군의 영향으로 KFC 버킷이나 맥너겟을 들고가는 모습도 드물지 않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淸明條)의 기록에 따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賜火)'라 한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한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서는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寒食條)에 기록하고, 청명에 대하여서는 언급이 없다. 청명과 한식은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뒤섞이는 경우가 많아 오늘날 민간에서도 뚜렷한 구분 없이 전해지고 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된다.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한다. 또 이 날에는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기도 하는데, 이날 성묘(省墓)를 갔다고 한다. 이때는 봄밭갈이를 하며 청명의 좋은 날씨면 그해 농사가 풍년이 되고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점쳤다. 청명은 보통 따뜻해질 때지만 2020년은 이 시점 이후로 이상 저온이 왔다. 그 밖에도 2004년, 2014년, 2018년처럼 청명을 전후하여 반짝 추위가 오기도 했다. 그리고 하늘이 맑아진다는 의미를 가져서 청명날에 맑은 때가 많지만 2015년, 2018년, 2023년 청명에는 비가 왔다.[2]

제주도에서는 청명이나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는다. 또 이날은 손이 없기 때문에 묘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한다. 청명이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다.[3]

24절기와 청명

청명은 24절기 중 하나로 춘분과 곡우 사이에 든다. 이날부터 날이 풀리기 시작해 화창해지기 때문에 청명이라고 한다. 농가에서는 이 무렵 바쁜 농사철에 들어간다. 24절기 가운데 다섯째에 해당하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든다. 음력으로는 3월이지만,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이므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15˚에 있을 때이다. 보통 한식(寒食)의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이 많고, 오늘날의 식목일(植木日)과도 겹치는 경우가 흔하다.

청명일(淸明日)의 준말로, 이때부터 날이 풀리기 시작해 화창해지기 때문에 청명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청명에서 곡우 이전까지의 15일 동안을 다시 3후(三候)로 나누어 1후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2후에는 들쥐 대신 종다리가 나타나며, 3후에 비로소 무지개가 보인다고 하였다. 농가에서는 이 무렵부터 바쁜 농사철에 들어가 논밭의 가래질, 논밭둑 다지기, 보리밭 매기, 채소 파종 등을 시작하느라 일손 구하기가 힘들다. 또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에 따르면, '이 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로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 뒤 다시 각지의 관청에 나누어 준다'고 하였다. 이 불을 다음날인 한식에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 바로 한식이다.

이 무렵을 전후해 찹쌀로 빚은 술을 청명주(淸明酒)라 하여 담근 지 7일 뒤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신다. 또 이때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그기도 하고, 서해에서는 곡우 무렵까지 작지만 연하고 맛이 있는 조기잡이로 성시(盛市)를 이루기도 하였다. 청명과 관련된 속담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가 있는데, 청명과 한식이 겹치거나 하루 차이밖에 나지 않아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낼 때 흔히 쓴다. 24절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입춘(立春) : 2월 4일 경, 봄의 시작.
  • 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淸明) : 4월 5일 또는 6일, 봄 농사준비.
  •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 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 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 하지(夏至) :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서(小暑) :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 대서(大暑) :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 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 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의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 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이용해 만들어졌으므로 실제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태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하다. 앞서 말했듯이 농사를 위해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24절기의 명칭을 보면 기후, 그중에서도 농사에 필요한 행위들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절기는 5일을 1후라 하고, 3후를 1기라 하여 1년을 24기로 나눌 때 월초에 있는 것을 말하며, 월중에 있는 것을 중기라 한다. 절월력에서는 1년은 반드시 12절월로 되어 있고 윤달을 두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절기는 일정한 달의 절일에 들기로 고정되어 있다. 월중에 있는 것을 중기(中氣)라 하며, 24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되어 있다. 현행의 태양력에 따르면 절기는 매월 4∼8일에 있게 되고, 중기는 매월 하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절기의 입기일을 매월 초 1일로 하는 새로운 태양력을 구상하면 중기는 언제나 월의 중앙에 있게 된다. 이런 역을 절월력(節月曆)이라고 한다. 태음태양력에 국한하여 채택하던 중국에서 절월력이라는 일종의 특별한 태양력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절기입기일을 절일(節日)이라 하고, 절일부터 다음의 절일의 전날까지를 절월(節月)이라 한다. 절월력에서는 1년은 반드시 12절월로 되어 있고 윤달을 두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절기는 일정한 달의 절일에 들기로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입춘 정월절·경칩 2월절·청명 3월절·입하 4월절 등이다.[4][5]</ref>[6]

동영상

각주

  1. 청명〉, 《위키백과》
  2. 2.0 2.1 청명〉, 《나무위키》
  3. 청명〉, 《한국세시풍속사전》
  4. 절기〉, 《두산백과》
  5. 청명〉, 《두산백과》
  6. 24절기〉, 《나무위키》

참고자료

  • 청명〉, 《네이버 국어사전》
  • 청명〉, 《위키백과》
  • 청명〉, 《나무위키》
  • 청명〉, 《한국세시풍속사전》
  • 청명〉, 《두산백과》
  • 절기〉, 《두산백과》
  • 24절기〉, 《나무위키》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청명 문서는 기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