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데드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데드볼'''(Dead Ball)은 야구에서,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에 스치거나 맞는 것을 말한다. 또는 사구(死球), 혹은 히트바이피치트...)
 
(차이 없음)

2025년 1월 13일 (월) 17:29 기준 최신판

데드볼(Dead Ball)은 야구에서,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에 스치거나 맞는 것을 말한다. 또는 사구(死球), 혹은 히트바이피치트볼(hit by pitched ball), 몸에 맞은 볼 등으로 부른다. 타자가 공을 맞으면 볼데드 상황이 되고 타자는 자동적으로 1루로 진루하게 된다. 사구라는 뜻 외에 규칙에 따라 경기가 일시 정지 된 플레이에서 기록이나 판정에서 제외된 볼을 지칭하기도 하며, 현대 야구 이전 세대에서 특히 반발력이 적은 야구공(타격했을 때 멀리 날아가지 않는 볼)을 지칭하는 말로도 쓰였다.[1]

개요[편집]

데드볼은 구기 종목에서 공을 일시적으로 플레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인플레이의 반댓말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흔한 예로는 규격화된 경기장에서 플레이하는 구기 종목에서 공이 경기장 바깥으로 나가서 플레이가 중단된 상태, 또는 반칙 등으로 인해 심판이 플레이를 중단시킨 상태를 말한다. 데드볼이 일어난 상황(situation)을 볼 데드 시츄에이션(Ball Dead Situation)이라 한다.

자의적으로 인플레이를 중단시킬 수 있는 수단인 타임아웃 같은 것도 없고, 터치라인 아웃이나 반칙 등으로 설사 인플레이가 중단된다 해도 게임 클락이 멈추지 않는 축구라는 종목에서 인플레이 중단 시간인 볼 데드 시츄에이션은 남은 시간으로 계산되어 추가 시간인 인저리 타임으로 환원된다.

한편, 볼 데드 상황에서 게임을 재개할 때 골을 노릴 수 있는 찬스는 세트피스 상황으로 위에서 말했듯 반칙으로 얻어낸 프리킥이나 골 라인 아웃으로 얻어낸 코너킥 등에서 짜여진 공격 루트대로 득점을 올리는 방법이다. 흔히 프리킥을 특별히 잘 차는 축구선수들을 가리켜 데드볼 스페셜리스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데드볼이라고 한 이유가 프리킥이나 코너킥 등의 세트피스들이 애초에 반칙에서 비롯된 볼데드, 즉 데드볼 시츄에이션에서 이어진 공격 방식이다 보니 그런 이름이 붙여진 듯하다.

농구에도 볼 데드 시추에이션과는 상관없이 게임 상황에 따라 데드볼이라는 용어가 존재하는데, 이는 플레이어가 공을 잡았을 때 아무리 용을 써도 슛을 바로 시도할 수 없는 상황을 뜻한다. 팀의 준비된 세트 오펜스는 최대한 살아있는 볼을 바로 캐치 앤 슛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작전을 짜는 것이 기본인데, 이것이 실패해서 24초를 거의 다 쓴 상태에서 데드볼 상황이 되면 공 처리가 미숙한 선수일 경우 아예 던지지도 못하고 턴오버가 되는 경우도 많다. 수비의 견제에 막히거나 나쁜 패스를 받아 생기는 데드볼 상황은 오픈 찬스가 아닌 이상 풀업 점퍼 외에는 던질 수 있는 방법이 극히 제한적이고 성공률도 보장할 수 없어서 이런 상황에서 슛을 던져서 실패하면 어거지, 막슛, 난사 등 온갖 욕을 다 먹을 수밖에 없지만 팀이 필요할 때 상대의 강력한 수비로 인한 데드볼 상황에서도 슛을 넣을 수 있는 선수야말로 팀의 득점원,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다.[2]

규칙[편집]

야구 규칙 5.05⒜⑶과 5.05⒝에 의거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 타자는 주자가 되며 1루로 안전하게 진출할 수 있다.

  • 투구가 스트라이크 존 바깥에서 타자에게 닿았고,
  • 타자가 공을 피하려고 시도했거나 공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 있었으며,
  • 타자가 공을 치려고 하지 않았을 경우에 해당한다.

이 모든 조건이 성립되면, 볼 데드 상태가 되며 각 누상에 있던 주자들은 한 베이스 더 진루하게 된다. 야구 규칙 5.06⒞⑴에 의하면 공이 타자의 신체에 접촉한 것 뿐만 아니라 타자의 옷에 접촉한 경우에도 볼 데드 상태로 인정된다.

단,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 또는 옷에 닿았더라도 타자가 배트를 휘둘렀을 경우 몸에 맞은 공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공은 스트라이크로 선언된다. 이때에는 볼 데드가 선언되며 주자들이 진루할 수 없다. 또, 타자가 투구를 피하지 않았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몸에 맞은 공으로 인정되지 않고, 해당 투구가 바운드 없이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했다면 스트라이크로, 바운드 여부에 상관없이 스트라이크 존에서 벗어났거나 바운드되어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했다면 볼로 선언된다.

야구 규칙 5.05⒜⑶에 따르면, 투수가 던진 공이 바운드가 되더라도 타자의 이나 옷에 닿으면 몸에 맞은 공에 해당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위에 언급된 세 가지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볼 데드 상태가 되며 각 누상의 주자들이 한 베이스 진루할 수 있게 된다.

몸에 맞은 공은 안타 수나 타수로 계산되지 않으나, 타석수나 출루 기록으로는 인정되므로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한 직후 타율에는 변화가 없으나 출루율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만루 상황에서 타자가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할 경우 타자에게 타점을 부여한다. 몸에 맞은 공으로 규정된 투구는 볼로 기록되는데, 몸에 맞은 공의 정의 상 스트라이크 존의 바깥 쪽에 있고 타자가 휘두르지 않은 공이기 때문이다.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한 타자에게 1루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은 1887년 처음 제정되었다.[3]

기록[편집]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편집]

메이저 리그 몸에 맞은 공 통산 1위 기록은 휴이 제닝스가 갖고 있으며, 1891년부터 1903년까지 활동하는 동안 몸에 맞은 공을 총 287번 기록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크레이그 비지오가 285회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위는 돈 베일러로 267회를 기록했다.

단일 시즌 몸에 맞은 공 최고 기록은 51회로, 휴이 제닝스가 1896년 기록했다. 현대로 범위를 좁히면 1971년 몬트리올 엑스포스의 론 헌트가 50회 기록하였다. 단일 경기 최고 기록은 3회로, 다수의 선수가 기록하였다.

몸에 맞은 공 통산 투수 기록으로는, 거스 웨잉(1887년부터 1901년까지 활동)의 277개가 최고 기록이다. 현대에는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월터 존슨이 통산 205개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단일 시즌 최고 기록으로는 1891년 필 넬의 54개이고, 단일 경기 최고 기록으로는 에드 너프와 존 그림스가 6개를 기록한 것이다.

두 명의 투수가 타자에게 몸에 맞은 공을 허용하는 바람에 노히터가 무산된 적이 있었다. 후크 윌츠와 맥스 슈어저가 그 주인공으로, 몸에 맞은 공을 허용한 이후로 노히터가 무산되었다.

포스트시즌 통산 몸에 맞은 공 기록은 그레그 매덕스와 팀 웨이크필드가 9번 허용하였고, 셰인 빅토리노가 11번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하였다.[3]

KBO 리그[편집]

KBO 리그 통산 몸에 맞은 공 1위 기록은 최정으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348회의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하였다. 특히 2021년 8월 18일 문학 대 NC 다이노스전에서 3번 타자 겸 3루수로 출전해 6회말 드류 루친스키에게서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해 통산 288사구를 기록하며 몸에 맞은 공 세계 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즉, 이후의 기록은 곧 통산 몸에 맞은 공 세계기록이 됨을 의미하게 되었다.

단일 시즌 최다 몸에 맞은 공 기록은 1999년 현대 유니콘스의 박종호가 가지고 있으며 이 해 31개의 몸에 맞은 공을 기록하였다. 단일 경기 최다 몸에 맞은 공 기록으로는 4회로, 이만수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한 이닝 몸에 맞은 공 최다 기록은 2번으로, 김동기와 이성열, 나지완이 기록하였다.

통산 최다 몸에 맞은 공 허용 기록은 189회로, 1989년부터 2005년까지 활동한 이강철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3]

위험성[편집]

1920년 8월 16일 메이저 리그 경기에서 투수였던 칼 메이스가 던진 공이 타자 레이 채프먼의 머리를 맞추는 일이 발생했는데, 채프먼은 이 사고 이후 다음날인 8월 17일 두개골 골절로 사망하였다. 이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몸에 맞은 공으로 인해 타자가 사망한 사건이었다.

보호구인 타자용 헬멧을 착용했다고 하더라도 부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1967년 8월 18일 메이저 리그에서 당시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이었던 토니 코니글리아로가 상대 투수의 공에 왼쪽 관자놀이 쪽을 강타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망막 손상으로 인해 거의 실명에 이를 뻔 했고, 사고 이후에도 커리어를 정상적으로 이어나가지 못했다. 이 사건 이후로 타자용 헬멧의 귀 보호대 착용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이 이후에도 귀 보호대가 없는 헬멧을 착용하는 선수들이 여럿 있었고, 2002년이 되어서야 모든 메이저 리그 타자들이 귀 보호대가 장착된 헬멧을 착용했다.

이 이외에도 몸에 맞은 공은 손가락이나 손등, 갈비뼈, 발, 서혜부 쪽에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3]

법리적 해석[편집]

투수가 타자의 몸쪽 가까이 던지는 전술은 야구 규칙에서 어긋나지 않고 야구라는 스포츠가 그 자체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법원에서는 설사 몸에 맞은 공으로 인해 부상을 입더라도 소송을 청구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실제 사례로는 2006년 4월 6일 미국 대학 팀간의 경기에서 몸에 맞은 공으로 인해 벌어진 소송에서 캘리포니아 최고 법원은 고의적으로 몸에 맞은 공을 던졌다 하더라도 야구 자체가 그런 위험성을 지닌 스포츠이므로 법적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을 냈다.[3]

각 스포츠에서의 데드볼 상황[편집]

야구(Baseball)
  • 몸에 맞는 공(Hit by Pitch):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에 맞을 경우에 타자는 1루로 진루한다.
  • 파울 볼(Foul Ball): 공이 파울 라인을 벗어난 경우.
  • 공이 경기장을 벗어난 경우: 펜스를 넘어가거나 관중석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주자들에게 규정된 진루가 허용된다.
  • 심판이나 외부 방해: 심판의 실수 또는 외부 요인이 경기에 영향을 미쳤을 경우.
축구(Soccer)
  • 축구에서는 직접적으로 데드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나, 다음 상황에서 비슷하게 플레이가 중단된다.
  • 볼 아웃: 공이 경기장의 사이드라인이나 골라인을 완전히 벗어난 경우.
  • 파울 및 반칙: 심판이 경기를 멈추고 프리킥, 패널티킥, 또는 골킥을 선언한다.
  • 부상이나 외부 요인: 선수가 다치거나 외부 간섭이 발생한 경우 경기가 중단된다.
농구(Basketball)
  • 데드볼은 농구에서 심판이 경기를 중단했을 때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
  • 파울: 선수가 상대를 방해하거나 규칙을 위반했을 때.
  • 슛 성공 후: 득점이 이루어져 다음 플레이를 준비할 때.
  • 기술적 문제: 경기장 장비나 외부 요인으로 경기가 중단될 때.
배구(Volleyball)
  • 플레이 중 공이 데드볼로 간주되는 경우.
  •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
  • 더블 터치: 한 선수가 공을 연속해서 두 번 접촉했을 때.
  • 네트 터치: 선수가 네트를 접촉했을 경우.
  • 라인 크로스: 서버 또는 공격 선수가 라인을 넘었을 경우.
미식축구(American Football)
  • 데드볼은 공이 더 이상 플레이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선언된다.
  • 득점 후: 터치다운, 필드골, 세이프티가 이루어진 후.
  • 공이 필드 밖으로 나갈 때: 공이 아웃오브바운즈가 되면 데드볼로 간주된다.
  • 플레이 종료: 태클이나 무릎을 꿇어 플레이가 멈추는 경우.
크리켓(Cricket)
  • 데드볼은 공이 플레이 상태가 아니게 되면 선언된다.
  • 타자가 아웃된 후: 경기를 중단하고 새 투구를 준비한다.
  • 공이 경기장을 벗어난 경우: 주심이 데드볼을 선언하고 경기를 멈춘다.
  • 부상 발생 시: 선수가 다쳤을 때 경기가 중단된다.
핸드볼(Handball)
  • 데드볼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 골 득점 후: 경기 재개를 위해 준비할 때.
  •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
  • 파울: 심판이 경기를 멈추고 프리슛을 선언할 때.
아이스하키(Ice Hockey)
  • 데드볼 상태는 공 대신 퍽이 더 이상 플레이 상태가 아닌 경우를 의미한다.
  • 퍽이 경기장을 벗어날 때.
  • 골이 득점된 후.
  • 페널티 발생 시.
  • 오프사이드 또는 아이싱.

각 스포츠에서 데드볼 상황은 경기를 안전하고 공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규정 중 하나다. 플레이어는 데드볼 선언 후 빠르게 상황에 적응해 다음 플레이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데드볼〉, 《두산백과》
  2. 이동 데드볼〉, 《나무위키》
  3. 이동: 3.0 3.1 3.2 3.3 3.4 몸에 맞은 공〉,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데드볼 문서는 스포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