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는 2009년 8월 10일부터 운행중인 광역급행형 좌석버스다. 노선 인가나 허가는 국토교통부에서 담당한다. 번호 앞에 M자가 붙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흔히 M버스라고 부릐도 하며, 대도시권(Metropolitan Area)을 의미힌다.[1]
개요
광역급행버스는 기존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간선급행버스가 정류장이 많고 굴곡이 있어 목적지까지 빠르게 이어준다는 본래의 목적이 많이 퇴색됨에 따라 정류장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기존 노선보다 평균 15분가량 단축시키기 위해 도입된 버스이다. 또한 입석승차 금지의 원조격으로 앞쪽에 남은 좌석수가 표시되어 좌석이 다 차면 다음 정류장부터 무정차 통과해 보다 빠른 시간에 목적지에 갈 수 있게 한다.[1] 법정용어로 시내버스는 광역급행, 직행좌석형, 좌석형, 일반형 등 4종류로 구분한다. 그러나 광역급행과 직행좌석형을 합쳐 통상 광역 버스라고 부른다. 광역급행 버스는 흔히 말하는 'M 버스'다. 국토교통부 장관이 면허를 발급하며 정거장 수는 6곳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도입 당시부터 좌석제로 운영됐으며 버스 앞에 잔여 좌석 수가 표시된다. 직행좌석형 버스는 정거장 수가 같은 노선 일반버스의 2분의 1로 제한된다. 면허는 경기지역의 경우 도지사의 위임을 받은 시장·군수가 발급한다. 애초 좌석제로 도입됐으나 승객 수요가 넘쳐 관행적으로 입석을 허용해 오다가 세월호 참사로 안전이 화두가 되면서 뒤늦게 입석금지 위반 단속 대상이 됐다.[2]
요금
[1] 구분 교통카드 현금 조조할인(카드 한정) 일반 2,800원 2,900원 2,300원 청소년 2,000원 2,100원 1,600원 어린이 1,600원 1,600원 1,300원
요금은 2019년 4월 6일 첫차부터 2,800원으로 경기·인천권 기점 동일하게 조정됐다. 단, 단독 이용시 기본요금제인 직행좌석버스와 달리 광역급행버스는 단독 이용시에도 거리비례제 요금이 적용되어, 30km 초과시 5km마다 100원씩, 최대 700원(60km 초과)까지 추가요금이 부과된다.[1]
노선 목록
[1]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간격(분) 운수회사 M2316 차산리 잠실광역환승센터 창현지구ㆍ라온프라이빗Aㆍ남양주세무서ㆍ천마산휴게소 12~25 경기고속 M2323 호평동 잠실광역환승센터 호만마을ㆍ이마트남양주점(평내호평역)ㆍ평내초등학교ㆍ평내화성.유진A 15~17 M2341 월산리 잠실광역환승센터 월산지구부영1,2차ㆍ마석역ㆍ마석중흥Aㆍ창현지구 15~25 대원운수 M2344 별내하우스토리 잠실광역환승센터 별가람고교ㆍ별내고교ㆍ미리내마을4-4단지 15~25 M4101 상현역 숭례문 풍덕천동ㆍ동천현대홈타운ㆍ기업은행머내지점ㆍ종로2가ㆍ명동 4~8 경기고속 M4102 오리역 숭례문 정자역ㆍ서현역ㆍ종로2가ㆍ을지로1가ㆍ명동 5~15 M4108 나루마을.월드반도A 서울역 다은마을ㆍ메타폴리스ㆍ한빛마을ㆍ서울백병원ㆍ숭례문 10~25 대원고속 M4130 동탄자이파밀리에 서울역 호수부영3차ㆍ동탄포스코.롯데캐슬ㆍ동탄GS자이ㆍ서울백병원ㆍ숭례문 15~30 화성여객 M4137 동탄아이파크.호수부영4차 서울역 동탄한신더휴ㆍ동탄테크노벨리ㆍ서울백병원ㆍ숭례문 15~40 M4403 나루마을.월드반도A 강남역 다은마을ㆍ메타폴리스ㆍ한빛마을ㆍ신논현역ㆍ양재역 4~10 대원고속 M4434 동탄자이파밀리에.풍림아이원 강남역 호수부영3차ㆍ동탄포스코.롯데캐슬ㆍ동탄GS자이ㆍ신논현역ㆍ양재역 20~40 화성여객 M4448 아이파크.호수부영4차 강남역 호수부영1차ㆍ창의고ㆍ동탄테크노밸리ㆍ신논현역ㆍ양재역 20~40 M4449 한신대학교 강남역 병점ㆍ롯데시네마ㆍ반월삼거리ㆍ신논현역ㆍ양재역 35~50 M5107 경희대학교 서울역 영통역ㆍ청명역ㆍ청현마을ㆍ서울백병원ㆍ숭례문 5~10 경기고속 M5121 삼성전자 서울역 KT동수원지사ㆍ광교중앙역환승센터ㆍ융합기술연구원ㆍ서울백병원ㆍ숭례문 10~15 M5333 범계역 잠실역 안양역ㆍ석수역ㆍ수서역ㆍ가락시장ㆍ송파역ㆍ석촌역 12~25 삼영운수 M5422 삼성전자 강남역 KT동수원지사ㆍ광교중앙역환승센터ㆍ융합기술연구원ㆍ신논현역ㆍ양재역 12~20 대원고속 M5438 평택지제역 강남역 광동제약ㆍ송탄ㆍ신논현역ㆍ양재역 10~40 M5443 수원여대 강남역 호매실ㆍ칠보ㆍ서수원터미널ㆍ교대역ㆍ양재역 25~35 경진여객 M5532 갈곶동 사당역 오산역.터미널ㆍ스마트시티센터ㆍ세교ㆍ남부터미널ㆍ예술의전당ㆍ방배동 30~40 M6117 양곡터미널 서울역 구래역ㆍ장기동ㆍ한강반도유보라2차ㆍ합정역ㆍ홍대입구역ㆍ신촌역2호선ㆍ충정로역 10~20 김포운수 M6405 송도웰카운티 강남역 송도자이ㆍ연세대송도캠퍼스ㆍ선바위역ㆍ교대역ㆍ양재역 8~20 인강여객 M6410 미추홀외고 강남역 원동초교ㆍ소래포구ㆍ월곶풍림Aㆍ선바위역ㆍ교대역ㆍ양재역 8~20 경원여객 M6427 양곡터미널 강남역 구래역ㆍ장기동ㆍ한강반도유보라2차ㆍ고속터미널역ㆍ논현역 20~45 김포운수 M6439 인천터미널 역삼역 아시아드선수촌ㆍ서창동ㆍ서초역ㆍ강남역ㆍ도곡동ㆍ양재역 20~25 인천제물포교통 M6450 e편한세상정문 삼성역 랜드마크시티 센트럴더샵(203동)ㆍ캠퍼스타운역ㆍ양재역ㆍ강남역 30~50 인천선진교통 M6628 석남동 연세대학교 신현쇼핑ㆍ가정(루원시티)역ㆍ선유고교ㆍ합정역ㆍ홍대입구역ㆍ신촌역2호선 10~35 수정관광 M6724 연세대송도캠퍼스 서울역 송도더샵퍼스트월드ㆍ동춘역ㆍ선유고교ㆍ합정역ㆍ홍대입구역ㆍ신촌역2호선ㆍ연세대학교 15~25 청룡교통 M7106 대화역 숭례문 주엽역ㆍ일산동구청ㆍ백석역ㆍ연세대학교ㆍ이대후문ㆍ광화문 6~10 가온누리엠 M7111 산내마을6,8단지 숭례문 해솔마을6,7단지ㆍ한빛마을1단지ㆍ연세대학교ㆍ이대후문ㆍ광화문 5~15 신성교통 M7119 식사동 숭례문 풍동ㆍ저동초교ㆍ일산동구청ㆍ마두역ㆍ연세대학교ㆍ이대후문ㆍ광화문 7~10 선진버스 M7129 능곡동 광화문 고양경찰서ㆍ행신동ㆍ소만마을ㆍ서정마을ㆍ연세대학교ㆍ경복궁역ㆍ숭례문 20~40 명성운수 M7412 중산마을2단지 강남역 중산마을10단지ㆍ일산동구청ㆍ마두역ㆍ백석역ㆍ신사역ㆍ논현역ㆍ역삼역 6~15 대원고속 M7646 송포초교 영등포타임스퀘어 킨텍스ㆍ일산동구청ㆍ홍대입구역ㆍ합정역ㆍ당산역ㆍ영등포시장 30~40 가온누리엠 M7731 덕이동 공덕역 탄현역ㆍ성저마을ㆍ대화역ㆍ킨텍스ㆍ합정역ㆍ홍대입구역ㆍ신촌역2호선ㆍ서강대후문 10~20
규정
- 노선 입찰 : 국토교통부가 입찰 공고를 내면 각 운수회사가 해당 규정에 맞추어 입찰을 실시하고 국토교통부가 이를 심사한 후 사업자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초창기에는 한 회사에 최대 2개 노선까지만 입찰이 가능했으나, 이후 노선 수 제한을 폐지하였다.[3]
- 차량 반입 : 운행노선 개통시 3년 이내에 반입되는 차량에 여성 전용 좌석, 노약자 전용 좌석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 외에는 업체 재량에 따라 차량 옵션/제조사 등을 설정하여 반입하며, 운수회사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입찰 시 가산점을 받기 위해 공기청정기, 오버항시트, 휴대폰충전기, DMB TV, 잡지책, 인터넷 좌석, 와이파이등을 설치하기도 한다. 차량 초기 출고시 압축천연가스를 연료로 시용하는 차종이어야하며, 좌석 수는 39석, 45석 이 두가지 중에서만 선택해야 한다[d]. 중간문 없이 반입하는 경우에는 45석을, 중간문을 설치하고 반입하는 경우에는 39석을 각각 의무적으로 반입한다. 단 일부 중간문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은 기존 중간문 자리에 좌석을 설치하는 개조를 하고 있다.[3]
- 정류장 : 본래 정류소 수를 편도 기준 8개 이내로 기·종점에서 5 km 이내에만 각각 4개씩 두었으나, 2011년 7월 6일 부로 편도 기준 12개 이내로 기·종점에서 7.5 km 이내에 각각 6개까지 두는 것으로 변경되었다.[3]
- 승객 탑승 : 버스 앞쪽에 남은 좌석을 표시하는 전광판이 부착되어 좌석이 없을 경우 무정차 통과하는 것이 규정이다. 또한 절대적으로 입석을 금지하는데, 암묵적으로 운수회사 재량으로 일부 노선에 한해서 입석을 불법적으로 받고 있다.[3]
- 입석 :특별한 경우나 막차를 제외하고 입서은 금지한다.[1]
- 유가보조금 : 기존의 시내버스 운송사업자에게 지급되는 유가보조금은 동일하게 지원한다.[1]
비수도권 확장
세종시가 세종-대전 간 광역급행버스(M-BUS) 노선 신설을 당초 1개 노선에서 2개 노선으로 확대·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권 개발 등을 감안, 세종에서 대전으로 가는 주요 진·출입로 두 곳을 모두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3일 세종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말 광역급행버스 면허권을 가진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2개 노선에 대한 수요를 제출했다. 특히 대전-세종 간 이동 교통량 증가와 세종시 인구 증가 등으로 대전 중심부로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불편해진 지역이 주로 노선에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1·2 생활권을 경유하는 노선 한 곳과 타 생활권에서 4 생활권을 거쳐 가는 노선이다. 이들 노선은 각각 국도 1호선과 구즉세종로를 이용, 대전 중심부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시는 당초 국도 1호선을 활용, 기존 광역BRT 노선과 중첩 되지 않으면서도 대전과 세종의 주요거점을 연결하는 노선 한 곳만 신설을 추진했지만 생활권 개발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두 개 노선 신설로 가닥을 잡았다. 앞으로 대광위의 노선 타당성 조사, 노선위원회 심의 등 절차가 남아있지만 이르면 2021년 안에 노선 신설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고민 끝에 두개의 광역급행버스 노선 신설을 신청하기로 결정했다"며 "하반기 중 노선 선정 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고, 관련 절차가 신속하게 이뤄지면 연말 정도에는 운행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만약 대전-세종 간 광역급행버스 노선 신설이 확정될 경우 비수도권에서는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광역급행버스는 수도권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현재까지 세종시를 비롯해 광역 단위 지자체 4곳 정도에서 지난달 말 대광위에 광역급행버스 노선 신설을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4]
각주
- ↑ 1.0 1.1 1.2 1.3 1.4 1.5 1.6 〈광역급급행버스〉, 《나무위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EB.82.98.EB.AC.B4.EC.9C.84.ED.82.A4"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김도윤 기자, 〈M·G·광역급행·직행좌석…헷갈리는 버스 체계〉, 《연합뉴스》, 2014-07-17
- ↑ 3.0 3.1 3.2 3.3 〈광역급행버스〉, 《위키백과》
- ↑ 박영문 기자,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82722 광역급행버스 노선 2개로 늘린다…대도시광역교통위에 수요조사 결과 제출 ]〉, 《대전일보》, 202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