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도면
황도면(黃道面)은 지구의 공전 궤도면을 천구 위에 투영한 평면을 말한다.
개요
지구의 태양 둘레의 궤도면을 황도면이라고 하며, 황도좌표의 기준면으로 쓰여진다. 황도(黃道, ecliptic)는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궤도를 말한다. 천구의 적도면(赤道面)에 대하여 황도는 약 23도 27분 기울어져 있으며, 적도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춘분점, 추분점이라 한다. 황도는 지구에서 보기에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로, 황도좌표계의 기준이다.
또한, 황도는 태양이 연주운동을 하면서 천구상의 별자리 사이를 지나가는 길을 말한다. 천구의 적도와는 23.5° 기울어져 있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일치한다. 황도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조금씩 변한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므로 황도면은 지구의 공전면과 공면점 관계이다. 지구 표면에서는 일출과 일몰 등 태양의 일주 운동이 존재하여 배경 항성에 대한 움직임을 가리기 때문에, 황도를 일반 관측자가 알아채기는 쉽지 않다.
태양의 궤도면은 평면이 아니지만, 평면이라 보고 그 평균궤도면을 황도면(黃道面)이라고 한다. 이것은 적도면과 23° 27'쯤 기울어 있고, 황도상의 적도를 가로지르는 두 점이 춘분점과 추분점이다. 황도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계라 하며,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편리하다. 행성의 궤도면이 황도면과 이루는 각을 황도경사(黃道傾斜)라고 한다. 황도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조금씩 변한다. 달의 궤도면인 백도면(白道面)과는 5° 9' 기울어 있다.
황도상의 태양의 위치를 전체 4등분하여 춘분, 하지, 추분, 동지점을 표시한다. 춘분점은 3월 21일경으로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이고, 하지점은 6월 22일경으로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이다. 추분점은 9월 23일경으로 태양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다가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을 말하며, 동지점은 12월 22일경으로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서 남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을 말한다.[1][2][3]
태양계의 평면
태양계 천체 대부분은 공전면이 거의 같은데, 이는 태양계가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함께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태양계 천체의 공통된 공전면에 가장 가까운 것은 태양계의 불변면으로, 황도면은 불변면과 1° 정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행성은 모두 불변면에서 6° 이내에 위치하므로, 하늘에서 황도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황도면을 위와 옆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표시되어 있다. 대체로 행성은 지구의 공전면인 황도면과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다. 불변면은 태양계 전체 각운동량으로 정의되며, 목성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태양계 전체 각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태양계 천체 모두의 궤도를 정밀히 측정해야 하므로, 오차가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태양의 움직임으로 정의되는 황도는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편의성을 위해 태양계의 기준면으로 황도면을 사용할 때가 많다. 유일한 단점은 황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한다는 것이다. 2010년 7월 행성 4개가 일렬로 정렬한 모습으로, 행성이 모두 황도에 가깝게 공전함을 보여준다.[3]
천구의 기준면
천구좌표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두 좌표계인 적도좌표계와 황도좌표계의 기준면은 각각 천구적도와 황도인데, 세차 운동으로 인해 황도는 움직이지만 천구적도가 움직이는 정도보다 1/100밖에 되지 않는다. 태양계의 천체 대부분은 황도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태양계 천체의 좌표를 나타낼 때는 황도좌표계가 유리하다. 20만 년 간의 황도 경사를 나타낸 도표로, 천구적도는 황도 주변을 몇 바퀴 돈 데 반해 황도 자체는 7° 정도밖에 회전하지 않았다. 황도는 천구적도에 비해 안정한 기준면이다. 분점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황도가 이동하기 때문에, 황도좌표계로 좌표를 나타낼 때는 특정 시점의 분점으로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역기점이라 한다.[3]
황도좌표계
황도좌표계(黃道座標系)는 황도와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를 말한다. 즉, 황경과 황위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를 말한다. 이러한 황도 좌표계는 지구 공전궤도면과 천구면이 만나서 만드는 황도를 기준하며, 태양계 내의 행성들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편리하다. 태양계 내의 행성들과 달, 태양은 상대적으로 위치가 지구와 가까워 황도상의 지구 위치에 따라 좌표가 조금씩 다르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은 천구의 적도와 23.5°만큼 기울어져 있고, 황도와 천구의 적도는 두 교점(춘분점과 추분점)에서 교차하는데, 천문학에서는 이들 중에서 춘분점을 황도의 기준점으로 사용하고 있다.
황경과 황위
황도좌표는 천구상에서 황도를 기준으로 하여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좌표를 말하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 지심황도좌표계라 하고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황도좌표계라고 한다. 이 좌표로 표시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계라 하며, 적도좌표계를 23.5° 경사시킨 것과 같다. 황도좌표계에서는 황도면과, 황도 ·적도의 교점인 춘분점(春分點)을 기준으로 하여 황경(黃經)·황위(黃緯)로 좌표를 나타낸다. 황경은 춘분점부터 황도상을 동쪽으로 0°에서 360°까지 재고, 천체와 황도면이 이루는 각인 황위는 북과 남으로 +와 -기호를 붙여서 0°에서 90°까지 잰다. 일반적으로 태양계 내의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쓰며,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지심(地心)황도좌표계, 태양의 중심에서 본 경우를 일심(日心)황도좌표계라 한다.
황도좌표는 적도좌표와 마찬가지로 황경(黃經)과 황위(黃緯)를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낸다. 황경과 황위는 모두 도·분·초로 나타낸다.
- 황경은 황도 좌표의 경도(經度)로, 천체에서 황도로 내리그은 수선과 황도와의 교점까지 측정한 각거리이다.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 측정한다.
- 황위는 황도 좌표의 위도(緯度)로, 황도면과 천체가 이루는 각의 거리이다. 황도면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 기호를, 남쪽에 위치한 천체에 대해서는 -기호를 붙이고, 0도에서 90도까지 측정한다.
24절기에서의 황위와 황경
절기에 상관없이 태양의 황위는 대략 0°이다. 황도 좌표계의 기준이 태양이 지나가는 자취인 황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24절기에서의 황경은 다음과 같다.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황도면〉, 《네이버 국어사전》
- 〈황도〉, 《네이버 국어사전》
- 〈황도〉, 《학생백과》
- 〈황도〉, 《두산백과》
- 〈황도〉, 《위키백과》
- 〈황도면〉, 《천문학 작은사전》
- 〈황도좌표계〉, 《위키백과》
- 〈황도좌표계〉, 《천문학습관》
- 〈황도좌표〉, 《두산백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