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뫼레-오그-롬스달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노르웨이 위치

뫼레-오그-롬스달주(노르웨이어: Møre og Romsdal fylke)는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

개요[편집]

뫼레-오그-롬스달주의 면적은 15,121㎢이며 인구는 265,540명(2019년)이며 주도는 몰데이다. 동쪽으로는 쇠르트뢰넬라그주, 남쪽으로는 오플란주, 서쪽으로는 송노피오라네주, 북쪽으로는 노르웨이해와 접한다. 36개 지방 자치체를 관할한다.

문장은 세 개의 바이킹 배로 이는 노르뫼레(Nordmøre), 롬스달(Romsdal), 순뫼레(Sunnmøre) 지구를 나타낸다. 주 이름은 1919년까지는 롬스달이었으나 1932년 오늘날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앞의 두 글자는 노르뫼레 (Nordmøre), 순뫼레(Sunnmøre)지구, 마지막 글자는 롬스달(Romsdal)지구에서 유래하였다.문장은 세 개의 바이킹 배로 이는 노르뫼레(Nordmøre), 롬스달(Romsdal), 순뫼레(Sunnmøre) 지구를 나타낸다. 주 이름은 1919년까지는 롬스달이었으나 1932년 오늘날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앞의 두 글자는 노르뫼레 (Nordmøre), 순뫼레(Sunnmøre)지구, 마지막 글자는 롬스달(Romsdal)지구에서 유래하였다.

각 지구는 현재 상업과 문화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경쟁적이었다. 이는 각 지구들이 역사적으로 인접 주(州)와 더 친밀한 관계를 맺어온 것에서 알 수 있는데, 노르뫼레(Nordmøre)는 쇠르트뢰넬라그(Sør-Trøndelag) 주와 중부 롬스달(Romsdal)은 오플란 (Oppland) 주와 순뫼레(Sunnmøre) 는 송노피오라네( Sogn og Fjordane) 주와 훨씬 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특히, 각 지구의 방언 차이는 그러한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예로부터 조선해운이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1978년 제정된 도시의 문장에는 3개 지방과 바다를 상징하는 바이킹선 세 척이 그려져 있다. 돛대에는 뫼레오그롬스달의 기독교 신앙을 상징하는 십자가가 있다. 3개 지방은 행정구역상의 구분은 아니지만 각기 뚜렷한 지방색을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3개 지방 간 상호 교류보다는 인접한 다른 주와의 유대가 강하다. 각 지역 사투리에 이 같은 사정이 반영되어 있다.

라우마에 있는 트롤스티겐 도로는 850m의 표고차를 구불구불 올라가는 산악도로로 노르웨이에서 유명한 관광지 중 하나다. 후스타드비카와 아베뢰위 군도를 잇는 8.3km의 대서양로는 노르웨이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세계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로 꼽히면서 자동차 광고 촬영지로 유명하다.

뫼레오그롬스달주는 지형적인 특성상 지역과 해안에 인구가 밀집해 있고 도시와 주거지도 그곳에서 발달했다.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간 여러 개의 피오르로 인한 복잡한 지형 때문에 일찍부터 해상교통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2019년 노르웨이 문화유산연구소는 고해상도 지표면투과 레이더 기술을 이용해 에되위야섬에 1000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7m의 바이킹선을 발견하고 탐사를 진행 중이다.[2] [3]

자연환경[편집]

과 연안의 날씨는 여름에 덥지 않고 겨울은 다소 춥다. 동부 내륙의 피오르 끝과 계곡여름이 온화하나 일부 산악 지역은 여름에도 춥고 겨울에 눈이 많다. 게이랑에르피오르는 유네스코 자연유산지역으로 피오르 양쪽 끝의 게이랑에르와 헬레쉴트 마을은 피오르 관광의 관문으로 유명하다.

몰데의 산 정상에서 둘러보는 몰데 파노라마는 222개 산봉우리와 수많은 섬, 피오르의 장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올레순은 1904년 대화재 이후 아르누보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교통[편집]

뫼레오그롬스달의 9개 공항 중 대도시 주변의 4개 공항에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가장 큰 올레순공항에만 국제선이 있다. 9개 공항 간 정기노선은 운항하지 않는다. 온달레스에서 출발하는 라우마 철도 노선이 노르웨이의 주요 철도노선과 연결된다.

연안 페리선인 후르티그루텐이 매일 연안도시 크리스티안순, 몰데, 올레순을 운항한다. 여름철 덴마크와 영국에서 출발한 수많은 크루즈 관광선이 뫼레오그롬스달주의 여러 도시와 피오르를 오간다.

관광[편집]

몰데 재즈 페스티벌[편집]

몰데 재즈 페스티벌은 노르웨이 서부 뫼레오그롬스달주(Møre og Romsdal)의 몰데(Molde)에서 매년 7월에 열리는 국제 재즈음악 축제이다.

1961년부터 시작되었고, 유럽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재즈축제이다. 노르웨이 서해안의 작은 휴양 도시인 몰데에서 매년 7월 중순에 열린다. 공식 명칭은 몰데 국제 재즈 페스티벌(MIJF, Molde International Jazz Festival)이다. 축제는 6일간 열리며 축제 기간동안 도시 곳곳에서 약 500회 이상의 콘서트가 펼쳐진다. 공연을 감상하고 축제를 즐기기 위해 매년 10만여 명의 방문객이 참가한다.

재즈는 노르웨이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장르 중 하나이다. 축제는 이 지역에 있던 스토리빌 재즈 클럽(Storyville Jazz Club)이라는 작은 무대에서 시작되었으며, 아름다운 도시 몰데에서 재즈축제와 함께 여름휴가를 보내기 위해 노르웨이 전역의 많은 음악애호가들이 모여들었다. 1964년부터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축제로 성장했고, 점차 세계적인 명성의 재즈음악가들이 공연을 위해 몰데를 방문했다. 이 축제에 참여한 대표적인 재즈음악가로는 베니 베일리(Benny Bailey), 디지 길레스피(Dizzy Gillespie), 노라 존스(Norah Jones) 등이 있으며, 에릭 클랩튼(Eric Clapton), 밥 딜런(Bob Dylan), 폴 사이먼(Paul Simon),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등 세계적인 팝가수들의 공연도 함께 열렸다.

몰데는 오슬로(Oslo)에서 북서쪽으로 약 500km, 베르겐(Bergen)에서 북동쪽으로 약 450km 떨어져 있다. 축제는 몰데 시청 앞에 마련된 주행사장인 야외무대를 비롯하여 도시 내의 공연장·클럽·공원·교회 등에서 매일 자정까지 연주회가 동시에 열리며, 거리에는 무명연주자들의 즉석 공연이 펼쳐진다.[4]

몰데[편집]

몰데는 노르웨이 뫼레오그롬스달주의 주도로 파나피오르(Fannefjord)와 몰데피오르(Moldefjord)로 둘러싸인 롬스달(Romsdal) 반도에 위치한 항구도시이다. 노르웨이 남서부의 관광 중심지로 주요 크루즈항 중 하나다. 장미 정원이 아름다운 도시로 장미의 도시라고도 불린다. 아름다운 정원을 갖춘 멋진 호텔들이 많다. 여름이 시원하고 겨울은 온화하다.

몰데는 중세(5~15세기) 후반부터 무역중심지로 성장한 오래된 도시이다. 공식적으로 1614년 도시의 무역권한이 부여되었고 1742년 칙령에 의해 도시로 선포된 뒤 1838년 자치도시가 되었다. 18~19세기 노르웨이의 섬유, 의복 산업의 중심지면서 경치가 아름다운 도시로 주요 관광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이후 도시의 성장은 가속화되어 주변지역을 잇따라 흡수하면서 행정과 공공서비스의 중심지이자 학술자원과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도시의 핵심 산업은 전통적인 목재와 섬유 산업에서 해양, 석유관련 사업으로 바뀌었다. 몰데와 주변 지역은 경치가 빼어나 노르웨이에서 인기 관광지로 꼽히는 곳이 많다. 가파른 능선을 구불구불한 도로를 타고 올라가는 트롤스티겐(Trollstigen)은 노르웨이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도시 북쪽 언덕의 바르덴(Varden) 전망대에서 조망하는 주변의 피오르와 섬, 222개 산 봉우리가 넓게 펼쳐진 ‘몰데 파노라마(Molde Panorama)’가 유명하다. 몰데의 동북쪽 크리스티안순(Kristiansund)으로 이어지는 대서양로(Atlantic Road, 또는 Atlantic Ocean Road)는 작은 섬과 바위섬, 거친 파도가 있는 해양을 구불구불 가로지르는 다리로 연결된 세계적인 도로 관광지다. 자동차 광고 촬영지로 잘 알려져 있다.

매년 7월 개최되는 몰데 국제 재즈페스티벌(Moldejazz Jazz Festival)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재즈 페스티벌중 하나다. 매년 8월 열리는 비에른손 페스티발(Bjørnson Festival)은 세계 문학 페스티벌로 노르웨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것이다.

몰데의 도시명은 이곳에 있던 농장의 이름 'Molde'에서 따 온 것으로 어원은 '비옥한 토지', 또는 도시의 완만한 산봉우리를 뜻한다. 몰데는 이곳 사투리로 몰레(Molle)라 발음하기도 한다. 몰데 사람들은 다른 지역에서 자신을 소개할 때‘몰덴세르(Moldenser)라 부르기도 한다.

1742년 제정된 도시를 상징하는 휘장에는 바다 위에 청어를 뒤쫓는 고래를 그려 넣어 청어잡이와 바다를 통한 목재수출이 과거 도시 형성의 기반이었음을 상징한다. 몰데는 고래잡이 항구는 아니었으나 1740년대 기근이 휩쓸던 때도 풍부한 어장 덕분에 어려운 시기를 이겨낼 수 있었다.

봄철 고래의 출현은 본격적인 청어잡이 계절이 도래했음을 알려주는 반가운 신호로 도시 휘장에서 고래가 상징적인 한 장면을 차지하게 되었다. 중세 초기 이곳의 중심지는 몰데 남쪽의 베외위아(Veøya)섬이었다.

15세기 이후 베외위아가 영향력을 상실하고 몰데는 목재와 청어 수출로 항구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점차 이 지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1614년 트론헤임(Trondheim)시의 감독 아래 시장도시의 무역거래권을 갖게 되었다. 16~17세기 몰데는 주변의 풍부한 원목과 도시로 흘러드는 몰데엘바강, 바다와 가까운 항구도시의 이점을 살린 원활한 목재수송과 가공, 수출 활동을 기반으로 성장했다.

몰데는 스웨덴노르웨이 중부지역을 점령했던 1658~1660년 저항운동의 중심지였다. 1660년 전쟁이 끝나고 자유를 되찾자 몰데는 롬스달렌암트(Romsdalen Amt : 현재의 뫼레오그롬스달주)의 행정중심지가 되었고 1742년 칙령에 의해 공식적인 시장도시(market town)가 되었다. 18~19세기 몰데는 번영을 지속해 노르웨이의 섬유와 의복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09년에는 몰데엘바 강변에 첫 수력발전소가 세워지면서 도시에 충분한 전기와 식수도 공급되었다. 이후 독일 황제 빌헬름 2세(Wilhelm II, 1888~1918)와 영국 왕세자 등 왕족과 예술가들의 여름 휴가지로 각광받으면서 관광명소가 되었다. 몰데는 아름다운 장미로 잘 꾸며진 정원이 많아 1913년 '장미의 도시(town of roses)'란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16년 화재로 도시의 3분의 1이 파괴되어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이를 극복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39년까지 경제적으로 궁핍한 시기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1940년 독일의 공습으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도시의 3분의 2가 파괴되었다.

노르웨이 왕과 정부, 의회는 수도 오슬로(Oslo)에서 몰데로 옮겨왔고 국고의 금괴도 가져와 몰데의 섬유공장에 숨겨놓았다. 독일군은 이를 알아내고 일주일동안 공습을 감행해 도시를 불바다로 만들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노르웨이의 재건과 현대화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몰데는 행정과 공공서비스의 중심지로, 학문과 산업생산의 중심지로 급속히 성장할 수 있었다. 1964년 주변지역을 통합하고 도시를 정비한 뒤 농업, 어업, 산업, 금융, 고등교육, 관광, 상업, 보건, 행정의 중심지가 되면서 다원화된 현대적인 도시로 거듭나게 되었다.

1952년 도시를 둘러싼 농촌지역 볼쇠위(Bolsøy)를, 2020년 미드순(Midsund)과 네셋(Nesset)을 합병하는 등 수차례 주변 지역을 흡수하면서 도시의 규모가 커졌다. 몰데의 주력산업은 전통적인 목재와 섬유산업에서 해양, 석유관련 사업으로 발전했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뫼레오그롬스달주〉, 《위키백과》
  2. 두산백과 : 뫼레오그롬스달주〉, 《네이버 지식백과》
  3. 유럽지명사전 : 노르웨이 뫼레오그롬스달주 〉,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 몰데 재즈 페스티벌〉, 《네이버 지식백과》
  5. 유럽지명사전 : 노르웨이 몰데〉,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북유럽 같이 보기[편집]

북유럽 국가
북유럽 도시
북유럽 지리
북유럽 섬
북유럽 문화
북유럽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뫼레-오그-롬스달주 문서는 유럽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