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새벽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벽은 먼동이 트려 할 무렵을 말한다.

개요[편집]

새벽은 해가 떠오르기 직전부터 이른 아침까지를 말한다. 태양은 아직 지평선 위로 떠오르지 않았지만 주위가 차츰 밝아진다. 즉, 새벽은 일출이 가까운 밤의 끝자락, 먼동이 터올 즈음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에서는 흔히 자정으로부터 오전 06시 사이까지, 특히 시간을 말할 때 '새벽 ○○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잦다. 새벽과 심야는 전혀 다른 말로 새벽은 푸르스름한 벽색 하늘이 밝아오를 시간이고, 반면에 심야(深夜)는 푸른 빛이 전혀 없는 검은 암야로 하루 중 깊은 밤을 의미한다.

새벽이 지속되는 시간은 관찰자의 위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적도 근방에서는 새벽이 몇 분 만에 끝난다. 반면 북극권남극권의 극 지역에서는 몇 시간씩 계속될 수도 있으며 계절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극지방이 아닌 중간에 위치한 북반구남반구의 경우에도 동지 같은 겨울의 무렵에는 오전 8시가 되어도 새벽인 반면에 여름에는 오전 5시도 채 안 되어서 해가 떠오르므로 새벽이 짧다.

서양의 민담에서는 악마나 흡혈귀와 같은 악한 정령들은 새벽이 오면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보통 이들은 어둠을 좋아하고 빛을 싫어하며, 특히 햇빛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본 문서에서는 광의로 새벽에 들어가는 심야 시간대와 협의의 새벽을 한 문서로 통합했다. 다만 한밤중일 때와 아침이 밝아오는 시간대는 특성이 상당히 다르므로 분리해 설명한다.[1][2]

심야[편집]

심야(深夜)는 24시간 중 가장 어두운 시간인 00시 30분(오전 12시 30분;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이 있는 시간대다. 민가는 수면을 위해 건물들의 불이 꺼지고 번화가(상업 지역)는 도심 공동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역 가리지 않고 저녁 ~ 자정 시간대보다 야경이 더 어둡다.

이 시간대에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할 경우 시청률은 당연히 바닥을 설설 기는 암흑 시간대에 해당한다. 새벽에 쿨쿨 자는 사람들은 당연히 TV를 켜지 않을 것이고 새벽에 깨 있는 사람들은 출근 준비를 하느라 바쁘기 때문이다. 그나마 오전 6시가 넘어가면 뉴스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TV를 켜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새벽에 편성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뉴스 프로그램이거나 시간 때우기용 재방송, 혹은 심야 애니메이션이나 옴부즈맨 프로그램, 정파 방송 등이다. 다만 새벽 시간대(00시 ~ 05시)에 올림픽, 월드컵 등 대한민국 선수들이 출전하는 중요한 스포츠 경기가 열릴 때에는 그나마 시청률이 높다. 그리고 가끔 영화 채널을 돌리다보면 선정적인 장면들이 자주 나오는 시간대이기도 하다. 새벽에 성욕이 가장 많이 높아지기도 하고, 어린이가 선정적인 장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청률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편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상파 게임방송이 이시간대에 편성되는데, 이는 방통위가 심야시간에만 방송할 수 있게 규정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하철도 심야 때에 막차를 운용한 뒤에 운행을 종료하고 쉰다. 해가 뜨기 전 가장 어두운 01 ~ 04시쯤에는 가장 몽환적인 시간이므로 무섭다는 이미지가 있다. 공포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간대이기도 하며, 무속인들도 이때가 귀신이 제일 많이 움직이는 순간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대부분 잠에 들어있어 신체 활동이 둔화되기 때문. 물론 야간에 일하는 사람이나 밤에 깨어 있는 게 몸에 맞는 사람이라는 예외는 있다. 다만 비슷한 21시 ~ 00시(오후 09시 ~ 오전 12시)는 무섭다는 이미지는 있어도 01시 ~ 04시만큼 어둡게 묘사되지는 않는데, 당연히 사람들의 활동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간대, 특히 21시 ~ 23시(오후 09시 ~ 11시)쯤은 심야로 잘 여겨지지 않는다.

중환자와 노인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간이 새벽이다. 새벽에 신체 에너지가 가장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 밤이 고비입니다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주침야활과 유사한 이 시간에 활동하는 게임 유저들을 흔히 새벽러라고 부른다. 매칭이 잘 잡히지 않고 잡혀도 고인물들이 많이 들어온다. 가끔 잼민이를 피하려고 새벽러가 되기도 하며, 아니면 대개 밤 늦게까지 게임하면서 자연스레 새벽러가 된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새벽러가 많이 서식하는데, 비새벽러가 많이 빠지기 때문에 당연히 글리젠은 줄어든다.

사람들의 활동량이 매우 적으나 아예 없지는 않기 때문에 이 시간에 산책해본 사람들의 경험담에 따르면 드물지만 가끔씩 사람이 지나간다 한다. 심야 산책을 하면 밤 산책보다 더 어둡게 산책을 즐길 수 있다. 밤 시간대라 공기도 좋기 때문에 시도할 만하다. 다만 치안이 불안정한 지역(국가)에서는 절대로 하지 말도록 하자. 새벽에도 안심하고 산책할 수 있는 나라는 굉장히 적다. 웬만한 선진국에서도 하지 않기를 추천한다. 그나마 홍콩, 한국, 대만, 일본, 싱가포르 정도가 가능한 나라. 하지만 그렇더라도 새벽에 단독 산책은 사실상 권장되지 않는다. 새벽에 납치와 성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감성이 증가하는 시간대이다. 이 현상을 새벽 감성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새벽감성이 증가해 슬픈 노래를 듣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 뻘글을 싸지르는 행위 등으로 인해 흑역사를 쓰기도 한다. 이는 행복감을 느끼게 해 주는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고 우울감을 유발하는 멜라토닌이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과학적 설명도 있으며, 주침야활족들이 우울증을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부산, 울산, 광주 등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갈 때는 심야 시간대에 심야버스를 타고 출발해서 가야 당일치기 여행이 가능하다. 그래서 일부러 심야 고속버스를 타서 잠을 버스 안에서 해결하고 새벽에 도착해 첫차를 타고 일정을 시작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물론 심야인 만큼 할증이 추가되며 심야우등버스로 운행하는 경우 기존요금에 50% 이상 가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코레일은 야간선로작업으로 인한 모든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화물열차 정차역 도중 장시간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변압기 수송열차 가끔식 운행하기도 한다. 화물트럭 같은 경우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대형트럭이나 트레일러 기사는 차안에서 잠을자는 경우가 있다.[2]

이른 아침[편집]

이른 아침은 일반적으로 새벽이 되면 어둡던 하늘이 서서히 파래지고 동쪽 하늘이 붉어지며 해가 솟아오른다. 사람들이 서서히 잠에서 깨어나기 시작하는 시간이다. 서울 기준으로는 오전 4시부터 버스가 다니기 시작하고 오전 5시 정각부터 지하철이 다니며 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나 멀리 일하러 출근하는 사람들이 부지런히 움직이는 등 의외로 사람들의 활동이 많다. 버스 및 지하철의 첫차 시간이기도 하며 건물 청소부, 경비원, 일용직 노동자, 재래시장을 찾는 이용객 및 상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어두운 밤에서 날이 밝아오는 아침의 중간 시기여서 그런지 긍정적인 이미지가 있으며 어두운 현실에서 밝아오는 미래, 즉 희망을 비유하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 대한민국에서 이 비유로 유명한 사례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유신정권 당시 의원직 제명안 가결 직후에 말한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가 있다. 영화 다크 나이트에서도 하비 덴트는 동트기 전의 새벽이 가장 어두운 시간이라고 말한 바 있다. 군사에선 이 새벽이 은폐와 기습에 가장 효율적인 시간대라는 설이 있다. 왜냐하면 곧 해가 뜨는 아침이 되므로 밤새 경계에 지친 경계 인원도 긴장이 풀리며 피곤함이 더 몰려오거나 상대적으로 해이해지기 쉽고 어중간하게 밝은 빛은 아예 어두운 때보다 오히려 경계에 집중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겨울철에 아침과 더불어 가장 춥게 느껴지는 시간대이며, 실제로도 하루 중 기온이 제일 낮은 시간은 해 뜨기 직전의 새벽 시간이다. 비슷한 한자말 중에 여명이라는 단어도 있는데 이 말은 아침이 다가오는 새벽에 밝아오는 희미한 빛을 일컫는 말이라 의미는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문학적으로는 새벽보다는 좀 더 희망의 의미가 강하다. 인명으로도 쓰이며, 주로 여성의 인명으로 쓰이지만 드물게 남성의 인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새벽을 이름으로 차용한 유명한 가상 인물은 너는 내 운명의 장새벽, 오징어 게임의 강새벽이 있다.[2]

새벽의 해돋이[편집]

해돋이 또는 일출(日出)은 새벽에 태양의 윗부분이 지평선에 접하는 순간부터 점차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반대로 태양이 지는 것을 해넘이 또는 일몰이라고 한다. 해돋이와 해넘이의 시각은 계절에 따라 변하며, 새벽에 태양의 윗부분이 지평선에 접해서 보이는 순간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밀도로 인하여 태양광선은 대기를 통과할 때에 굴절되어 보인다. 해돋이를 구경하거나 맞이하는 것을 해맞이라고 한다.

  • 대한민국 - 1월 1일 새해 첫날 아침에 해돋이를 보기 위해서 대한민국에서는 동해안 부근에 많은 관광객이 몰리기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해돋이를 보러 가기 위해 금강산이나 원산 일대에 관광객이 몰리는 경우도 있지만 북한 같은 경우, 해돋이 관광하는 양식 역시 대한민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기도 하다.
  • 일본 - 해돋이는 주로 도쿄나 홋카이도의 남동부 지역에 위치한 노삿푸 곶 등을 위주로 해돋이를 맞이하는 경우가 있어 관광 수요 역시 규슈보다 더 뛰어나다.
  • 중화인민공화국 - 해돋이를 상하이 등 동쪽 지역에 거의 집중되는 경우도 있고 내륙부의 경우 동해와 맞닿아 있는 훈춘이나 백두산에 거의 의존한다.
  • 러시아 - 지역마다 다르지만, 주로 극동 러시아 공화국에 거의 집중되어 있다.
  • 미국 - 해돋이를 보러 가기 위해 휴양도시인 하와이, 마이애미에 대거 몰리는 경우도 있기도 하나, 관광 수요 역시 높은 편이기도 하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새벽〉, 《위키백과》
  2. 2.0 2.1 2.2 새벽〉, 《나무위키》
  3. 해돋이〉,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 새벽〉, 《네이버 국어사전》
  • 새벽〉, 《위키백과》
  • 새벽〉, 《나무위키》
  • 해돋이〉, 《위키백과》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새벽 문서는 기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