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평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도) |
잔글 (→같이 보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화북평원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화북평원]] | [[파일:화북평원의 사진.jpg|썸네일|400픽셀|화북평원]] | ||
− | '''화북평원'''<!-- | + | |
+ | '''화북평원'''<!--화북 평원-->(華北平原)은 [[중국]] [[화북지역]]에 있는 [[평원]]이다. '''화베이평원'''<!--화베이 평원-->이라고도 부른다. | ||
+ | |||
==개요== | ==개요== | ||
− | * '''화북평원'''은 화베이 지방의 난온대림 지대와 아열대림 지대로, 황하 중하류 유역과 타이항 산맥 동쪽 및 북동쪽에 위치한 스텝 지역에 걸쳐 있다. 기후가 건조하고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은 이곳은 비교적 이른 개발로 인해 현재 자연 식생은 많이 파괴된 상태이다. 황폐한 [[구릉]]과 사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동안 중국의 빠른 식생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곳 중의 하나이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B%B2%A0%EC%9D%B4_%ED%8F%89%EC%9B%90 화베이 평원]〉, 《위키백과》</ref> | + | * '''화북평원'''은 중국 화베이 지방의 난온대림 지대와 아열대림 지대로, 황하 중하류 유역과 타이항 산맥 동쪽 및 북동쪽에 위치한 스텝 지역에 걸쳐 있다. 기후가 건조하고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은 이곳은 비교적 이른 개발로 인해 현재 자연 식생은 많이 파괴된 상태이다. 황폐한 [[구릉]]과 사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동안 중국의 빠른 식생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곳 중의 하나이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B%B2%A0%EC%9D%B4_%ED%8F%89%EC%9B%90 화베이 평원]〉, 《위키백과》</ref> |
* '''화북평원'''은 면적 약 409,500km²로 중국 최대의 평야 중 하나다. 동쪽에 황해, 북서 쪽에 [[태항산맥]]이 있고 남쪽 경계는 기준에 따라 회하가 되기도, 장강과 다볘산맥(大别山)이 되기도, [[장강]] 하류가 포함되기도 한다. 한가운데 [[태산]]이 있고 황허가 가로지른다. 토질은 비옥하지만 오랜 기간 과도한 개발로 상당히 황폐화됐고 강우량이 적어 건조기후인 지역이 많다. 이러니 여름에 기온이 상당히 높고 인구밀도도 높아 오염이 심각하다. 여전히 중국의 곡창지대 중 한 곳이라 밀이 많이 나고 수수, 기장, 옥수수, 땅콩, 참깨, 목화, 각종 채소류도 많이 난다. <ref>〈[https://namu.wiki/w/%ED%99%94%EB%B6%81%ED%8F%89%EC%95%BC 화북평야]〉, 《나무위키》</ref> | * '''화북평원'''은 면적 약 409,500km²로 중국 최대의 평야 중 하나다. 동쪽에 황해, 북서 쪽에 [[태항산맥]]이 있고 남쪽 경계는 기준에 따라 회하가 되기도, 장강과 다볘산맥(大别山)이 되기도, [[장강]] 하류가 포함되기도 한다. 한가운데 [[태산]]이 있고 황허가 가로지른다. 토질은 비옥하지만 오랜 기간 과도한 개발로 상당히 황폐화됐고 강우량이 적어 건조기후인 지역이 많다. 이러니 여름에 기온이 상당히 높고 인구밀도도 높아 오염이 심각하다. 여전히 중국의 곡창지대 중 한 곳이라 밀이 많이 나고 수수, 기장, 옥수수, 땅콩, 참깨, 목화, 각종 채소류도 많이 난다. <ref>〈[https://namu.wiki/w/%ED%99%94%EB%B6%81%ED%8F%89%EC%95%BC 화북평야]〉, 《나무위키》</ref> | ||
43번째 줄: | 45번째 줄: | ||
<youtube>1jfs4uPELp0</youtube> | <youtube>1jfs4uPELp0</youtube> | ||
<youtube>eXg_h9kuST0</youtube> | <youtube>eXg_h9kuST0</youtube> | ||
− | |||
<youtube>O8n2ghZcJ6U</youtube> | <youtube>O8n2ghZcJ6U</youtube> | ||
62번째 줄: | 63번째 줄: | ||
* [[산시성]] | * [[산시성]] | ||
* [[송눈평원]] | * [[송눈평원]] | ||
− | * [[ | + | * [[동북평원]] |
* [[요하평원]] | * [[요하평원]] | ||
* [[동북평원]] | * [[동북평원]] |
2024년 9월 16일 (월) 14:52 기준 최신판
화북평원(華北平原)은 중국 화북지역에 있는 평원이다. 화베이평원이라고도 부른다.
개요[편집]
- 화북평원은 중국 화베이 지방의 난온대림 지대와 아열대림 지대로, 황하 중하류 유역과 타이항 산맥 동쪽 및 북동쪽에 위치한 스텝 지역에 걸쳐 있다. 기후가 건조하고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은 이곳은 비교적 이른 개발로 인해 현재 자연 식생은 많이 파괴된 상태이다. 황폐한 구릉과 사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동안 중국의 빠른 식생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곳 중의 하나이다. [1]
- 화북평원은 면적 약 409,500km²로 중국 최대의 평야 중 하나다. 동쪽에 황해, 북서 쪽에 태항산맥이 있고 남쪽 경계는 기준에 따라 회하가 되기도, 장강과 다볘산맥(大别山)이 되기도, 장강 하류가 포함되기도 한다. 한가운데 태산이 있고 황허가 가로지른다. 토질은 비옥하지만 오랜 기간 과도한 개발로 상당히 황폐화됐고 강우량이 적어 건조기후인 지역이 많다. 이러니 여름에 기온이 상당히 높고 인구밀도도 높아 오염이 심각하다. 여전히 중국의 곡창지대 중 한 곳이라 밀이 많이 나고 수수, 기장, 옥수수, 땅콩, 참깨, 목화, 각종 채소류도 많이 난다. [2]
- 화북평원의 북쪽과 서쪽에는 타이항산맥을 비롯한 산들이, 동쪽으로는 황해가 있으며 남쪽 경계는 기준에 따라 화이허가 되기도, 장강과 다볘산맥(대별산맥)이 되기도, 장강 하류 지역이 포함되기도 한다. 한가운데 타이산이 있으며 황허가 가로질러 흐른다. 토질은 비옥했지만 오랜 기간 과도한 개발로 인해 황폐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강우량이 적어 건조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이 많다. 이러니 여름에 상당히 높은 기온이 기록되는 경우가 많으며, 인구밀도도 높아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수질오염이 심각한 편이기도 하다. 밀 농사에 적합하여 과거부터 밀가루를 사용한 요리도 많았는데 국수 요리는 물론이고 만터우, 꽃빵 같은 자체적인 빵 요리도 있다. 밀 외에 수수, 기장, 옥수수, 땅콩, 참깨, 목화, 각종 채소류 등도 많이 생산되며 평야 동부 지역에는 유전 지대가 있다.
- 화북평원은 중국 화북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원이다. 서쪽은 타이항(太行)산맥, 동쪽은 보하이(渤海)와 산둥(山東)구릉, 북쪽은 옌산(燕山)산맥, 남쪽은 다볘산(大別山)으로 구분되는데, 남동쪽 연변은 양쯔강(揚子江) 유역 사이에 명확한 경계는 없다. 서쪽과 북쪽 고원지대에서 흘러내리는 황허강(黃河) ·화이허강(淮河) ·하이허강(海河) 등의 여러 수계에 따라 흘러 내려온 대량의 진흙과 모래가 오랫동안 퇴적하여 이루어진 대평원으로 퇴적작용은 아직도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황허강 하류에 형성된 삼각주의 성장은 뚜렷하다. 해발고도 태반이 100∼50m 이하이다. 화북평원의 서부는 선상지(扇狀地)로서 배수도 좋고 지하수도 넉넉하여 관개에 이용된다. 그 동쪽의 충적평야는 평탄하여 경사도는 1/5,000∼l/10,000 정도이며, 자연제방과 인공제방이 방해가 되어 배수불량한 와지가 형성되어 바이양딩(白洋淀) 등 소택이나 습지를 이루는 곳도 많다. 기후는 온난하고 500mm 이상의 연강수량을 나타내지만, 계절풍의 강약에 따라 여름의 우량이 변화하여 홍수 ·한발을 일으키기 쉽다. 중국의 밭농사 농업의 대중심지로 밀 ·조는 전국의 거의 대부분을 산출하고, 수수 ·옥수수 ·콩도 많다. 또 잎담배 ·목화 ·참깨 ·땅콩의 주산지이기도 하다.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정저우(鄭州) ·지난(濟南)을 비롯하여 많은 도시가 있다. [3]
화북평원의 역사[편집]
- 화북지역은 중국 베이징시(北京市)와 허베이(河北) ·텐진(天津)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에 걸친 지구(地區)의 총칭이다. 면적 70만㎢. 중앙부에는 황허강(黃河) 하류에 전개된 충적평야를 주로 하는 화북평원이 펼쳐져 있고, 서쪽으로는 황토로 뒤덮인 고원과 산지가 있다. 온대의 준건조기후로서 연강수량은 약 500mm 내외이다. 따라서 대부분이 밭지대로 밀 ·조 등의 식량작물 외에 목화 ·땅콩 ·참깨 ·담배 등을 산출하나 논농사도 성하다.
-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그 전의 원시 농업과는 다르게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간섭도를 높이게 만들었다. 춘추 시대까지만 해도 인구가 희소했던 화북평원은 인간으로 인한 변화가 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이 보다 빈번해지기 시작한 전국 시대부터는, 식량에 대한 공급 증가를 목적으로 황무지 개간과 함께 철제 농기구 보급이 확산되었다. 동시에 삼림과 초원의 제거가 가속화되어 지금의 허난성 중부에서 키가 큰 나무를 찾아보기 어렵다. 전국 시대 이후에도 화베이 지방은 2,000여 년간 전쟁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 곳으로 개간된 땅이 다시금 황폐화되는 일이 반복되기도 했다. 그와 동시에 농경을 위한 수리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는 화베이 평원에 대한 파괴를 악화시켰다.
- 하이허강(海河) ·항허강 유역을 비롯하여 이 지역은 전반적으로 홍수 ·한발의 피해가 격심하였으나 공산정권 성립 이후 치수 ·수리 공사로 개선하였다. 공업도 예전에는 칭다오(靑島) ·톈진(天津) 등지에 외국자본의 공장이 있었으나 광공업화가 추진되어 많은 광산이 개발되고, 베이징 ·타이위안(太原) ·지난(濟南) ·뤄양(洛陽) 등 많은 공업도시가 생겨났다. 중국문명의 발상지로서 오랜 역사를 간직한 지역인 동시에 베이징의 석유화학 콤비나트를 비롯하여 다강(大港) ·성리(勝利) ·다자이(大寨) 등의 각 유전 지역에도 공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화북지역의 범위[편집]
- 화베이(华北)는 중국의 6대 중국지리대구(中國地理大區)의 하나로서 중국 북부 지방이며, 화베이 평원이 그 중심이다. 중국은 역사적, 전통적으로 화이허(淮河)를 기준으로 화북(화베이)와 화남(화난華南)로 크게 구분해 왔다. 화베이는 황하를 중심으로 한 황하 문명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게르만 대이동과 비교되는 동북방과 북방의 농경과 유목을 하는 이민족들이 대거 화북(화베이)으로 침입해 오면서 화북을 정복하였고 화베이에 있던 한족들은 화남(화난)으로 쫓겨나게 되었다. 그 이후 화남에 한족들의 남조가 차례로 건국되었다. 항상 화남의 한족 남조 국가들은 이민족의 화북 북조의 침략에 조약을 걸고 북조에 조공을 하며 북조(北朝)의 이민족들을 달래어 공격을 막으려 했으나 결국 이민족의 북조에 의해 계속 멸망하게 된 역사가 있다.
- 원래 화북이라는 지형은 전통적으로 황하 이북 즉 중국 북부 전체를 부르는 단어이나 현재 화베이 지방은 북부 일부분을 부르는 지형으로 바꼈다. 중국의 수도는 화베이 지방의 베이징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상 이러한 호칭은 없으며, 역사나 지리적 맥락 등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지금도 널리 사용되는 말 중의 하나이다. 중국 남북조 시대 때 북중국을 통일한 북위가 화북을 다스렸다. 굳이 행정구역상 분류를 하자면 베이징 시(北京市), 톈진 시(天津市), 허베이성(河北省), 산시성(山西省),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가 포함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北京)이 위치하고 있고, 그 밖에 톈진(天津), 스자좡(石家庄), 타이위안(太原), 탕산(唐山), 다퉁(大同), 후허하오터(呼和浩特) 등의 도시가 있다. 허베이 성의 산하이관(山海关)은 만리장성(万里长城)의 동쪽 끝이다. 서쪽 끝은 간쑤성(甘肃省)의 자위관(嘉峪关)이다.
화북평원을 흘러지나는 황하[편집]
- 중국 북부를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중국 제2의 강이다. 길이는 5,464km, 유역면적 75만 2443㎢이다. 칭하이성(靑海省) 바옌카라산맥(巴顔喀拉山脈)의 야허라다쩌산(雅合拉達澤山:5,442m)에서 발원하는 웨구쭝례거(約古宗列渠)가 원류로서, 싱쑤해(星宿海) 및 어링호(鄂陵湖)·자링호(札陵湖)를 거친 하류를 가리킨다. 산시성(山西省) 허취현(河曲縣) 부근에서 남하하여 퉁관(潼關) 부근에서 또다시 동으로 진로를 바꾸어 싼먼샤(三門峽)를 거쳐 산시·허난성(河南省) 경계를 흘러 황토고원(黃土高原)을 관통하여 화베이평야(華北平野)로 들어가 산둥성(山東省) 컨리현(墾利縣)에서 보하이만(渤海灣)으로 들어간다.
- 황허강 중·하류는 중국 문명의 요람지(搖籃地)로서 이름 높다. 유역에는 산시성 란톈현(藍田縣)에서 발견된 란톈원인(藍田原人)의 유적을 비롯한 채도(彩陶) ·흑도기(黑陶期)와 은(殷)나라의 유물이 수없이 발견되었고 그 밖에 역대 왕조의 사적도 무수히 남아 있다. 황허강은 흘러내리는 토사에 의해서 화베이평야의 대부분을 형성한 만큼, '물 1말에 진흙 6되'라고 할 정도로 유수(流水) 중에 포함된 진흙의 양이 많아서 1년에 13억 8000만 t의 진흙이 하류로 운반되고 있어 토사 함유량으로는 세계 제일이다. 진흙이 많기 때문에 하구의 해안선이 3년 동안 10km나 전진하고 있으며, 하상(河床)의 상승 또한 빨라 천정천(天井川)이 되어 난류(亂流)하였다. 이따금 제방을 파괴하여 북쪽으로 하이허강(海河)에서 남쪽으로 화이허강(淮河)까지의 넓은 평야 위를 흐르면서 때때로 다른 하천의 유로를 빼앗아 유로를 바꾸며 흐른다.
화북평원의 지리특성[편집]
- 황회해평원(黄淮海平原)으로도 불리는 중국의 3대 평원의 하나로 서쪽은 태항산(太行山)과 복우산(伏牛山)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황해, 보하이 및 산동 구릉 지역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북쪽으로 연산(燕山), 남쪽은 대별산(大别山) 지 역에 이르며 장장(长江) 유역을 분계선으로 하여 하북, 산동, 하남, 안휘, 강소, 북경, 천진 등 성과 시를 포함한다.
- 화북평원의 지세는 낮고 평평하여 해발고도는 50m 이하로 전형적인 충적평원이며 황하, 해하(海河), 회하(淮河), 란하(滦河) 등에서 대량의 토사가 쌓여 이루어졌으며 최근 평원의 면적인 점점 확대되고 있다. 화북평원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요하하류평원(辽河下游平原), 해하평원(海河平原), 황범평원(黄泛平原), 회북평원(淮北平原)의 4개의 평원으로 구분된다. 산해관(山海关)을 경계로 요하(辽河)의 충적토에 의해 형성된 요하 하류평원(辽河下游平原)은 소택지(沼泽地)가 비교적 많고 평균기온이 낮으나 여름철에 논농사가 가능하다. 해하평원은 연산 이남, 황하 이북, 태항산 동부지구로 해하 와 황하의 충적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황해평원(黄海平原)으로도 불리고 있다. 남북 간 500 km에 달하여 소위 천리평원(千里平原)이라고도 한다. 주요 작물은 보리와 옥수수의 이모작이 가능하다. 황범평원(黄泛平原)은 해하평원(海河平原)과 회북평원(淮北平原) 사이로 황하의 충적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평균기온이 높아 면화, 땅콩, 쌀, 대추 등의 생장에 적합하다. 화북평원은 회하 이북지역으로 황하의 범람지역 남쪽에 해당되며 황하의 범람과 회하의 충적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기온이 높고 수자원이 풍부하여 중국의 3대 벼농사 지역의 하나이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화북평야〉, 《나무위키》
- 〈평원〉, 《네이버국어사전》
- 〈화베이 평원〉, 《위키백과》
- 〈화베이평원 华北平原(화북평원), 華北平野(화북평야)〉, 《두산백과》
- 중국지식백과, 〈화북평원(华北平原)〉, 《네이버블로그》, 2019-10-10
- 폴린쌤, 〈중국의 4대 고원과 3대 평원〉, 《네이버블로그》, 2016-10-18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