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단말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지원금 단말기 현황) |
잔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하이패스 단말기'''<!-- | + | '''하이패스 단말기'''<!--하이패스단말기-->는 차량 앞 유리 중앙 하단에 부착하여 요금소 안테나와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무선 송수신 장치이다. 고속도로 [[하이패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주파수(RF) 방식과 적외선 방식이 있다. |
+ | {{:자동차 배너|부품}} | ||
+ | |||
+ | ==개요== | ||
+ | [[하이패스]](hi-pass)는 [[한국도로공사]]가 도입한 [[톨게이트]] 통행료 결제 시스템이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주행 [[통행료]]를 결제하고 정산한다. 운전자가 하이패스 카드를 단말기(차량에 부착)에 삽입한 대로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안테나를 지나게 되면 결제정보가 단말기에 기록된다. 시스템 이용은 하이패스용 전자카드, 카드를 읽는 단말기, 하이패스 안테나가 설치된 차로가 필요하다. | ||
+ | |||
+ | 하이패스용 전자카드는 금액을 미리 충전하는 선불카드, 요금소에서 자동 충전되는 자동충전카드, 나중에 한꺼번에 정산하는 후불카드로 분류된다. | ||
+ | |||
+ | 선불카드는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휴게소, 하이플러스 카드 홈페이지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처음 충전금액과 상관없이 1장당 5,000원의 수수료가 부과되고 인터넷 배송의 경우 3,000원의 배송료가 추가된다. 금액충전은 카도구입처에서 추진이 가능하며 인터넷 충전은 카드리더 단말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번거로운 절차와 추가비용의 부담으로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 ||
+ | |||
+ | 자동충전카드는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한 선불카드이며 본인 명의의 제휴은행 계좌를 필요로 한다. 2010년 12월 현재 제휴은행은 기업은행, 국민은행, 농협, 외환은행, SC제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이다. | ||
+ | |||
+ | 후불카드는 국내 신용카드사 또는 카드사 제휴 은행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일반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면 하이패스전용 후불카드(子카드)도 함께 나온다. 카드사에 따라 연회비와 발급비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으며 충전의 번거로움이 없고,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여러모로 인기가 높다. | ||
+ | |||
+ | 하이패스 단말기(OBU)는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하이패스 대리점,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구할 수 있으며, 가격은 50,000원에서 150,000원까지 다양하다. 기본적인 성능은 대부분 비슷하지만 부가기능, 통신방식 등에 따라 가격에서 차이가 난다. 단말기는 통신방식에 따라 RF방식(주파수)과 IR방식(적외선)으로 나뉜다. RF방식 단말기는 통신영역이 넓어 설치 위치에 제약이 없는 대신 전력 소모가 높아 시거잭에 유선을 연결해 전원을 수급해야 한다. 반면 IR방식은 통신영역이 좁아 차량 앞 유리에 설치해야 하지만 전력소모가 낮아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RF방식이면서도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제품도 나오고 있다. | ||
+ | |||
+ | 하이패스 단말기의 사용은 차량정보 등록과정을 거쳐야 하며 단말기 한 개에 1대의 차량을 등록할 수 있다. | ||
+ | |||
+ |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을 완료한 뒤 고속도로에서 주행할 때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할 수 있다. | ||
+ | |||
+ | 최근에 스마트폰으로 하이패스 결제를 대신하는 "모바일 하이패스"가 개발중이며 와 중력센서 등을 활용하고 스마트폰에 하이패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차량 정보와 결제 정보 등을 등록해 결제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스마트폰에 꽂는 통신카드(USIM)에 하이패스 결제 기능을 넣고 톨게이트를 지날 때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등으로 결제하는 식이다. 향후 RF 송수신 기능만 갖춘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거나 통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결제하는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통신사를 중심으로 모바일 결제 앱이 등장했지만 아직 하이패스에서 쓰기 어려운 수준이고 현금을 대체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ref>서동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028&cid=59088&categoryId=59096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ref> | ||
==하이패스 단말기 종류== | ==하이패스 단말기 종류== | ||
16번째 줄: | 36번째 줄: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028&cid=59088&categoryId=59096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 * [[하이패스]] | ||
+ | * [[단말기]] | ||
+ | * [[텔레매틱스]] | ||
+ | * [[고속도로]] | ||
+ | * [[통행료]] | ||
− | {{자동차 | + | {{자동차 전장|검토 필요}} |
2022년 9월 27일 (화) 12:10 기준 최신판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앞 유리 중앙 하단에 부착하여 요금소 안테나와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무선 송수신 장치이다. 고속도로 하이패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주파수(RF) 방식과 적외선 방식이 있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개요[편집]
하이패스(hi-pass)는 한국도로공사가 도입한 톨게이트 통행료 결제 시스템이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주행 통행료를 결제하고 정산한다. 운전자가 하이패스 카드를 단말기(차량에 부착)에 삽입한 대로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안테나를 지나게 되면 결제정보가 단말기에 기록된다. 시스템 이용은 하이패스용 전자카드, 카드를 읽는 단말기, 하이패스 안테나가 설치된 차로가 필요하다.
하이패스용 전자카드는 금액을 미리 충전하는 선불카드, 요금소에서 자동 충전되는 자동충전카드, 나중에 한꺼번에 정산하는 후불카드로 분류된다.
선불카드는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휴게소, 하이플러스 카드 홈페이지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처음 충전금액과 상관없이 1장당 5,000원의 수수료가 부과되고 인터넷 배송의 경우 3,000원의 배송료가 추가된다. 금액충전은 카도구입처에서 추진이 가능하며 인터넷 충전은 카드리더 단말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번거로운 절차와 추가비용의 부담으로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자동충전카드는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한 선불카드이며 본인 명의의 제휴은행 계좌를 필요로 한다. 2010년 12월 현재 제휴은행은 기업은행, 국민은행, 농협, 외환은행, SC제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이다.
후불카드는 국내 신용카드사 또는 카드사 제휴 은행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일반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면 하이패스전용 후불카드(子카드)도 함께 나온다. 카드사에 따라 연회비와 발급비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으며 충전의 번거로움이 없고,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여러모로 인기가 높다.
하이패스 단말기(OBU)는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하이패스 대리점,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구할 수 있으며, 가격은 50,000원에서 150,000원까지 다양하다. 기본적인 성능은 대부분 비슷하지만 부가기능, 통신방식 등에 따라 가격에서 차이가 난다. 단말기는 통신방식에 따라 RF방식(주파수)과 IR방식(적외선)으로 나뉜다. RF방식 단말기는 통신영역이 넓어 설치 위치에 제약이 없는 대신 전력 소모가 높아 시거잭에 유선을 연결해 전원을 수급해야 한다. 반면 IR방식은 통신영역이 좁아 차량 앞 유리에 설치해야 하지만 전력소모가 낮아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RF방식이면서도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제품도 나오고 있다.
하이패스 단말기의 사용은 차량정보 등록과정을 거쳐야 하며 단말기 한 개에 1대의 차량을 등록할 수 있다.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을 완료한 뒤 고속도로에서 주행할 때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 스마트폰으로 하이패스 결제를 대신하는 "모바일 하이패스"가 개발중이며 와 중력센서 등을 활용하고 스마트폰에 하이패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차량 정보와 결제 정보 등을 등록해 결제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스마트폰에 꽂는 통신카드(USIM)에 하이패스 결제 기능을 넣고 톨게이트를 지날 때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등으로 결제하는 식이다. 향후 RF 송수신 기능만 갖춘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거나 통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결제하는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통신사를 중심으로 모바일 결제 앱이 등장했지만 아직 하이패스에서 쓰기 어려운 수준이고 현금을 대체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1]
하이패스 단말기 종류[편집]
- 룸미러 단말기 - 룸미러와 하이패스 단말기가 합쳐진 일체형 단말기이다. 차량 구입시 옵션으로 제공된다.
- 자가등록 단말기 - 단말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고객이 직접 등록 가능한 단말기이다.
- 지원금 단말기 - 국민 행복을 위한 도공.제조사 간 범사회적 협력을 통하여 보급하는 단말기이다.
- 감면 단말기 - 한국도로공사가 발급하는 통합복지카드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 단말기이다.[2]
자가등록 단말기 구입처[편집]
지원금 단말기 현황[편집]
각주[편집]
- ↑ 서동민,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
- ↑ 〈하이패스 단말기 소개〉, 《하이패스》
참고자료[편집]
- 〈하이패스〉,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