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공항철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공항철도'''(空港鐵道)는 공항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항에 인접한 역까지 열차를 운행하는 철도를 말한다. == 개요 == 공...)
 
(개요)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공항철도는 [[공항]]과 [[도시]]를 연결해주는 철도이다. 공항 리무진 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으로 공항가는 방법의 양대 산맥이다.
+
공항철도는 [[공항]]과 [[도시]]를 연결해준 철도다. 공항리무진 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으로 공항간 방법의 양대 산맥이다.
  
보통 공항은 [[항공기]] 이착륙 시 주변의 고층 건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소음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민원 폭탄을 맞거나 공항 운영 시간에 제약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공항 주변 지역에 건물의 고도 제한이 걸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한 나라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은 장거리 노선의 비행 시간 및 시차 때문에 24시간 가동해야 함을 고려하면 이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인천국제공항]]이 지어진 것도 [[김포국제공항]]의 커퓨 타임이 한 몫을 했다. 일본과 유럽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주요 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참 돌아다니던 기존선 근방에 지선을 살짝 빼서 건설하는 방식으로, 여건이 허락하면 간선상에 공항역을 짓고 그 위를 메워서 활주로로 쓰는 경우도 많다.
+
보통 공항은 [[항공기]] 이착륙 시 주변의 고층 건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소음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민원 폭탄을 맞거나 공항 운영 시간에 제약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공항 주변 지역에 건물의 고도 제한이 걸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한 나라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은 장거리 노선의 비행 시간 및 시차 때문에 24시간 가동해야 함을 고려하면 이는 치명적인 문제다. [[인천국제공항]]이 지어진 것도 [[김포국제공항]]의 커퓨 타임이 한 몫을 했다. 일본과 유럽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주요 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연결돼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참 돌아다니던 기존선 근방에 지선을 살짝 빼서 건설한 방식으로, 여건이 허락하면 간선상에 공항역을 짓고 그 위를 메워서 활주로로 쓰는 경우도 많다.
  
인천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철도처럼 공항의 개통에 맞춰서 일부러 수십km씩 되는 여객용 공항철도 전용선을 건설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사실 이 경우는 공항철도가 인천 북부~서울간 광역철도의 역할도 겸한다는 위치이기 때문에 단순히 공항만을 위해 지었다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실제로 1차개통 시기에는 영종도의 신선한 공기만 인천 본토와 김포공항으로 수송하다가 (물론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이 안된 까닭도 있겠지만), 2차 개통 후 승객이 급속도로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인천국제공항철도같이 수십km짜리 전용선을 짓는 사례가 하나 더 있는데, 2017년 개통된 중화민국의 타오위안 공항 첩운이다. 타이베이 - 신베이 - 타오위안 3개 도시의 광역철도 역할도 떠안았다.
+
인천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철도처럼 공항의 개통에 맞춰서 일부러 수십km씩 여객용 공항철도 전용선을 건설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사실 이 경우는 공항철도가 인천 북부~서울간 광역철도의 역할도 겸한다는 위치이기 때문에 단순히 공항만을 위해 지었다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실제로 1차개통 시기엔 영종도의 신선한 공기만 인천 본토와 김포공항으로 수송하다가 (물론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이 안된 까닭도 있겠지만), 2차 개통 후 승객이 급속도로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인천국제공항철도같이 수십km짜리 전용선을 짓는 사례가 하나 더 있는데, 2017년 개통된 중화민국의 타오위안 공항 첩운이다. 타이베이 - 신베이 - 타오위안 3개 도시의 광역철도 역할도 떠안았다.
  
국내에서 '공항철도' 하면 주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일컫는다. 운영 회사의 정식사명이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승객 안내서 등에는 이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식 명칭에 가깝다. 이 경우 흔히 공철로 더 많이 통용된다.
+
국내에서 '공항철도' 하면 주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일컫는다. 운영 회사의 정식사명이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승객 안내서 등은 이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식 명칭에 가깝다. 이 경우 흔히 공철로 더 많이 통용된다.
  
국내에도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포함한 이런 공항철도들이 몇 군데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군용화물 전용 화물선으로만 쓰인다. 공항 근처에 여객용 역이 있는 경우는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광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정도. 대구국제공항의 경우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아양교역이 그나마 공항과 가장 가깝고 부역명도 대구국제공항이지만 공항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공항철도의 기능을 한다고 보기는 무리가 따른다.
+
국내에도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포함한 이런 공항철도들이 몇 군데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군용화물 전용 화물선으로만 쓰인다. 공항 근처에 여객용 역이 있는 경우는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광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정도. [[대구국제공항]]의 경우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아양교역]]이 그나마 공항과 가장 가깝고 부역명도 [[대구국제공항]]이지만 공항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공항철도의 기능을 한다고 보기는 무리가 따른다.
  
서울시내와 김포국제공항을 잇는 지하철은 5호선이 먼저 지어졌는데,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행 승강장과 바로 연결된 곳은 9호선 승강장이다. 이것은 3기 지하철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공항철도를 짓는 계획이 나왔을 당시 9호선 계획이 존재했는데, 공항철도에 김포공항역을 지으면서 9호선 승강장도 같이 짓고, 최종적으로는 9호선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만든 것. 김포공항역 항목을 보면 좋다.
+
서울시내와 [[김포국제공항]]을 잇는 지하철은 5호선이 먼저 지어졌는데,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행 승강장과 바로 연결된 곳은 9호선 승강장이다. 이것은 3기 지하철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공항철도를 짓는 계획이 나왔을 당시 9호선 계획이 존재했는데, 공항철도에 [[김포공항역]]을 지으면서 9호선 승강장도 같이 짓고, 최종적으로는 9호선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만든 것. 김포공항역 항목을 보면 좋다.
  
외국인 등, 해당 도시를 첫 방문하는 이들에게는 공항철도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그 국가, 도시의 이미지가 바뀐다고 할 정도로 긍정적 요소가 된다. 철도 특유의 정시성과 다른 교통에 비해 직관적인 노선, 바가지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부분, 무엇보다 대부분 중심도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초행길 이동에 있어 걱정거리 하나가 줄어든다고 해도 무방하다.
+
외국인 등, 해당 도시를 첫 방문한 이들에게는 공항철도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그 국가, 도시의 이미지가 바뀐다고 할 정도로 긍정적 요소가 된다. 철도 특유의 정시성과 다른 교통에 비해 직관적인 노선, 바가지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부분, 무엇보다 대부분 중심도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초행길 이동에 있어 걱정거리 하나가 줄어든다고 해도 무방하다.
  
반대로 내국인들은 공항철도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환승저항 때문에 자기 집 근처에서 짐 걱정을 덜하고 앉아서 갈 수 있는 공항버스를 더 선호하는 편.  
+
반대로 내국인들은 공항철도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환승저항 때문에 자기 집 근처에서 짐 걱정을 덜하고 앉아서 갈 수 있는 공항버스를 더 선호한 편.
  
 
== 목록 ==
 
== 목록 ==

2024년 12월 20일 (금) 22:01 기준 최신판

공항철도(空港鐵道)는 공항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항에 인접한 역까지 열차를 운행하는 철도를 말한다.

개요[편집]

공항철도는 공항도시를 연결해준 철도다. 공항리무진 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으로 공항간 방법의 양대 산맥이다.

보통 공항은 항공기 이착륙 시 주변의 고층 건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소음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민원 폭탄을 맞거나 공항 운영 시간에 제약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공항 주변 지역에 건물의 고도 제한이 걸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한 나라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은 장거리 노선의 비행 시간 및 시차 때문에 24시간 가동해야 함을 고려하면 이는 치명적인 문제다. 인천국제공항이 지어진 것도 김포국제공항의 커퓨 타임이 한 몫을 했다. 일본과 유럽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주요 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연결돼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참 돌아다니던 기존선 근방에 지선을 살짝 빼서 건설한 방식으로, 여건이 허락하면 간선상에 공항역을 짓고 그 위를 메워서 활주로로 쓰는 경우도 많다.

인천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철도처럼 공항의 개통에 맞춰서 일부러 수십km씩 된 여객용 공항철도 전용선을 건설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사실 이 경우는 공항철도가 인천 북부~서울간 광역철도의 역할도 겸한다는 위치이기 때문에 단순히 공항만을 위해 지었다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실제로 1차개통 시기엔 영종도의 신선한 공기만 인천 본토와 김포공항으로 수송하다가 (물론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이 안된 까닭도 있겠지만), 2차 개통 후 승객이 급속도로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인천국제공항철도같이 수십km짜리 전용선을 짓는 사례가 하나 더 있는데, 2017년 개통된 중화민국의 타오위안 공항 첩운이다. 타이베이 - 신베이 - 타오위안 3개 도시의 광역철도 역할도 떠안았다.

국내에서 '공항철도' 하면 주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일컫는다. 운영 회사의 정식사명이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승객 안내서 등은 이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식 명칭에 가깝다. 이 경우 흔히 공철로 더 많이 통용된다.

국내에도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포함한 이런 공항철도들이 몇 군데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군용화물 전용 화물선으로만 쓰인다. 공항 근처에 여객용 역이 있는 경우는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광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정도. 대구국제공항의 경우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아양교역이 그나마 공항과 가장 가깝고 부역명도 대구국제공항이지만 공항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공항철도의 기능을 한다고 보기는 무리가 따른다.

서울시내와 김포국제공항을 잇는 지하철은 5호선이 먼저 지어졌는데,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행 승강장과 바로 연결된 곳은 9호선 승강장이다. 이것은 3기 지하철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공항철도를 짓는 계획이 나왔을 당시 9호선 계획이 존재했는데, 공항철도에 김포공항역을 지으면서 9호선 승강장도 같이 짓고, 최종적으로는 9호선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만든 것. 김포공항역 항목을 보면 좋다.

외국인 등, 해당 도시를 첫 방문한 이들에게는 공항철도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그 국가, 도시의 이미지가 바뀐다고 할 정도로 긍정적 요소가 된다. 철도 특유의 정시성과 다른 교통에 비해 직관적인 노선, 바가지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부분, 무엇보다 대부분 중심도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초행길 이동에 있어 걱정거리 하나가 줄어든다고 해도 무방하다.

반대로 내국인들은 공항철도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환승저항 때문에 자기 집 근처에서 짐 걱정을 덜하고 앉아서 갈 수 있는 공항버스를 더 선호한 편.

목록[편집]

대한민국[편집]

  • 도시철도·광역철도
  • 수도권 전철 5호선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
  • 서울 지하철 9호선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
  • 김포 도시철도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공항역(광주공항[1])
  • 부산김해경전철 - 공항역(김해국제공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아양교(대구국제공항입구)역(대구국제공항)
  • 일반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 대한민국에서 공항철도라고 하면 십중팔구 이 노선을 뜻한다.
  • 대곡소사선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
  • 충북선 - 청주공항역 (청주국제공항)

계획된 철도[편집]

  • 부산신항선 - 가덕공항역(가덕도신공항)
  • 호남고속선 - 무안공항역(무안국제공항)
  • 수도권 내륙선 - 청주공항역(청주국제공항)

노선 인근에 공항이 위치하지만 여객영업을 하는 역이 없는 철도[편집]

  • K-2인입선 - 대구공항역(대구국제공항)
  • 송정리 비행장선 - 비행장역(광주공항)
  • 사천선 - 사천역(사천공항)
  • 전라선 - 신풍역(여수공항)
  • 옥구선 - 옥구역(군산공항)

일본[편집]

  • JR 동일본 나리타선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JR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 JR 소부쾌속선, 나리타선 직통 쾌속열차
  • JR 동일본 하네다 공항 액세스선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케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케이세이 본선, 히가시나리타선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케이세이 특급 스카이라이너
  • 케이세이 공항선 '액세스 특급'
  • 케이세이 본선 '특급'
  • 시바야마 철도 시바야마 철도선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선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도쿄 모노레일 공항 쾌속, 구간 쾌속'
  • 케이큐 전철 공항선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케이큐 특급 '에어포트 쾌특'
  • 케이큐 '에어포트 급행'
  • 케이큐 '엑세스 특급'
  • JR 서일본 간사이 공항선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 JR 특급 하루카
  • JR 쾌속 '간쿠쾌속', 간사이 공항선 보통 '셔틀'
  • 난카이 전기철도 난카이 공항선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 난카이 특급 라피트
  • 난카이 '공항급행', '보통'
  • 오사카 모노레일 오사카 모노레일선 (일본 오사카 오사카 국제공항)
  • 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선 (일본 고베 고베 공항)
  • '쾌속'
  • 나고야 철도 공항선 (일본 나고야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 메이테츠 유료특급 뮤스카이
  • 메이테츠 '특급/급행/준급/보통'
  • JR 홋카이도 치토세선 공항 지선
  • 쾌속 '에어포트'[15] (일본 삿포로 신치토세 공항)
  •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일본 후쿠오카 후쿠오카 공항)
  • '쾌속'
  • JR 큐슈 미야자키 공항선 (일본 미야자키 미야자키 공항)
  • JR 특급 '니치린', '니치린 시가이아, '휴가'
  • JR 동일본 도호쿠 본선 (일본 이와테 하나마키 공항)
  • 센다이 공항철도 센다이 공항선(일본 센다이시 센다이 공항)
  • '센다이 공항 엑세스선[17]' '쾌속'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선 (일본 오키나와 나하 공항)
  • JR 서일본 사카이선 (일본 요나고 요나고 공항)
  • 쾌속 '미나토 라이너'
  • JR 서일본 우베선(일본 야마구치 야마구치 우베 공항)

중국(특별행정구 포함)[편집]

  •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중국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중국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 톈진 지하철 2호선 (중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 트랜스래피드 자기부상열차 (중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 상하이 지하철 2호선 (중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 난징 지하철 6호선 (중국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
  • 광저우 지하철 3호선 (중국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선전 지하철 1호선 (중국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 충칭 궤도교통 3호선 (중국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 쿤밍 궤도교통 6호선 (중국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
  • 닝보 지하철 2호선 (중국 닝보 리쉬 국제공항)
  • 다롄 지하철 2호선 (중국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 창춘 9호선 (중국 창춘 룽자 국제공항)
  • 후허하오터 지하철 1호선 (중국 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
  • MTR 공항선 (Airport Express Line) (홍콩 국제공항)
  • 마카오 경전철(마카오 국제공항)

대만[편집]

  • 타오위안 공항 첩운 (대만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대만 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
  • 가오슝 첩운 홍선 (대만 가오슝 국제공항)

동남아시아[편집]

  • 싱가포르 MRT 동서선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 KLIA 익스프레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KLIA 트랜짓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수완나품 공항연결선 (SARL)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 Soekarno–Hatta Airport Rail Link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 Kualanamu Airport Rail Link (인도네시아 메단 국제공항)

독일[편집]

  • S반과 DB: 유럽에서 웬만한 공항은 간선상에 지어져 있어서 모든 열차가 자동으로 공항철도가 된다.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도이치반에서 운영하는 지역별 S반은 웬만하면 다 정차한다.
  • 베를린 S반 S45, S9 및 RE, IC(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과거 베를린 테겔 국제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없었다(...).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을 연장할 계획이 있었으나 결국 지어지지 못하고 테겔 공항이 문을 닫았다.
  • 뒤셀도르프 스카이트레인(독일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라인-루르 S반 S11(독일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뉘른베르크 U반 2호선(뉘른베르크 국제공항)

영국[편집]

  • 개트윅 익스프레스 (영국 개트윅 공항)
  • 도클랜즈 경전철 (영국 런던 시티 공항)
  • 히스로 익스프레스, 히스로 커넥트,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선(영국 런던 히스로 공항)
  • 스탠스테드 익스프레스 (영국 스탠스테드 공항)
  • 글래스고 에어포트 레일 링크 (영국 글래스고 국제공항)

프랑스[편집]

  • Orlyval, 파리 트램 7호선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
  • CDGVAL, RER B선, TGV (프랑스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
  • Rhône Express (프랑스 리옹 생텍쥐페리 국제공항)
  • 툴루즈 트램 2호선 (프랑스 툴루즈 블라냐크 국제공항)
  • 마르세유 SNCF (프랑스 마르세유 공항)

이탈리아[편집]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이탈리아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말펜사 익스프레스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

스페인[편집]

  • 마드리드 지하철 8호선 (스페인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바르셀로나 지하철 9호선 (스페인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

유럽 기타[편집]

  • 이스탄불 지하철 M11호선, 터키 고속철도 터키(이스탄불 공항)
  • 아에로익스프레스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브누코보 국제공항/소치 소치 국제공항)
  • OBB, 빈 지하철 S7호선, CAT 오스트리아(빈 국제공항)

미국[편집]

  • 시애틀 Link Light Rail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에어트레인 플라이 어웨이 노선(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 로스앤젤레스 Aviation/LAX역(C노선)과 LAX셔틀버스(무료) 연계(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에어트레인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뉴어크 국제공항)[18]
  • 뉴욕 지하철 A선[19], E선, J/Z선, 롱아일랜드 철도 본선[20]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암트랙 동북 간선
  • 뉴어크 국제공항 역 (뉴어크 국제공항)
  •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 역 (볼티모어 워싱턴 국제공항)
  • 시카고 전철 오렌지 라인 (미드웨이 국제공항)
  • 시카고 전철 블루 라인 (오헤어 국제공항)
  • 워싱턴 메트로 블루 라인 (워싱턴 내셔널 공항)
  • 워싱턴 메트로 옐로우 라인 (워싱턴 내셔널 공항)
  • 워싱턴 메트로 실버 라인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 호놀룰루 궤도교통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

아메리카 기타[편집]

  •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Canada Line 캐나다(밴쿠버 국제공항)
  • UP Express 캐나다(토론토 국제공항)
  • 멕시코시티 도시철도 5호선 멕시코(멕시코시티 국제공항)
  • 상파울루 메트로 13호선 브라질(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 리마 지하철 4호선 페루(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

오세아니아[편집]

  • 시드니 시티레일(Cityrail) Airport & East Hills Line 호주(시드니 국제공항)
  • 브리즈번 에어트레인(Airtrain) 호주(브리즈번 국제공항)
  • 퍼스 에어포트 센트럴 호주(퍼스 공항)

아프리카[편집]

  • 요하네스버그 하우트레인(Gautrain) 남아프리카 공화국(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 카사블랑카 ONCF 모로코(카사블랑카 국제공항)
  • 알제 지하철 1호선 알제리(알제 국제공항)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공항철도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