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유인원

위키원
grpia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2일 (목) 11:45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오랑우탄''' 썸네일|300픽셀|'''고릴라''' 파일:침팬지.jpg|썸네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오랑우탄
고릴라
침팬지
흰손긴팔원숭이

유인원(類人猿, 영어: Ape)은 영장류 사람상과에 속하는, 꼬리가 없는 종을 말하며, 이는 사람을 포함한다. 유인원을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인간과 유사한 원숭이'(영장류)라는 뜻이기 때문에 인간은 유인원(Ape)이 아닌 줄 아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생물학적으로는 인간도 사람상과이기 때문에 유인원 분류에 포함된다.[1]

개요

유인원은 척추동물 영장목 진원아목 사람상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사람과에 해당하는 인간, 오랑우탄, 고릴라, 보노보, 침팬지와 긴팔원숭이과에 해당하는 종을 합쳐 유인원이라고 부른다. 꼬리가 없다는 점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질에서 사람과 가까운 점이 많다. 고릴라와 거의 대부분의 인간을 제외하고, 모든 진짜 유인원들은 나무를 오르는 데 매우 능숙하다. 잡식성은 이들을 가장 잘 기술하는 특징인데, 섭취하는 음식으로는 과일식물 열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어디서든 손에 넣을 수 있고, 쉽게 소화할 수 있다. 사냥을 하거나 다른 동물의 먹고 남은 음식물을 먹는 고기와 무척추동물들이다. 본래 이들은 아프리카아시아에서 살았으나 인간들은 세계 모든 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유인원 종들의 거의 대부분은 희귀하거나 멸종될 위험에 처해 있다. 몇몇 개체들이 부시미트용으로 사냥되고 있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멸종될 위험에 처해 있는 대부분 종들의 가장 큰 위협은 열대 우림 서식지의 감소이다. 현재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고릴라나 침팬지는 인간에 가장 가까운 고등동물, 즉 유인원이다. 유인원과 인류와의 공통 조상은 유럽, 아프리카, 남아시아의 신제3기 마이오세의 지층에서 발견된 드리오피테쿠스이다. 드리오피테쿠스는 침팬지보다 몸이 작고 꼬리가 없으며, 대구치(大臼齒, 큰 어금니)가 인류에 유사하다. 인도 북부의 시왈릭의 신제3기 플리오세층에서 발견된 라마피테쿠스의 퇴화한 상악견치(上顎犬齒)는 이 유인원이 더욱 인간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말해 준다.[2]

생태

유인원 골격 비교

긴꼬리원숭이류와 달리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뚜렷하게 길며, 가슴뼈는 짧고 너비가 넓다. 긴꼬리원숭이류에서는 다른 많은 네발짐승들과 마찬가지로 가슴이 양옆으로 좁고 등배쪽으로 깊지만, 유인원에서는 가슴이 대체로 원기둥 모양이거나 등배쪽으로 얕고 좌우로 넓은데, 이것은 사람과 비슷한 점이다.

맹장에는 충수가 있고, 어금니의 씹는 면에 있는 돌기는 위턱과 아래턱의 것들이 모두 4개가 아니라 위턱 것이 4개, 아래턱 것이 5개이다. 팔의 은 보통 원숭이에서는 어깨에서 손쪽으로 향해 나 있는데, 유인원에서는 위팔의 것은 아래쪽을 향해, 아래팔의 것은 위쪽을 향해 나 있어 팔꿈치에서 서로 만난다.

긴꼬리원숭이류에서는 거의 모두 엉덩이의 가죽이 두껍고 털이 없는 부분(엉덩이못)이 발달되어 있는 데 비해, 유인원에서는 이것이 퇴화되어 긴팔원숭이류는 엉덩이못이 모두 작고, 침팬지 가운데 약 38 %, 성성이 가운데 약 10%의 개체에서 작은 것을 볼 수 있으며, 고릴라는 매우 드물게 가지고 있다.

또한 긴꼬리원숭이류의 대부분이 뺨에 주머니가 있지만 유인원에게는 이것이 없다. 가슴등뼈와 허리등뼈의 전체 수는 긴꼬리원숭이류가 19∼20개인 데 비해, 긴팔원숭이는 18개, 그 외의 유인원과 사람은 16∼17개이다.

완골(腕骨)의 중앙골(中央骨)과 주상골(舟狀骨)의 경우 성성이와 긴팔원숭이는 다른 원숭이류와 마찬가지로 서로 떨어져 있는데, 고릴라와 침팬지는 사람과 같이 발생 도중에 결합함으로써 완골의 수가 다른 것들보다 1개 적은 8개이다. 척주가 곧지 않고 미약하게 S자 모양을 나타내는 점과 몸에 털이 적은 점, 태반의 구조 등은 유인원과 사람에서 일치한다.

임신 기간은 긴꼬리원숭이류가 150∼180일, 긴팔원숭이가 약 210일, 침팬지가 평균 231일, 성성이가 약 275일, 사람이 평균 266일로, 유인원의 임신 기간이 사람에 가까움을 볼 수 있다. 유인원의 월경주기도 사람과 비슷한데, 한 예로 침팬지는 대개 28일 주기로 월경을 한다. 이 밖에도 혈액형과 질병, 혈청학적 시험결과 등에서도 유인원은 사람과 비슷한 점이 많다.

성성이는 열매를 먹고, 고릴라는 식물을 주로 먹으며, 침팬지는 잡식성이다. 긴팔원숭이는 일부일처와 그 새끼들로 구성되는 작은 집단을 이루고, 고릴라는 일부다처의 집단을 이루며, 침팬지는 5마리 내외의 수컷과 수컷 수의 2∼3배가 넘는 암컷과 새끼들로 구성된 집단을 사회적 단위로 한다. 침팬지의 사회적 단위는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떨어지고 모여드는 성질이 있어서, 사람 이외의 영장류 사회 중에서 특이하게 취급되고 있다.

두개(頭蓋) 용량은 긴팔원숭이가 약 100㏄, 침팬지와 성성이가 약 400㏄, 고릴라가 약 550㏄이다. 침팬지와 고릴라는 지능이 높고 도구도 사용할 줄 안다.[3]

특징

유인원에 속하는 동물들은 공통적으로 꼬리가 없다. 모든 종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진화의 과정에서 꼬리가 탈락되고 지금까지 그 특성이 이어져 왔다. 척삭동물 중 꼬리가 완전히 없는 드문 종들로, 꼬리의 흔적은 꼬리뼈라는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다. 다른 영장류들인 원숭이와 다른 결정적인 차이점이며 꼬리 없는 원숭이라고도 불린다. 그래서 긴팔원숭이도 이름만 원숭이지 꼬리가 없다는 점에서 유인원으로 분류된다.

동물들 중 최상위권의 지능을 가진 종류로써 모든 종이 앞발을 처럼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알고, 도구를 다룬다. 각종 음성 언어와 몸짓 언어(제스처)도 체계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모두 지능이 매우 높으며 인간은 아예 차원이 다른 넘사벽이다.

유인원은 대부분 상체근력(팔 힘과 악력)이 인간보다 동체급 기준 몇 배쯤 높지만 지구력과 다리의 힘은 인간보다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인간은 초원에서 이족보행으로 장거리 이동을 하며 사는 것에 특화된 반면 유인원은 에서 나무를 타며 사는 것에 특화된 종이기 때문이다. 즉, 인간 이외의 유인원은 팔과 전반적인 상체힘은 강하지만 근지구력이 떨어지고 인간은 상체와 팔힘은 약하지만 다리 힘과 근지구력에서 뛰어나다.

인간 외 유인원의 대략적인 상체의 힘은 인간보다 평균적으로 체급이 작은 침팬지 기준으로는 운동을 아주 오래 한 데다 타고나게 속근이 발달한 남성 엘리트 운동선수 정도거나 이를 좀 더 상회하는 수준이며 인간보다 평균 체급이 더 큰 경우도 많은 오랑우탄이나 고릴라는 아예 인간이랑 비교가 힘든 수준의 상체 근력을 지니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혹시 숲에서 유인원과 마주쳤을 경우 무기가 없는한 괜히 건드리지 말자. 힘 차이 때문에 유인원이 작정하면 인간에게 중상을 입힐 수 있을뿐더러 고릴라나 덩치 좀 큰 개체의 침팬지 정도라면 충분히 죽이고도 남는다. 반면 인간이 어느정도 거리가 떨어진 상황에서 도망가면 보통은 유인원이 인간을 오래 쫒아가지 못하는데 인간은 다리 길이와 그로 인한 하체 힘, 지구력은 유인원 중 제일이기 때문이다. 다만 침팬지가 작정하고 사력을 다해 달릴 경우 시속 40km의 속도를 낼 수 있고, 고릴라는 무려 50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반면 사람은 세계 최고의 단거리 속력 기록을 보유한 우사인 볼트가 순간 최고 시속 44km에 불과하며 보통은 시속 25km 전후고 일반인이라면 시속 20km도 나오기 어려워 침팬지의 절반 수준 밖에 되지 못한다. 그나마 도망치는 게 통하는 종류로는 빨리 달려도 시속 8km정도인 오랑우탄 정도다. 거기다 숲에서 마주친 경우라면 달리기 아니여도 유인원들이 빠르게 나무를 타며 쫓아올 확률이 높고 영장류 특성상 무리로 공격한다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무작정 도망치기보다는 그냥 조용히 그들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게 더 좋다. 애초에 이들은 네 발로 달리니 당연하다. 이미 눈이 마주친 상황이면 즉시 눈을 깔고 천천히 뒷걸음질로 거리를 벌리는 게 좋다.

인간과 다른 유인원을 구분짓는 특징 중에 직립보행이 있긴 하지만 의외로 인간 이외의 유인원들도 직립보행을 자주 한다. 사실 따지고 보면 애초에 인간의 직립보행 자체가 다른 유인원의 직립보행에서 유래한 셈이다. 물론 완전히 자유롭게 직립보행이 가능한 종은 인간뿐이며, 다른 유인원들은 직립보행을 하려면 할 수는 있지만 네 발로 걷는 것을 더 편하게 느낀다. 반대로 인간은 유인원(포함 모든 포유류) 중 유일하게 사족 보행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으로, 억지로 하면 할수는 있지만 인체 구조상 매우 힘들다. 참고로 오랑우탄, 긴팔원숭이를 제외한 모든 유인원은 지상에서 네 발로 걸을 때는 주먹을 가볍게 쥐어 손가락의 제2 관절과 제3 관절을 땅에 대고 걷는 '너클 보행'을 주로 한다.

개체에 따라 성격과 호전성의 차이가 크다. 외모 때문에 고릴라가 성격이 무척 난폭하고 침팬지는 온순하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고릴라는 난폭하기는커녕 유인원들 중에서 굉장히 온순한 편에 속하며 반대로 침팬지는 심심찮게 전쟁과 사냥을 벌이거나 드물지만 동족을 잡아먹고 심지어 포로를 잡아 고문까지 할 정도로 강한 호전성을 지니고 있고 보노보는 암컷은 온순한 편이지만 수컷은 침팬지를 능가하는 공격성을 보인다. 근연종인 오랑우탄, 긴팔원숭이는 침팬지보다는 훨씬 온순하지만 한 번 흥분하면 호전성을 드러내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물론 잔인성이나 싸움의 스케일로 놓고 보면 가장 폭력적, 호전적인 건 인간이다. 특히 높은 지능과 창의성 덕에 다른 동물보다 더 잔인해질 수 있다.

번식활동의 차이는 성생활에서도 나타나는데 고릴라는 수컷암컷 하렘을 거느리고 살고 침팬지는 암컷 하나가 모든 구성원들과 성교를 한다. 긴팔원숭이는 철저한 일부일처제인 반면 보노보와 오랑우탄은 번식이 아닌 쾌락 해소를 위해서도 성교를 즐긴다. 특히 보노보는 성별 관계없이 이 행위가 거의 일상적이다. 따라서 종마다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 다처다부제 같은 난교 형태와 일부일처제 방식의 번식을 한다. 특히 고릴라처럼 하렘을 이루고도 간혹 그런다. 이는 신체적인 특징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난교 형태의 번식 방식을 가진 유인원일수록 고환 크기가 크다. 인간은 유인원 중 가장 거대한 성기 크기를 자랑하고, 성행위 유지 시간도 긴 반면 고환 크기는 손 꼽힐정도로 작기 때문에 몸 구조 자체는 일부일처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과거의 사례와 전세계 사례를 볼때 인간은 일부일처제가 압도적으로 보편적인 번식 방법이다. 물론 인간의 성생활과 결혼은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단순히 생물학적 특징을 따르진 않고, 사회적 영향이나 재산 문제 등 여러 변수로 인해 일부 개체들이나 일부 사회상에 따라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나 다부다처제인 집단도 가끔 목격된다.[4]

하위 분류

사람상과는 2개 과에 8속 26종으로 분류한다.

  •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 - 소형 유인원류(4속 18종)
    • 긴팔원숭이속(Hylobates) - 7종
    • 큰긴팔원숭이속(Symphalangus) - 1종
    • 훌록속(Hoolock) - 3종
    • 볏긴팔원숭이속(Nomascus) - 7종
  • 사람과(Hominidae) - 대형 유인원류(4속 8종)
    • 오랑우탄속(Pongo) - 3종
    • 고릴라속(Gorilla) - 2종
    • 침팬지속(Pan) - 2종
    • 사람속(Homo) - 1종

분류의 역사

1758년 카를 폰 린네(스웨덴어: Carl von Linné)가 처음 이명법을 제안하면서 영장류를 사람속(Homo), 원숭이속(Simia), 여우원숭이속(Lemur)으로 나누었다. 그러면서 오랑우탄을 원숭이속의 Simia satyrus로 명명했다. 1775년 블루멘바흐는 침팬지를 Simia troglodytes로 명명했다. 1799년 Lacépède이 오랑우탄을 오랑우탄속(Pongo)으로 다시 명명했다.

1960년까지 사람상과는 사람과 그 조상을 포함하는 사람과(Hominidae)와 다른 유인원으로 이루어진 오랑우탄과(Pongidae)의 둘로 분류했다.

1960년대 분자생물학의 기술을 영장류의 분류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Goodman은 1963년 혈청단백질의 면역학 연구를 통해 대형유인원으로 이뤄진 오랑우탄과(Pongidae)와 소형유인원으로 이뤄진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를 분리, 세 과로 나누었다. 세 과 중 어느 과가 공통 조상으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왔는지는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 과제가 되었다.

사람상과에서 긴팔원숭이류가 우선 나뉘었다. 그 결과 다른 대형유인원을 사람과 함께 사람과로 합치고 사람과를 사람을 포함하는 사람아과(Homininae)와 대형유인원으로 이뤄진 오랑우탄아과(Ponginae)로 나누었다. 오랑우탄아과에 속하는 세 속의 근연 관계에 대해 과학자들은 다시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 오랑우탄이 별도의 종류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아프리카 유인원(침팬지와 고릴라)이 오랑우탄보다 사람에 더 가깝다는 것도 함께 밝혀졌다. 따라서 아프리카 유인원을 사람아과로 옮기게 되었다. 이 분류는 1974년 M. Goodman이 처음 제안했다.

사람아속의 세 속을 정리하기 위해서 일부 학자들은 사람속을 아프리카 유인원으로 이뤄진 고릴라족(Gorillini)과 사람족(Hominini)으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DNA의 비교 연구를 통해 고릴라가 사람아속에서 가장 먼저 독립했다는 납득할만한 증거가 제공되었다. 침팬지를 사람과 함께 사람족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 분류는 1990년 M. Goodman 등이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 후 DNA의 비교 연구를 통해 긴팔원숭이속을 4개 속으로 나누었다.

동영상

각주

  1. 유인원〉, 《위키백과》
  2. 유인원(생명과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3. 유인원(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4. 유인원〉, 《나무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유인원 문서는 동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